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영.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 연결에 의한 인터넷 독한 자동번역

        최승권,Choi Sung-Kwon 한국독어학회 1999 독어학 Vol.1 No.-

        Bei der maschinellen $\"{U}bersetzung(=M\"{U})\;\"{u}bernimmt$ ein Computer die Aufgabe, Texte von einer $nat\"{u}rlichen$ Sprache in eine andere automatisch zu $\"{u}bertragen$. Die meisten $M\"{U}-Systeme$ wurden bis in die 90er Jahre $haupts\"{a}chlich$ von grossen Firmen benutzt, die viele kostenaufwendige $\"{U}bersetzungsarbeiten\;zu\;bew\"{a}ltigen$ hatten. Aber die schnelle Verbreitung des Internets in den Alltag vieler Menschen hat die Situation radikal $ge\"{a}ndert$, und zwar so, $da\ss$ ein $M\"{U}-System$ viel $h\"{a}ufiger$ verwendet wird und es auch bei individuellem Bedarf Anwendung findet. Mit zunehmendem Volumen der zu $\"{u}bersetzenden$ Texte im Internet wird die Nachfrage nach einem $M\"{U}-System\;immer\;gr\"{o}sser$.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ein Verfahren der maschinellen $\"{U}bersetzung$ der deutschen WWW-Texte ins Koreanische zu beschreiben. Dazu habe ich versucht, zwei unterschiedliche $M\"{U}-Systeme$ zu koppeln. Das Potential dieser Methode ist vor allem deswegen zu untersuchen, weil die sogenannte Lingware fur das Koreanische und Deutsche, wie z.B. Lexikon, Grammatik, Transfer-Lexikon, nur begrenzt zur $Verf\"{u}gung$ steht. Das erste System ist das $M\"{U}-System\;SYSTRAN\;f\"{u}r$ das Sprachpaar Deutsch-Englisch, das die deutschen WWW-Texte ins Englische $\"{u}bersetzt$. Das zweite ist em $M\"{U}-System\;f\"{u}r$ das Sprachpaar Englisch-Deutsch, das die vom Deutschen ins Englische $\"{u}bersetzten$ Texte ins Koreanische $\"{u}bersetzt$. Bei der Evaluierung der $\"{U}bersetzungen$ vom Deutschen ins Koreanische konnten etwa $30\%$ der Ausgaben als korrekt bewertet werden.

      • 번역패턴 기반 한독 자동번역

        최승권,Choi Sung-Kwon 한국독어학회 2002 독어학 Vol.6 No.-

        Seit dem Ereignis des Tunnbaus zu Babel. versucht man, Sprachbarriere zu $\"{u}berwinden$. Eine dieser $Bem\"{u}hungen$ hat seit der 60er Jahre zur Anwendung von Computern in der $\"{U}bersetzung gef\"{u}hrt$. Bei der automatischen $\"{U}bersetzung\;\"{u}bernimmt$ der Computer die Aufgabe, Texte von einer $nat\"{u}rlichen$ Sprache in eine andere zu $\"{u}bertragen$. Die vorliegende Arbeit $besch\"{a}ftigt$ sich mit verschiedenen Arten von den sogenannten $\"{U}bersetzungspatterns\;f\"{u}r$ die automatische $\"{U}bersetzung$ Koreanisch­Deutsch. Zu den $\"{U}bersetzungspatterns\;geh\"{o}ren$ u.a. Verbphrasen-Pattern, Nominalphrasen-Pattern und Verbindungspattern. Unter 'Verbphrasen-Pattern' versteht man einen gekoppelten Subkategorisierungsrahmen der Verben zweier Sprachen. 'NominaIphrasen-Pattern' verstehen sich als $\"{U}bersetzungspattern$ der Nominalphrasen. Unter 'Verbindungs-Pattern' werden $\"{U}bersetzungspattern$ von komplexen $S\"{a}tze$ verstanden, wie z.B. Satzkoordinationen und $S\"{a}tze$ mit eingebetten $S\"{a}tzen$. Als Vorteil des Ansatzes $z\"{a}hlen$ u.a. die Wiederverwendbarkeit bzw. das leichte Management der Patterns, die $Beschreibungsm\"{o}glichkeit$ in der lexikalischen Ebene, die Generieung der naturlichen $Ziels\"{a}tze$ und die leichte Verbesserung der $\"{U}bersetzungsqualit\"{a}t$. Die in dieser Arbeit vorgestellten $\"{U}bersetzungspatterns\;k\"{o}nnen$ aIs Hilfsmittel $f\"{u}r$ Deutschunterrichte, Aufsatzhilfesysteme und elektronische Koreanisch-Deutsch $W\"{o}rterb\"{u}cher$ eingesetzt werden.

