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아이티 혁명의 트랜스내셔널한 기억과 흑인 급진 정치 -C. L. R. 제임스의 연극들에 대한 비교 연구-

        하영준 ( Young Jun Ha ) 한국서양사학회 2015 西洋史論 Vol.0 No.124

        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mory of the Haitian Revolution in relation to radical black politics within a transnational frame of reference. The project will cover the period from the 1930s to the 1960s, when the political imagination and territorial units became more and more national. During this period, C. L. R. James swam against the tide through his dramatic versions of the Haitian revolution Toussaint L’Ourverture (TL, 1936) and The Black Jacobins (BJ-P, 1967). Their narrations as dramatic performances differed from James’ famous history book, The Black Jacobins (BJ-H, 1938), yet they received little critical notice. The two plays and their performances may be regarded as elaborating politics of memory that binds individuals together - often separated in time and space - in a virtual political communit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Haitian Revolution. They were cultural efforts not only to bind together Africans and the African diaspora in a global racial community against the globally spreading specters of fascism and colonialism in the 1930s, but also to reconstruct postcolonial blackness after the decline of Caribbean and African nationalism in the 1960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L and BL-P opens up the possibilities that set them in their contexts, and thus regard them as two entirely different - though closely connected - works in James’ oeuvre,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vised versions. (Chung-Ang University / hayoungjun@hanafos.com

      • 제3부 한국인의 효문화 : 곽희(郭熙),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주경(主敬)" 사상 연구(思想 硏究)

        하영준 ( Young Jun Ha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3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1 No.-

        곽희는 중국 북송대의 저명한 산수화가이자 이론가로 중국 산수화 발전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산수화풍과 화론서인『임천고치(林泉高致)』는 중국 고대 회화와 미학사상 연구에 있어서 학술적 가치가 대단히 높다. 본 논문에서는 곽희의『임천고치』를 연구 분석한 후 그것을 작품과 결합시켜서 곽희의 창작이론의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우선 북송대 경제와 사회, 문화의 발전 상황과 당시 회화 사상에 영향을 주었던 이학사상(理學思想)에 대해 개괄하고, 이러한 사상이 곽희 작품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곽희의 『임천고치』·「산수훈(山水訓)」에 나타난 ‘주경’(主敬)사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당시 지배적 위치에 있었던 철학사상인 이학사상이 심성함양(心性涵養)과 관련하여 강조하는 것으로 곽희는 이 학설을 계승하였고 아울러 그것을 그의 회화이론에 도입하였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곽희 화론의 미학사상 연원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이학사상이 거기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곽희의 화론에 드러나 있는 이학사상이 당연히 지금의 화가와 예술가에게 깊은 계시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학사상의 각도에서 곽희의 회화사상을 연구한 것은 또한 한국의 산수화 연구에 독특한 시각을 제공해줄 것이다. Guo Xi is a famous landscape painter and landscape theorists in Song Dynasty. he is also the most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landscapes painting. His painting style and the painting theoretical "Lin Quan Gao Zhi" has a high academic value on Chinese painting history. This paper includes two parts. The first chapter outlines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development of the period of the North Song and describes the mainstream thinking of the impact of painting at that time. The second chapter is the focus of the paper. In this part, to interpret of painting the "Lin Quan Gao Zhi", with the work of Guo Xi, in the aspect of ``respect``.

      • KCI등재후보

        韓國(한국)의 文化(문화) : 金農(금농)의 放縱的藝術精神考察(방종적예술정신고찰)

