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융교육과 금융거래경험이 대학생의 금융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현자 ( Hyun Cha Choe ),조혜진 ( Hye Jin Cho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4

        오늘날 금융시장이 복잡다양해지면서 투자와 재무의사결정 시 금융소비자의 능력이 매우 중요해졌다. 또한 다양 한 신종 금융상품의 등장으로 금융시장에서 판매되는 금융상품에 대해 일반소비자가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금융소비자의 투자와 재무의사결정을 향상시킬수 있는 금융교육과 금융이해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라이프사이클에서 재정적인 독립을 하게 되는 성인기에 진입하기 전 단계에 속한 대학생의 금융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측정하고 금융이해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어떤 활동이 도움이 되는 지를 밝혀 향후 가계의 재무의사결정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금융역량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유형이 금융이해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대학이 위치한 지역, 통장거래경험, 현금/체크카드 사용경험, 학년, 금융관련수강과목 수, 전공, 부모학력인지 순으로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의 금융교육과 실제 금융거래경험이 이 대학생의 금융이해력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에서 금융교육의 효과를 크게 얻기 위해서는 금융 관련 수업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실습과 현장학습 등을 통해 직접 통장거래와 현금/체크카드 사용 및 다양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교육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부모의 학력이나 월소득 등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재무관리에 무관심한 학생들을 위해서는 시각적 효과와 흥미있는 수업자료, 게임 등을 통해 금융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금융역량 강화와 금융이해력 증진을 위해 어떠한 부분이 필요한 지, 그리고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적 요인을 밝혀 향후 금융소비자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undergraduate students` financial literacy levels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experience variables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ir financial literacy, and to examine each relevant variable`s relative influence. An ANOVA, a Chi-squre test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ocio-demographics, financial educations, and financial experience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understand factors that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financial literacy levels and examines their relative influences. In the first stage, the financial literacy was explained to the extent of 6% by Model 1`s sociodemographic variables (p<.00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males` financial literacy was better than females`. Moreover, the closer to a metropolitan area a student`s university was located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pocket money the student was given, the better the student`s financial literacy. The financial education variables input in the second stage increase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by 20%, with the total explanatory power at 26% (p<.00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student`s financial literacy was better when a student attended a four-year university rather than a two-year college, was in a higher year, attended a business school, and had taken a large number of financial courses. In the third stage, inputting financial experiences as a variable increased Model 3`s explanatory power by 3%; as a result, 29% (p<.001) was explained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financial experiences, those with an account, or cash or check card transaction experiences were better in financial literacy. To put together the above results and consider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financial literacy, the type of university most strongly affected it, followed by the college location, experience of account transactions, experience of cash and check card use, school year, the number of financial courses taken, major, and knowledge of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inancial education in school and actual financial experienc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undergraduate students` financial literac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financial education`s effects, financial classes should be required courses and the education should be complemented by diverse methods, thereby enabling students to make various financial transactions such as account and cash or check card transactions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In particular, interesting material with visual effects and games should be provided in class so that those who are uninterested in financial management and who do not know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monthly incomes obtain financial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계의 심리적 부채부담에 관한 연구

        최현자(Hyuncha Choe),김예희(Yeahee Kim)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2

        우리나라에서 가계의 부채 문제는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오고 있다. 가계부채와 관련된 대부분의 분석은 거시적 관점에서 전체 부채 가구의 평균 자료를 근거로 논의가 이루어지며, 부채 위험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객관적 지표에 근거한다. 그러나 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대출을 하고 있고, 가구가 처한 사회적, 경제적 위치에 따라 가계부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부담은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8차 자료를 사용하여 부채 보유 가계의 심리적 부채부담을 살펴보았다. 부채상환액, 교육비, 식비, 주거비 등 부채 보유 가구에서 심리적 부담으로 느끼는 비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부채 보유 가구 중 1/3 이상은 대출의 원리금 상환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느끼고 있었고, 그 밖에 교육비, 식비, 주거비 등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는 지출비목이 없다고 한 가구도 10%이상 되었다. 심리적 지출부담 항목에 따라 부채 보유 가구를 나누어 차이 분석을 한 결과, 가구의 일반적 특성이나 부채 관련 특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부채 보유 가구를 동질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 왜곡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부채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 부채부담 요인을 확인한 결과, 월 평균 부채 상환액이 높은 가구가 부채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가질 확률이 높았다. 일반적으로 부채 상환 능력의 지표가 되는 월 소득 대비 부채상환액 보다, 월 상환액의 절대 규모가 심리적 부담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임을 의미한다. 거주지 또한 심리적 부채부담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는데, 서울이나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대출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가질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출 가구의 분석에 있어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초등학생에서 대학생 자녀를 가진 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 중에는 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가계가 많았는데, 교육비가 대출의 주된 이유는 아니지만, 학령기 자녀를 둔 가계의 재무적 건전성을 고려할 때 같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출이 가계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출 가구를 세분화 하여 살펴볼 것을 제언하였고, 부채 가구의 재무적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부채의 상환액 규모와 더불어 가구의 거주지와 같은 외부적 환경 및 가계 지출 구조를 결정 하는 가구 구성의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Most of the analysis on debt is based on the average data of all households, and the perception of debt risk is mostly based on the use of objective indicators. However, households with debt have loans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household debt may vary depending on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househol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households with debt by using Korea Labor Panel 18th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household burden such as debt repayments, education expenses, food expenses, and housing expenses, about more than one - third of households with debt have felt the psychological burden of debt repay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useholds with debt repayment burden and other expense burden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debt 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the objective debt burden that might affect the psychological burden on the debt, monthly average debt payments was more likely to cause a psychological burden. The residence area, household composition, and household asset were also identified as factors of psychological burden on deb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loan on the household welfare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examine the household with loans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When considering the policy for enhancing the financial welfare of the households of debt, the monthly redemption amoun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residence of the household and the type of household composition that determines the household expenditure structure.

