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 메시지의 목적 프레이밍: 경제적 및 심리적 혜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최진명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광고연구 Vol.0 No.76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negative and positive goal framing of ad claims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idea that the gains or losses presented by the goal framing have two basic quality (economic vs. psychological gains or losses), I compared the patterns of framing effects relative to each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in 2 experiments. Using 2 (framing: positive vs. negative) X 2 (target quality: economic vs. psychological) withinsubject (Ex 1) and between-subject (Ex 2) designs, it was teste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s (positive vs. negative) interacted with the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Results showed that when an economic quality was the target of the goal framing, the negatively (vs. positively) framed ad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in eliciting purchase intention. When a psychological quality was the target of the goal framing,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s were reversed. Overall, the different pattern of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and negative ad frames might differ depending upon the target quality of the goal framing. 본 연구는 목적 프레이밍 문헌들이 주장하는 부정적 프레이밍의 설득우위 효과가 광고 메시지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특히 광고 메시지의 경우 목적 프레이밍의 대상은 경제적인 혜택이거나 또는 심리적인 혜택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프레이밍 대상의 속성에 따른 목적 프레이밍의 차별적 효과 여부를 조사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실험 1>에서 26명의 참가자들은 각 광고 메시지의 긍정적 및 부정적 프레이밍 정보 모두에 노출되었으며, <실험 2>에서는 71명의 참가자들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프레이밍 정보 중 하나에만 노출되었다. 참가자들은 프레이밍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구매 의사결정 시나리오(하나의 시나리오 당 하나의 광고 메시지 포함)를 읽고 난 뒤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입의사 정도를 나타냈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광고 메시지의 목적 프레이밍 효과는 프레이밍의 대상이 되는 혜택의 속성에 따라 차별화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 프레이밍의 대상이 경제적 혜택인 경우 긍정적 프레이밍보다는 부정적 프레이밍이, 대상이 심리적 혜택인 경우에는 부정적 프레이밍보다는 긍정적 프레이밍이 구입의사 정도를 높이는 데 보다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 지위 소비는 누구 때문에 발생하는가?

        최진명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논집 Vol.27 No.3

        The research on status consumption shows that powerless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of luxury goods. In this article, physical attractiveness-as-a relative status (PARS) hypothesis was proposed to shed light on the provocative question of who triggers women’s status consumption. From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the extent of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a target female with whom participants were supposed to enter into an imaginary beauty contest influences status consumption. Finding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 were in the beauty contest with the female friend who is more physically attractive (vs. more or less physically attractive) than them indicated a higher willingness to pay for appearance-enhancing goods. The effect of the beauty contest on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goods was in part mediated by the concern of physical attractiveness-based relative position, as hypothesize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suspect responsible for other women’s status consumption, revealing that the female friend’s appearance-enhancing behavior, who is as much attractive as oneself, might be the trigger leading threatened women to status consumption. 남자와는 달리 여자의 지위 소비는 외모향상 제품군에 한해서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최근 한 연구는 여성의 지위 소비를 촉발하는 심리적 무력감은 소셜 네트워크 내 신체적 매력에 기반을 두고 있는 상대적 지위가 위협받을 때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룹 내 한 멤버의 외모향상 행위로 인해 자신의 상대적 지위를 위협받게 되면 그 지위를 방어 및 유지하기 위해서 외모향상 제품에 대한 럭셔리 소비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이 주장의 연장선에서 여성의 지위 소비는 누구 때문에 발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친구 결혼식에서 자신과 매우 유사한 옷을 입고 온 한 친구와 만나는 상황의 시나리오를 읽었는데, 한 집단은 그 친구의 신체적인 매력이 자신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다른 집단은 그 친구의 신체적인 매력이 자신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묘사된 것을 읽었다. 분석 결과, 자신보다 신체적 매력이 월등히 높은 상대보다 자신과 유사한 수준으로 매력적인 상대와 뷰티 콘테스트 상황에 놓인 참가자들이 외모향상 제품 구매에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 효과의 일부는 본 연구의 가설대로 자신의 상대적 지위 하락에 대한 걱정(남들에게 친구보다 자신이 덜 예뻐 보일까봐 걱정하는 마음)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남성과는 다른 여성 지위 소비의 독특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그리고 여성의 지위 소비는 자신과 신체적인 매력이 유사한 동성 경쟁자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교육기관의 정보시스템 보안관리 방안 연구