        하영준 ( Young Jun Ha ),구순자 ( Soon Ja G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청대의 화가 금농은 ‘양주팔괴’의 한 사람으로 학식, 예술적 소양, 서화작품 등에서 특출한 인물로 일컬어진다. 금농의 이러한 예술정신이 형성된 요인은 다양하지만, 총체적으로 네 가지로 고찰할 수 있는데 첫째 자신의 성격, 둘째 청 초기의 서풍, 셋째 양주팔괴, 넷째 선종의 영향으로 모두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들 요인들은 금농의 성격 형성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금농의 예술정신 형성 요인을 바탕으로 금농의 예술정신은 크게 셋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시류를 좇지 않는 독창정신’이고, 둘째는 ‘개성해방 사상의 표현’이며, 셋째는 ‘자연을 스승으로 하는 정신’이다. 금농 예술 표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그의 작품 속에 가득한 반역(叛逆)과 방종(放縱)의 기이하고 엄숙한 분위기이다. 금농은 젊은 시절 공명을 얻고자 하였으나 결국 좌절만 겪고 아무 것도 얻지 못하였다. 실의에 빠진 문인으로서 겪은 빈곤, 냉대, 불공정함이 오랫동안 가슴속에 쌓여점차 불만을 발산하고자 하는 욕구가 쌓여가자 이러한 불만은 당시의 추세와 풍속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자신의 방식대로 하는 것으로 나나났다. 그래서 금농의 작품에는 당시 관료 문인의 예술의 우아함, 넉넉함, 수려함이 전혀 없고 다만 기묘하고 가파름, 낯설고 우둔함 그리고 광활함이 있을 뿐이다. 필묵에서 표출되는 것은 작자의 마음속의 괴로운 응어리이고, 표현방식은 전통으로 굳어진 법도에 대한 경시와 모반이었다. 이러한 것들이 서로 겉과 속을 이루며 조화롭게 일치됨으로서 금농의작품은 비로소 생기 넘치고 정취가 무궁하게 되었다. Nong Jin, a painter lived in the Qing Dynasty, was one of Yangzhou Baguai, is called a figure outstanding in learning, artistic knowledg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ile there were various factors forming this artistic spirit of Nong Jin, there were four factors in general. First factor is his own personality. Second is the style of painting in the early years of the Qing Dynasty. Third is Yangzhou Baguai and fourth is the influence of Zen Buddhism. All four were deeply correlated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orming the character of Nong Jin. Based on these factors impacting the artistic spirit of Nong Jin, his artistic spir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reative spirit that did not follow trends, expression of the thought on individuality liberation, and spirit serving the nature as a teacher.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artistic expressions made by Nong Jin is eccentric and solemn atmospheres filling his works. While the painter wanted a success when he was young, he only experienced a frustration and gained nothing. As he kept poverty, inhospitality, and injustice that he experienced as a dejected man of letters all to himself, and accumulated desires to work off his dissatisfaction, it was instilled in his painting style that did not follow the trends and custom of the day. That is why works by Nong Jing only have peculiarity, steepness, unfamiliarity, and dullness instead of elegance, wealthiness, and splendors of a bureaucrat man of letters. Flowing from his brush and ink is suffocating and painful bitterness deep into his heart and his turn of expression was a contempt and rebellion against custom that had long been solidified as a habit. That is why a lone spirit of Nong Jin and his rebellious expression were harmoniously matched, filling his works with springy and peculiar flavors at las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원(遠)”의 의경(意境)에 관한 연구(硏究)

        하영준 ( Young Jun H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곽희는 중국 북송대의 저명한 산수화가이자 이론가로 중국 산수화 발전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산수화풍과 화론서인 『임천고치(林泉高致)』는 중국 고대회화와 미학사상 연구에 있어서 학술적 가치가 대단히 높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양철학에서의 ‘원(遠)’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곽희의 창작이론의 근거인 ‘원’ 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원’에서 일어난 심미관조(審美觀照) 방식인 ‘신유원관(神遊遠觀)’을 장자의 사상과 초나라의 문화를 예로 들어 고증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조방식에 드러나 있는 ‘상평원(尙平遠)’ 사상을 우주의 정체성을 표현한 평담한 생명정신이라는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원’에 나타난 ‘심령(心靈)의 안돈(安頓)’이라는 의경(意境)을 살펴보았다. 곽희의 회화사상은 동양 회화사에 깊은 영향을 주었는데, 그의 화론 가운데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그가 제시한 ‘삼원설’이다. ‘원’의 개념에 대해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논하고, 자신의 작품 안에서 대담하게 새롭게 실천한 것은 이전 사람들이 하지 못했던 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그가 ‘원’ 사상을 작품을 창작할 때 구체적으로 실천하였다는 것이다. Guo Xi(郭熙) is a famous landscape painter and landscape theorists in Song Dynasty. he is also the most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landscapes painting. His painting style and the painting theoretical “Lin Quan Gao Zhi(林泉 高致)” has a high academic value on Chinese painting history. In this paper, “Lin Quan Gao Zhi” of Guo Xi researched and analyzed after then it tried to explain Guo Xi`s theory of creation in the base ideology ``Afar`` to combine work. Firstly we was combined the Guo Xi`s paintings from the view of history and social philosophy which based on the researching result. The Guo Xi`s paintings idea on the connotation in Chinese philosoph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Afar`` thought and The Guo Xi`s ``Afar`` were considered. Chuang-tzu(莊子) ideas and Ch`u(楚) the culture of the country happened in the next a sense of the esthetic way, for example, historical research. It was studied the example in the culture of Ch`u and thought of Chuang-tzu which happened the way of the esthetic appreciation and contemplation for ``Afar``. Finally it exposed to contemplate the way viz., cling to ``Afar`` wait-and-see. Through the peculiar sight such a commonness life spirit and idea, which the Guo Xi`s paintings idea was looked the side way of the spirit-peace. The Guo Xi`s paintings idea gave a deep impact on Chinese art history, He suggested ``Afar`` which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future generations of his articulation of the middle for his picture theory. Discuss about the concept of ``Afar`` and more systematically, it was newly practiced in their work bold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omething that the older people did not. He created ideas paintings for ``Theory of Three-Afar(三遠說)`` when practice was specifically. Thus, the theory is a way of linking the actual creation. He advocated ``Afar`` idea in the Chinese Painting Thoughts for the first time and he had created a practical man, there can be no doubt.