      • KCI등재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 개발 연구

        최현자(Hyuncha Choe),조혜진(Hyejin Cho),김민정(Minjung Kim),이지영(Ji Young Lee),장연주(Younju Jang),서우경(Woo-Kyung Suh)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 코칭기법의 체계적 대화법을 적용하여 은퇴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을 개발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모델초안을 개발하였고, 은퇴설계와 코칭분야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은퇴코칭모델은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첫째, 라포형성과 임파워링으로 구성된 RE(rapport and empowerment)단계는 ‘관계형성’으로 코치와 은퇴설계를 받으려는 사람 간의 라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둘째, T(target establishment)단계는 ‘목표설정’으로 대화의 주제를 선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셋째, I(identification)단계는 ‘계획수립’으로 은퇴설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넷째, R(realization)단계는 ‘실행’으로 계획의 구체적인 수행일정과 방법을 스스로 수립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E(evaluation)단계는 ‘평가’로 코칭 세션 동안 느낀 점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과 실행방안을 보완하는 단계이다.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retirement coaching model for effective retirement planning by applying systematic conversation of the coaching technique. A draft of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 was com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experts.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step, rapport and empowerment(RE), consists of sharing the image of a happy retirement after establishing a rapport between the coach and the people wanting to prepare for retirement. The second step, target establishment(T), consists of setting the theme and goals of the conversation. The third step, identification(I), consists of developing a retirement plan for achieving the established goals. The fourth step, realization(R), consists of establishing a concrete schedule and a method of retirement planning. The fifth step, evaluation(E), consists of sharing impressions during coaching sessions, which facilitates future action plans.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재무설계 분야의 교육 및 연구동향과 실천적 과제

        최현자(Hyuncha Choe),성영애(Young-Ae Sung),양세정(Se-Jung Yang) 한국FP학회 200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1997년 이후 이루어진 개인재무설계 분야의 교육과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개인재무설계 분야의 실천적인 과제들을 제시함으로써 가계의 재정적인 복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재무설계 분야의 교육과 연구의 도약을 위해서 학계에서는 관련교과목 수요에 부응하여 실용적인 교육내용으로의 확충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에서도 CFP자격제도와 연계된 교과과정의 운영을 활성화함으로써 재무설계 전문인력의 확충과 저변확대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의 현장시사점과 정책적시사점을 염두에 둔 실용적인 연구가 좀 더 활성화 되어야 하며, 연구자의 연구주제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표성과 신뢰성을 지닌 가계금융기초자료의 생산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the future direction and make suggestions in the field of personal finance area in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exis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curricula and certificate system related to personal finance area offered in Korea were reviewed and analyzed. More than 180 research papers published during last decade in the field of personal finance were reviewed and analyzed as well. Based on the reviewed researches, curricula, and certificate system the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f CFP Board -registered program was strongly recommended. The various collaboration methods among researchers, educators, and practition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경제수명의 산정을 통한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A(Minjeung Kim),이지영(Jiyoung Lee),김민정B(Minjung Kim) 한국FP학회 201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5 No.4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은퇴연령이 빨라지면서 가계가 은퇴 기간 동안 필요한 소비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가계가 보유하고 있는 은퇴자금으로 몇 년을 살 수 있을지를 지칭하는 경제수명(Life Span)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가계의 자산계층에 따른 은퇴준비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통계청 2011 가계금융조사의 60세 미만의 비은퇴자 6,589가계를 주 자료로 분석하였으며, 보조 자료로 국민연금연구원 노후보장패널(2010),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2010),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2010), 투자자보호재단 펀드투자자조사(2010) 자료를 활용하였다. 은퇴필요자금과 은퇴자산, 경제수명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후 기대여명까지 필요한 총 필요자금을 은퇴시점에서의 가치로 환산한 평균 금액은 약 8억 2천만원, 중위수는 약 7억 4천만원으로 분석되었다. 중상자산계층의 평균은 약 8억 5천만원, 상위자산계층의 평균은 약 8억 7천만원이었으며, 중위수는 각각 약 7억 8천만원, 7억 9천만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자산을 위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은퇴자금 목적의 금융자산과 3층 연금소득의 일시금 총액을 더한 은퇴자산 1의 전체 평균은 4억 1000만원, 중위수는 3억 8000만원이었다. 은퇴자산 1에 거주주택이외 기타실물자산을 더한 은퇴자산 2의 전체 평균은 5억 6천만원, 중위수는 4억 5천만원이었다. 거주주택자산까지 합산한 은퇴자산 3의 전체 가계 평균은 7억 8천만원, 중위수는 6억 3천만원으로, 중상 및 상위자산계층은 은퇴자산 2와 3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전체 가계의 평균 경제수명은 금융자산의 50%를 은퇴자산으로 활용하고 기대여명까지 생존한다고 가정할 경우 69.4세였다. 거주주택 외 실물자산을 추가로 활용했을 때에는 2년여 더 생존할 수 있으며, 거주주택을 연금화하여 활용할 경우 5.5세 증가한 77세까지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융자산을 모두 은퇴자금화 하는 경우 50% 활용에 비해 경제수명이 약 2년씩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금융자산 뿐만 아니라 거주주택이나 거주주택이외 실물자산까지를 은퇴자산에 포함하여 적극적으로 은퇴준비를 모색하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며, 자산이 고갈되는 시점인 경제수명으로 은퇴준비정도를 가시화함으로써 재무관리 전략 수립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