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 교원의 이해도 및 교수역량 향상 방안 연구
최경애(Kyoung Ae Choi),최연화(Yeun Hwa Choi)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교양교과목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와 활용 수준, 역량기반교육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 역량기반교육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그들의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에 소재한 J대학교 교양교과목담당 교원 18명을 대상으로 FGI가 실시되었으며, 인터뷰 결과는 교원의 강의경력,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 담당 교과목의 학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수준은 교원의 강의경력보다는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기반교육 실천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역량기반교육의 설계 및 실행, 교양교육 특성에 따른 조정, 교육여건 등 세 영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원의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일 경우에는 교과목의 주역량 설정과 같은 기초적인 것부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기반교육의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은 특강과 같은 교육지원, 평가도구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학습지원, 학문 분야별 또는 역량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중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경험이 없는 교원들은 특강 형태의 교육지원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했으며, 특강 등의 일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트와 같은 체험형 프로그램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가도구개발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교원들은 더 구체적인 사례나 정보공유를 위한 교수공동체 및 워크숍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 교과목의 학문 분야가 기초학문인 경우에는 특히 역량기반교육실천에 대한 더 많은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문분야별 사례공유회 및 교수공동체 지원을 더욱 강하게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역량기반 교양교육과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차원의 몇 가지 대응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ests for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CBGE) at university. For this, FGI was conducted with 18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general education at J University in the Chungnam province. Then,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y differ according to instructors’ teaching years, prior training experience(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As a result, first, instructo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levels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turned out to show the bigger difference by prior training experience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n the years of their teaching career. Second, the difficulties faced by instructors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o be various over 3 areas like ins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coordination of studen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gene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ditions. Especially,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in CBE were found out to have more serious difficulties, especially when teaching basic science or theory-based subjects, like determining main competency for his subject. Third, instructors’ support requests for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founded to be diverse such as special lectures, workshops, experience-based projects like CB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ing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or consulting, and teaching communities for sharing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Especcially, the instructors without prior training experience requested firstly basic program like special lecture which provides basic understanding on CBE. Next,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special lecture or consulting experience, requested more experiential program on CBE. On the other hand, instructors who already have a experience of evaluation tool development project for his own subject in CBGE, requested teaching community or workshop for sharing more sophisticated informations and good examples of CB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for CBE were suggested.
노인 정보화교육의 참여동기, 지속동기, 학습지속유형에 관한 연구
최경애 ( Kyoung Ae Choi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노년기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노인들이 성공적으로 습득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이상 정보화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노인 정보화교육의 참여동기와 지속동기 및 학습지속유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를 참여동기와 지속동기로 구분하고, 학습지속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서 1년 이상 컴퓨터 강좌를 수강하고 있거나 이곳 인터넷광장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60세 이상 75세 이하의 노인학습자 15인을 대상으로 정보화교육에 대한 그들의 참여동기, 지속동기, 전개 과정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화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참여동기는 위기감 탈출 욕구, 배움에 대한 욕구, 재취업 및 관련 능력개발 욕구, 여가시간활용 욕구, 주변인의 영향, 실생활의 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또 지속동기는 실생활에 활용함으로써 도움이 되어서, 배우는 일이 즐거워서, 취미생활, 교육봉사, 대인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도움이 되어서, 직무 및 업무에 이용하기 위해 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보화교육에 장기간 참여하는 노인학습자의 학습지속유형은 취업형, 생활형, 취미주도형, 봉사주도형 등 네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arning motivations(starting motivations and continuing motivations) and learning processes in the elderly`s learning computer skills. For this, 15 seniors who has continued to learn the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skills for more than 1 year, in a welfare center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or beginning) motivations of learning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skills were 1) escaping needs from exigency, 2) leaning needs, 3) needs of re-employment or mastering working ability, 4) needs of using leisure time, 5) needs by external expectation, 6) needs of solving daily life tasks. Second, the continuing motivations of learning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skills were through 1) the experience of usefulness of computer skills, 2) the pleasure of learning, 3) the social relationships like amateurs` club, social welfare work, etc., and 4) empowerment for employment. Third, the types of learning continuation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1) employment-oriented type, 2) daily life settlement-oriented type, 3) club-oriented type and 4) social service-oriented type.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인식, 학습결과간의 관계