        최진명,김두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6

        The damage caused by information spill, forgery, falsification, and deletion by cyber infringement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s very larg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ypes, causes, and problems of cyber infringement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As a result, administrative, physical and techn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ivities were weak.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ity enhancement method for each domain by dividing them into Internet zone, network-neutral zone (DMZ: Demilitarized Zone), general server zone, internal server zone (Server Farm), and user zone so that these vulnerabilities can be easily identified, supplemented or security enhanced. In addition, we have proposed a method to apply security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correctly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to provide conceptual guidance but to suggest specific action and procedure oriented security management plan. 교육기관 및 대학에서 사이버침해에 의하여 정보가 유출, 위조, 변조, 삭제 등 훼손되었을 때의 피해는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 교육 관련 행정기관과 대학을 대상으로 사이버침해의 유형, 원인 및 문제점 등을 분석한 결과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정보보호 활동이 취약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취약점을 쉽게 식별하고, 보완 또는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인터넷 영역, 네트워크 중립 영역(DMZ: Demilitarized Zone), 일반 서버 영역, 내부 서버 영역(Server Farm), 사용자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보안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행정기관 및 대학을 위한 보안성 높은 정보시스템 아키텍처와 정보보호 기술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적 지침이 아닌 구체적 활동과 절차 중심의 보안관리 방안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긍정적 사용자후기가 구매결정 확신 형성에 미치는 영향

        최진명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3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도달에 어느 정도의 긍정적 사용자후기가 소비되는지, 그 과정에서 긍정적 사용자후기의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지, 끝으로 소비한 긍정적 사용자후기의 양과 구매결정 확신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00명의 대학생들은 조절초점 조작에 의해 그들이 상대적으로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여행상품의 긍정적 사용자후기에 노출되었다. 이들은 최대 5개의 사용자후기에 노출될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언제든 구매결정에 도달하게 되면 나머지 사용자후기의 소비는 생략한 채 해당 구매결정에 대한 확신 정도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구매결정 도달에 소요된 긍정적 사용자후기 소비량은 안녕초점지향(vs. 성취초점지향)이 보다 많았고, 성취초점지향은 열망후기(vs. 경계후기)에 노출된 후 그리고 안녕초점지향은 경계후기(vs. 열망후기)에 노출된 후 구매결정에 도달했을 때 그 구매결정 확신이 보다 높았다. 끝으로 긍정적 사용자후기 소비량이 높을수록 구매결정 확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인색한 주목을 받아왔던 긍정적 사용자후기의 중요성을 환기시킴과 동시에 구매결정에 대한 확신의 새로운 근원으로 소비자의 조절초점과 후기유형 간의 조절일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positive reviews in th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process. Specifically, I address three research questions: 1) how many positive reviews are necessary to reach a purchasing decision, 2) does the type of positive reviews affect confidence in purchasing decision, and, finally, 3) what relationship does the number of positive reviews consumed have with confidence in purchasing decision. The questions we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y focus theory. Regulatory focus theory suggests that distinct motivational systems (promotion vs. prevention system) operate in a unique way respectively facing desired outcomes to att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vention-focused consumers (vs. promotion-focused) are likely to consume more positive reviews, confidence in purchasing decision will be higher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the right type of reviews that sustain their current regulatory focus, and less confidence in purchasing decision leads to more consumption of positive review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친구의 럭셔리 로맨틱 선물에 노출된 여성이 유사한 로맨틱 선물을 바라는 이유: 사랑받는 느낌의 사회비교를 통한 매개 효과