      • KCI등재
      • KCI등재
      • C. L. R. 제임스와 카리브의 탈식민화

        하영준(Ha, Young-jun) 이주사학회 2016 Homo Migrans Vol.15 No.-

        이 연구는 1950년대 말 이후 C. L. R. 제임스가 자신의 모국인 영국령 서인도의 식민지 독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시기를 다루고 있다. 제임스 연구자들은 이 시기 제임스의 활동을 앞선 1940년대 미국 체류 시기와는 정치적 · 사상적으로 단절된 것처럼 다루어왔다. 제임스가 서인도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레닌주의적 전위정당 개념을 거부하고 노동계급과 대중의 자율성을 강조했던 이단적 마르크스주의자에서 엘리트주의적 민족주의자로 전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제임스의 탈식민적 전략이 그가 1940년대 동안 이단적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발전시켰던 전망에 기초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제임스는 자신이 서구적 맥락에서 발전시켰던 이단적 마르크스주의를 1950년대 식민지 해방운동의 정치적 분출이라는 상황에 비추어 수정하고 영국령 서인도의 지역 조건에 맞게 ‘크레올화(creolization)’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전통 마르크스주의의 예측과 달리 전후 식민지 해방운동을 주도한 것이 노동 계급이 아니라 농민 계급임을 인식하고, 이들의 정치 활동을 “아래로부터” 확장할 수 있는 참여 민주적 대중정당의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참여 민주적 대중정당은 영국령 서인도에서 반식민지 투쟁이 식민지 엘리트 지식인과 중간계급의 부정적 영향(신식민주의)으로부터 벗어나 민중의 열망에 기초하여 진정한 독립과 해방을 획득할 수 있게 도울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임스의 정치적 시도는 영국령 서인도 사회의 다양성과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민중의 ‘자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고무하는 데 결국 실패하게 되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eriod that C. L. R. James ha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of the British West Indies since the late 1950s. James researchers have treated James’s anti-colonial struggles in the British West Indies as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disconnected from his marxist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40s and the early 1950s. It is said that James was apparently quite converted to West Indies nationalism from unorthodox marxist views which rejected the Leninist concept of the vanguard party and emphasized the autonomy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masses. This study contends that James’ political strategy for national independence was based on perspectives that he developed as a heretical marxist during the 1940s. James attempted to revise his marxism in the post-colonial situations since the 1950s and to creolize it in the local conditions of the British West Indies. Unlike predictions of orthodox marxism, he recognized that the peasant class, not the working class, in the colonies took the lead i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fter World War Ⅱ, and raised the need to expand their political activities ‘from below’ through a participatory democratic mass party. It would help the anti-colonial struggle in the West Indies to get away from the negative influence (neo-colonialism)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and the middle class, and to obtain true independence and liberation based on people’s aspirations. But James’ political attempts eventually failed to encourage the ‘self-activity’ of the colonial masses, because they did not reflect diversity and difference in the British West Indies.

      • KCI등재후보

        절지화(折枝畵)에 나타난 이소견대사상(以小見大思想) 고찰 -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