최경애 ( Kyoung Ae Choi ),이성혜(연구원) ( Sung Hye Lee ),채유정(연구원) ( Yoo Jung Cha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에 대한 인식, 학습결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온라인 과학영재교육(물리, 화학, 생물) 과목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3학년 408명이었으며, 이들은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SPOCQ-K(흥미, 도전감, 선택권, 의미, 학업적 자기효능감)28문항, 교수실재감(교수 설계 및 조직화, 담화 촉진, 직접 교수) 관련 17개 문항 및 지속수강의사 및 만족도 관련 2개 문항에 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및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인식이 높을수록 수업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높은 교수실재감에 대한 인식은 학습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긍정적인 수업인식은 학습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 대한 인식은 교수실재감과 학습결과의 관계를 매개하며 교수실재감이 학습결과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영재교육프로그램이 흥미있고, 도전적이며, 의미있고, 선택가능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수업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학습자가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업 설계 및 튜터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 and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otal 408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o answer 28 items of SPOCQ-K (appeal, challenge, choice, meaningfulness, academic self-efficacy), 17 items of teaching presence survey (instructional design and organization, facilitating discourse, direct teaching), 2 items of persistent intention and satisfaction. SPSS 20.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showed high perception of teaching presence perceived their class positively. Also, students’ class perceptions affected learning outcomes positively. Finally,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discussed how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effectiv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for students to have overall positive classroom perception in terms of appeal, challenge, choice, meaningfuln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role of tutors that makes students experience teaching prese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re emphasized.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시설의 자체평가
최경애(Kyoung Ae Choi)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5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programs in Korea. Scale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divide accreditation standards into 4 areas(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with 60 standards. Standards can be divided into basic criteria and general criteria. The subjects are 149 day care centers(44 infant day care centers and 105 day care centers), and raters(teachers or principal) assessed the quality of each item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lf-evaluation result have marked 3.67 as average(range : 2.32~4.90), which barely meets basic criteria level. 2) Physical environment area has received worst score(3.41) and Health care area has received best score(3.92). 3) Each standard`s score indicate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care program: Feed care(4.29), Affectionate teacher-infant interaction(4.14) were highly rated while Nature environment/anmal/plant(2.75) and Teacher`s facilities(2.74) were rated low. 4) Some variation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number of child, education level of principal.
최연화(Choi, Yeun Hwa),최경애(Choi, Kyoung 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전환과 함께 대두되는 대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 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지역사회 연계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진행되어 온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5가지 유형(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외부활동경험, 봉사관련교과, 봉사학습 등)에 관한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을 위한 여섯 가지 방향 및 과제가 제안되었다. 첫째,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려면 수업과 학생연구를 통해 교과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이 유기적으로 의미있게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 회 연계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의 핵심역량 향상과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교과 교육과정 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역연계교육의 정교한 학습모형이 구안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수업모형과 각 단계별 운영전략을 구체화하고, 그에 따른 교재와 매뉴얼 등을 개발⋅공유해야 한다. 넷째, 대학에서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를 형성⋅관리하고, 교수자들을 지원하고 연결해줄 수 있는 전담조직이 구축⋅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해당 교과목에 책무성을 가진 전문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지역연계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그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전국적인 대학-지역사회-지방정부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생 개인의 역량개발 뿐 아니라 국가적 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역량 향상에도 기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result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which have been receiving intensive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discover the future directions and/or task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firstly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review pertaining to the college-community linkage types and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for liberal arts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between 5 community-linked education models such a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out of class experiences, servicerelated subjects, and service learning,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community-linked educ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5 directions or tasks were proposed: First, in-class activities and community-relate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meaningfully connected through the subjects and students’researc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Second, elaborated learning models for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maximize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other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curriculum or subject. Third, effective teach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this course should be specified, and textbooks and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among the faculty. Fourth, a dedicated body, which is responsible for building networks for regional communities, and supporting and connecting faculty who facilitate this cours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ifth, only highly responsible faculty members should be designated for this subject, so that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this subject’s continuous improvement. Lastly, more research on community-linked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uld be shared to establish a nationwide college-community-local 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which improve not only students’ competency, but also community’s problem solving capacity.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요중 전해질 측정을 통한 식염 섭취량 추정과 고혈압과의 관계 연구
문정주,함선희,최경애,육미이,채영희,김기순,Moon, Joung-Joo,Ham, Sun-Hee,Choi, Kyoung-Ae,Yook, Mi-Ee,Chai, Young-Hee,Kim, Ki-Soon 대한예방의학회 1991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4 No.1