      • KCI등재

        패턴기반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도메인 특화 방법

        최승권(Sung-Kwon Choi),이기영(Ki-Young Lee),노윤형(Yoon-Hyung Roh),권오욱(Oh-Woog Kwon),김영길(Young-Gil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4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처리연구팀에서 2004년까지 개발하였던 웹문서 자동번역시스템을 2006년부터 매년 도메인별로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를 기술한 것이다. 상용화가 가능하였던 주요 요인 중 하나인 도메인 특화 방법을 소개하며 이 도메인 특화 방법이 시기별로 개선되어 진화되는 모습을 기술한다. 즉 2004년의 웹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를 2006년에 특허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로 특화할 때 사용한 도메인 특화 방법이 '초기 도메인 특화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초기의 도메인 특화 방법에 번역지식 및 번역엔진 모듈의 반자동 튜닝 방법과 자동화된 평가 방법을 추가하여 2007년에 '개선된 도메인 특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개선된 도메인 특화 방법'은 2007년에 특허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를 기술논문 영한 자동번역기로, 2008년에 기술논문 영한 자동번역기를 IT웹신문 영한 자동번역기로, 2009년에 IT 웹신문 영한 자동번역기를 전자우편 및 기업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로, 그리고 2010년에 전자우편 영한 자동번역기를 메신저 영한 자동번역기로 구현할 때 사용하였으며 그 효과는 신규 도메인용 영한 번역기를 개발하는 기간을 점차적으로 줄이게 하였으며 구현 프로세스에 일관성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uccess case that NLP Research Team, ETRI could commercialize the domain-specific machine translation systems every year since 2006. One of the main factors to enable the commercialization was the customization method which adapts an existing system to new domai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stomization method in detail and show how the customization method has evolved according to domains. For this, we will first describe the pure customization method used to adapt an English-Korean Web MT system in 2004 to an English-Korean patent MT system in 2006. Then we will discuss the upgraded customization method that semi-automatic construction of translation knowledge, semi-automatic tuning of translation engine modules, and automatic evaluation were added to the pure customization method. This upgraded customization method could make the following commercialization possible: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scientific paper translation in 2007,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IT web news translation in 2008,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business documents translation in 2009,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messenger translation in 2010.

      • 도시 관광용 영어 대화 시스템

        최승권 ( Sung-kwon Choi ),권오욱 ( Oh-woog Kwon ),노윤형 ( Yoon-hyung Roh ),이기영 ( Ki-young Lee ),김영길 ( Young-g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2010 년부터 2015 년까지 5 년간에 걸쳐 개발 예정인 영어 교육용 대화 시스템 중 2011 년에 개발된 관광용 영어 교육용 대화 시스템 중 도시 관광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 도시 관광용 영어 대화 시스템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 관광용 영어대화 시스템은 크게 대화 이해 모듈, 대화 관리 모듈, 대화 생성 모듈, 대화 모델링 구축/관리 모듈, 대화 지식 구축 도구로 구성된다. 도시 관광용 영어 대화 시스템 평가를 위해 평가자를 초급, 중급, 고급의 3 개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자는 원격 웹 평가 도구에 접속하여 4 개의 대화 미션에 대해 영어로 대화 시스템과 대화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태스크 성공률로 측정되었다. 태스크 성공률은 82.5%로 측정되었다.