        최진명 한국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연구 Vol.34 No.3

        This study argues that the exposure to a friend’s luxury romantic gift, which was identified as a gift from her romantic partner, may function as a social psychological origin accountable for women’s demand for luxury items. Specificall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a friend’s luxury romantic gift on the target woman’s longing for a comparable one through the serial mediators of social comparison of feeling loved (e.g., I think my friend is being loved by her romantic partner more than I am by mine) and the evoked negative affective state due to the comparison. However, the presumed indirect effects were hypothesized as contingent on the sex such that women (vs. men) would be more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a friend’s romantic gif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ocess as hypothesized. When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a friend’s low-cost romantic gift, the social comparisons of feeling loved were rarely triggered and, in turn, the extent of negative affect evoked was negligible as well among both sexes, resulting in insignificant effects of the friend’s romantic gift on the longing for a comparable one. However, female participants exposed to a friend’s expensive romantic gift showed higher social comparisons of feeling loved and, subsequently, stronger negative affective state, which translated into the higher longing for a comparable romantic gift. This process did not work for male participa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revealing why and how women’s longing for luxury romantic gifts could be triggered by a friend’s luxury one and highlights the social comparison of feeling loved that underlie this effect. 본 연구는 친구의 럭셔리 로맨틱 선물(친구가 자신의 로맨틱 파트너에게서 받은 선물)에 대한 노출이 여성의 럭 셔리제품수요를자극하는한원인이될수있음을주장한다. 친구의럭셔리로맨틱선물에노출된여성은그것 과유사한로맨틱선물을자신의파트너에게서바라는마음이생길수있는데, 그이유는친구의럭셔리로맨틱 선물로 인한 사랑받는 느낌의 사회비교(즉, 나는 친구보다 파트너에게서 사랑을 덜 받는다는 느낌)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을 통한 매개 효과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구의 럭셔리 로맨틱 선물이 유사한 로맨 틱 선물을 바라는 마음에 미치는 그 간접 효과는 남성이 아닌 여성에 한해 발생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주장 이다. 실험 결과, 예상대로 친구의 럭셔리 로맨틱 선물은 성별에 의해 달라지는 간접효과를 통해 유사 로맨틱 선 물에 대한 바람을 갖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구의 로맨틱 선물이 중저가일 경우에는 남녀 참가자들 모두에 게서유사한로맨틱선물을바라는마음이나타나지않았다. 그러나친구의로맨틱선물이고가였을때는그효 과가 여성들에게서만 나타났다.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은 고가의 친구 로맨틱 선물에 노출되었을 때 자신은 친구 에 비해 파트너에게서 덜 사랑받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고(사랑받는 느낌의 사회비교), 그런 경향이 강할수 록더부정적인감정을경험하였으며, 그에따라친구의것과유사한로맨틱선물을바라는마음도높게나타났 다. 본 연구는 럭셔리 로맨틱 선물을 바라는 여성의 마음을 거의 최초로 다루었으며, 이 결과는 럭셔리 제품들의 포지셔닝 전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EA 활용 프레임워크 설계

        최진명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0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7 No.3

        Many public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s had implemented EA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to prevent overlapping investments of budget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information investments. However the actual utilization of EA in these organizations is quite low. This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most of these organizations carried out the EA projects based on the current government’s EA framework which is more focused on generating the actual results than the actual usability of EA. To this, in this study, we elected personas within the organizations that are considering to implement EA, and by acquiring the requirements from such personas and integrating and expanding the current government’s EA meta model, I proposed a framework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of EA in variety of areas in an organization and which can manage the architecture from information units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generating the results.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체계적인 정보화 투자관리를 통한 정보화 예산의 중복투자 방지등을 목적으로 여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EA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기관 내에서 EA의활용이 높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EA를 기도입한 대부분의 기관들이 EA의 활용성을 고려하기보다는 산출물 중심의 범정부 EA 프레임워크에 맞춰 EA를 구축했던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이에 본논문에서는 EA를 도입하려는 기관에서 페르소나를 선정하고, 이들 페르소나로부터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범정부 EA 메타 모델을 추가, 확장하여 산출물 중심이 아닌 정보 단위로 아키텍처를 관리하고활용함으로써 기관의 다양한 업무분야에서 EA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