전라북도 완주군의 북부 5개면 지역에서 Na, K의 요중 배설의 양상을 파악하고 일일 식염 섭취량을 추정하며 Na, K 배설과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87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40개 마을을 순회하며 30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537명으로 부터 12시간 야간뇨를 수집하였다. creatinine의 체중당 일일 배설량이, 일정한 연령층에서는 비교적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집된 시료를 선발하였다. 이 검사값이 피검자가 속한 연령층의 신뢰범위에 포함되는 소변만을 정확한 12시간 야간뇨로 인정하였는데 537명 중 345명의 소변이 이에 해당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설된 전해질의 양은 Na의 경우 고혈압군에서는 179.5 mEq, 정상혈압군에서는 203.8 mEq였고 전체의 평균값은 193.5 mEq였다. Na 배설에 있어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12시간 동안 배설된 K의 양에서는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고혈압군이 17.5 mEq, 정상혈압군 23.1 mEq, p<0.01) 전해질 간의 비율에서도 K/creatinine에서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고혈압군 0.040, 정상혈압군 0.050, p<0.05). 2. Na의 일일 배설량은 386.9 mEq였으며 이를 NaCl의 양으로 환산한 값은 22.4 g이었다. 1일간 섭취된 Na의 90%만이 소변으로 배설된다고 가정할 때 NaCl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4.9 g으로 추정되었다. 추정된 1일 NaCl 섭취량에서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23.2g vs 26.3g) 고혈압군의 평균 식염 섭취량이 정상혈압군의 평균값보다 다소 적은 결과를 얻었다. 3. 전체 조사 대상자 중 수축기 혈압이 120 mmHg 이상인 집단에 한하여 혈압이 높아질수록 K 배설량이 감소하는 부분적 역(逆)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고 Na/K 비(比)는 대상자 전체에서 혈압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p<0.05).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urinary excretion of electrolytes (Na, K)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lood pressure, and to estimate the amount of daily salt intake in a rural community. From January to March in 1987, a mobile screeing team visited 40 villages, and carried out health screening of 537 adult volunteers whose age were over 30 years and collected 12-hours overnight urine. To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collection, the urinary creatinine was measured. If the creatinine excretion was beyond the range given to the age group, the sample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as an incomplete collection : 345 samples were remained for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ean excretion amounts of urinary electrolytes for 12 hours were Na 193.5 mEq, K 20.8 mEq, creatinine 1.0 g. The mean ratio of electrolytes were Na/K 9.84, Na/creatinine 0.44, K/creatinine 0.046. 2. Both the mean excretion amount of K and the mean ratio of K/creatinine were less in hypertensives than in normotensives. K excretion also showed a tendency towards a decrease in inverse proportion to systolic blood pressure when it exceeded 120 mmH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ypertensives and normotensives in Na excretion. The sodium to potassium ratio increased in poportion to systolic blood pressure. 3. The mean daily salt excretion amount was 22.4 g. Assuming that 90% of the intake was excreted, the estimated amount of daily salt intake was 24.9 g.
공학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간의 관계
이성혜(Lee, Sunghye),최경애(Choi, Kyoung A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ed to engineering courses and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s a resul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application principle was the most applied and then the problem-centered principle was applied to engineering courses.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that rehearsal strategies are the most used in courses. The most important instructional principle in this study was the problem-centered principle,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problem-centered principle in engineering course, the students were likely to use more deep learning strategies such as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strategy, critical thinking strategy, and metacognitive strategy.
이혜정 ( Hye Jung Lee ),김세리 ( Se Ri Kim ),최경애 ( Kyoung Ae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외국 대학의 교육문화, 교육적 정책, 기관 고유의 운영과 개발의 목적과 비전에 따른 `이러닝 핵심 전략`과 시사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 이러닝 운영 전략의 과제와 발전 방안을 구체화하기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 사례에 해당되는 외국 대학들을 방문하고 관련 담당 책임자 및 실무자들을 인터뷰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이러닝 운영 전략을 위하여 어떠한 정책 및 전략들을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방문 대상은 타임지 세계대학 순위 50위권 내에 드는 우수 대학들에 해당되면서 이러닝 운영 전략이 5년 이상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들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캐나다 UBC, 호주 Monash대학, 싱가폴 NTU, 싱가폴 NUS가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각국의 사례별 이러닝 핵심 전략의 분석 결과, 캐나다 UBC의 경우 교수설계자에 대한 높은 인센티브와 장기간의 체계적인 활동 계획 및 지원, 호주 Monash대학은 교육철학,비전,매체,공간간 유기적 연계, 싱가폴 NTU의 이러닝 콘텐츠의 대량 확보 및 아카이브 구축, 싱가폴 NUS는 까다로운 질 관리 정책을 지원하고 최신 교과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완전학습 전략 등이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시사점 및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할 및 활동 재정립과 적용 방안이 실제적으로 강구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방법, 교육철학, 이러닝 콘텐츠, 시스템, 운영 조직들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면서도 상호간의 일원화와 유기적 연계가 이루어진 이러닝 인프라와 지원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강의의 이러닝화(녹화)를 통한 콘텐츠 대량 확보 및 아카이브 구축 전략을 과감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 콘텐츠의 질 관리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감히 업데이트 시기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들은 현실적인 수용 가능성을 판단한 후 체계적인 도입과 활용의 로드맵을 구상하여 단계적으로 구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e-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ies known for distance learning and e-learning in order to attain strategic implications for e-learning in Korean higher education. Four cases were selected by standards of world high-ranking universities, systematic and strategic e-learning systems, which wer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Canada, Monash university in Australia,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in Singapore, an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 Singapore. As results of the research, five strategic implications we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points of managing human resource should be changed. High incentive and impowerment is necessary for instructional designers and curiculum designers. Second, systemically organizing various teams and organizations for e-learning is important when they are heading identical vision and goal. Third, utilizing elaborated e-portfolio for instruction can innovate teaching philosophy, strategies, and skills. Fourth, shortening updating term of e-learning contents decisively is inevitable when quality control is needed. Fifth, policy makers should employ and perform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in order to enhance instructional quality. To transform these implications into actual strategies, educational culture and vis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and then introduce the strategies step by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