      • 영한 논문 번역시스템의 수동 평가와 자동 평가의 관계

        최승권 ( Sung-kwon Choi ),황영숙 ( Young-sook Hwang ),김영길 ( Young-g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본 논문은 영한 과학기술 논문 자동번역 시스템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수동 평가와 자동 평가 사이의 상관 관계를 밝힘으로써 수동 평가와 자동 평가 중에 한쪽의 방법에 의해서 평가가 이루어지더라도 다른 쪽의 수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수동 평가는 5 인의 전문 번역가가 5 회에 걸쳐 평가한 결과이며, 자동 평가는 영어 원문 1,000 문장에 대한 8 인이 번역한 8,000 문장의 정답문(References)과 자동번역 결과를 어절 단위와 형태소 단위로 N-gram 비교를 통해 평가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식은 사용하는 평가 집합과 대상 번역 시스템 별로 자동 평가와 수동 평가 간의 상관 계수를 만들어내고 수동 번역률을 구하는 식을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시스템의 자동 평가 결과로부터 성능을 직관적으로 해석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다.

      •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

        최승권 ( Sung-kwon Choi ),김영길 ( Young-g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본 논문은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에서 개발 중에 있는 언어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스페 인어, 불어, 독일어, 러시아어이다. 이렇게 개발된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은 2018 년 평창 동계 올림픽 때 다국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의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의 성능은 번역만 보았을 때, 영한 87.63%, 한영 88.21%, 중한 85.38%,한중 77.94%, 일한 89.00%, 한일 86.69%, 스한 76.90%, 한스 77.46%, 불한 76.28%, 한불 79.78%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공통변환 기반 다국어 자동번역을 위한 언어학적 모델링

        최승권 ( Sung Kwon Choi ),김영길 ( Young Gil Kim ) 한국언어정보학회 2014 언어와 정보 Vol.18 No.1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means the machine translation that is for more than two languages. Common transfer means the transfer in which we can reuse the transfer rules among similar languages according to linguistic typology. Therefore, the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based on common transfer is the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that can share the transfer rules among languages with similar linguistic typology. This paper describes the linguistic modeling for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based on common transfer under development. This linguistic modeling consists of the linguistic devices such as 1) multilingual common Part-of-Speech set, 2) multilingual common transfer format, 3) multilingual common transfer chunking, and 4) multilingual common transfer rules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Validity of this linguistic modeling for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is shown in the simulation. The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based on common transfer including Korean, English, Chinese, Spanish, and French will be developed till 2018.

      • 제한된 도메인에 특화된 기계번역 기술 개발 -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를 중심으로 -

        최승권 ( Sung-kwon Choi ),박은진 ( Eunjin Park ),김영길 ( Young-ki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본 논문은 2005 년부터 2006 년도까지 정보통신부의 지원 하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처리연구팀에서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현재 산업자원부 특허지원센터에서 대용량의 영어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한국어 자동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일반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영한 번역기를 제한된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 영한번역기로 개량하고자 할 때, 개량하는 방법으로써 제한된 도메인에 대한 특화 절차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와 같이 특화 절차에 따라 구축된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 번역률을 특허 분야 중에 주요 5개 분야(기계, 전기전자, 화학일반, 의료위생, 컴퓨터)에 대해 특허전문번역가가 평가한 결과, 평균 82.43%가 나왔다. 또한 전기전자 분야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와 일반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 영한 번역기와의 번역률을 평가한 결과,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는 82.20%, 일반 도메인 대상 영한 번역기는 54.25%의 번역률을 내어, 특허에 특화된 특허 전문 영한 번역기가 특화되지 않은 일반 도메인의 영한 번역기에 비해 27.95%나 더 높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