        하영준 ( Ha Young J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동양 문화는 미세한 것을 보고서 새로운 생명을 체험 하고, 동양 예술은 `작은 것으로 큰 것을 표현[以小見大]`하는 특이한 창조방식을 지니고 있다. `작은 것에서 큰 것을 표현하는 것`은 단순히 수량의 문제가 아니다. 만약 화가가 이것을 작은 것[小]으로부터 큰 것[大]을 보고, 적은 데 [少]에서 많은 것[多]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이는 사람의 지식을 통한 관점이다. `이소견대`는 양(量)의 확대가 아니다. 동양 예술의 심미적 체험의 세계는 양이 없는 세계이다. 동양의 화가들이 그림을 그리는 의도는 대상의 사실적인 묘사에 있지 않다. 화가가 묘사한 작은 사물은 하나의 단초요, 하나의 도입부일 뿐이다. 화가가 도입부를 통해 끌어내고자 하는 것은 결코 미세한 사물의 사실적인 모습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그윽하고 깊은 심령의 내재적 초월을 통해 드러난 새로운 생명의 체험 세계이다. 동양 예술은 어떤 점에서 심령의 초월을 위한 도구로,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생명을 체험하는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화가들은 한 떨기 꽃으로 다양한 체험의 경계를 나타내고, 감상자들은 이러한 경계를 체험한다. Eastern culture has been dependent on the wisdom of distinguishing greatness from trivialities while Eastern art has been based on a way of creation that “sees big things from small ones”(以小見大). It is not merely concerned with scale or amount. If one sees it as “seeing big things from small ones or grasping large amount from small amount,” this is a viewpoint based on human knowledge. Expressing large amount from small amount is not a quantitative expansion. The world of aesthetic experiences is one devoid of amount. Eastern artists do not paint to depict objects realistically. A little thing they capture is nothing but a clue or an introduction to their entire picture. What they try to draw out through such an introduction is not a realistic trifling thing but a new world revealed through the inner transcendence of serene, profound spirit. In a sense, Eastern art enables its viewers to see a spiritual mountain as a device to lead them to spiritual transcendence. Painters are able to represent the boundaries of multifarious experiences just with a single flower and express all aspects of the world with only a single leaf of bamboo.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서화동원론(書畵同源論)”의 “원(源)”의 의미 고찰

        하영준 ( Young Jun H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서화(書畵)의 발전 역사의 각도로부터 보면 서화의 융합은 당대(唐代)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송대(宋代)에 이르면 문동(文同)과 소식(蘇軾) 등에 의해 서법(書法)의 용필법(用筆法)에 의한 회화창작이 이루어진다. 원대(元代)에 이르면 조맹부(趙孟부)와 가구사(柯九思)에 의해 이론과 창작의 측면에서 서화의 ‘용필동법’을 바탕으로 하는 ‘서화동원론(書畵同源論)’이 확고하게 자리 잡는다. 이와 더불어 ‘서화동원’과 ‘문인화(文人畵)’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하면서 ‘서화동원론’이 서화의 심미표준으로 그 위상이 확립된다. 장언원(張彦遠) 이후 전개된 송·원대 이후의 ‘서화동원론’에서 근거로 삼고 있는 ‘동원(同源)’의 ‘원(源)’의 개념은 창작과정에서 세 가지로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서예와 회화는 용필(用筆)에 있어서 동일하다. 둘째, 서예와 회화는 구도에 있어서 유사하다. 셋째, 서예와 회화가 각각의 ‘의경(意境)’을 공통분모로 하여 양자가 통일된다. 이것은 서예와 회화 모두 주관적 서정(抒情)를 표현하는 심미적 특성을 갖는다는 견해로 ‘의경’의 차원에서 양자가 동일하다 것이다. 결국 장언원이 말하는 ‘서화동체론’에서 말하고 있는 “서예와 회화는 용필에 있어 방법이 같다(書畵用筆同法)”는 것은 서예와 회화 양자의 공통점이 형태에서 찾을 수 있는 필법과 구도의 외재적 형식의 동일함에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재적 심미경계인 ‘의경’의 동일함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In terms of the hist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development, a conflation of calligraphy with painting first appeared in the Tang era. The creation of painting was made by Wen Tong, Su Shi, and others using calligraphic brushwork during the Song Dynasty. The “Theory on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同源論) based on the same method of brushwork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firmly settled by Zhao Mengfu and Kejiusi during the Yuan Dynasty. As the problem of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yoked with the matter of “literati painting,” an aesthetic standard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origin”(源) in the “Theory on the Same Origin of Calligraphy and Painting”(書畵同源論) developed after Zhang Yanyuan in the Tang Dynasty comes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use of brushes in calligraphy and painting is the same in the process of aesthetic creation. This aspect is represented by Zhang Yanyuan`s observation that “One who is excellent in painting often writes with a good hand.” and “The technique of using the brush in calligraphy and painting is the same.” Second, the composition of calligraphy bears a parallel to that of painting. One letter in a work of calligraphy begins from one dot and one stroke of the brush, and a phrase is formed when the letters written like this are linked. The whole is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This is like the composition of painting. Third, calligraphy can be integrated into painting with a common denominator of “euigyeong” or artistic conception. This means both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aesthetically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subjective emotion. The two can be united in terms of “artistic conception”. What Zhang`s assertion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the same in the use of brushes” means is that the two are the same not only in brush technique and composition, but in artistic intention beyond form and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