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R - Trees 구축방법

        차정숙(Jung-Sook Cha),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그 양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색인이 필요하다. 여러 공간 색인 방법들 중에서 R-tree는 삽입과 삭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동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질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tree는 삽입되는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트리의 구조가 달라질 있는데, 주어진 데이터가 수정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면 데이터 입력 순서를 결정하여 질의 성능이 가장 좋은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가 자주 수정 되지 않는 환경에서 노드간의 중첩을 가장 최소화 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인 CSR-tree를 제안하고자 한다. CSR-tree는 일반 R*-tree와 hilbert packed R-tree 방법보다 향상된 질의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진아 ( Jin A Cha ),김강은 ( Kang Eun Kim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박유경 ( Yoo Kyoung Park ),백희준 ( Hee Joon Baek ),이송미 ( Song Mi Lee ),최수경 ( Soo Kyong Choi ),정숙 ( Jung Sook Seo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SDTS 변환기 구축을 위한 CASE Tool

        정선영(Sun-Young Jeong),차정숙(Jung-Sook Cha),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Ⅰ

        공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분석과 응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공간 데이터는 그 제작 기관에 따라 모델링 방법과 포맷이 서로 다르다. 이처럼 서로 다른 형식의 데이터들 간의 상호 변환이 필요함에 따라 공간 데이터 변환을 위한 표준안들이 제시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교환 표준으로 SDTS를 채택하였다. 하지만 사용자의 데이터 포맷을 SDTS 교환 포맷으로 바꾸어 ISO8211 파일로 전환하는 작업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사용자의 데이터 포맷과 SDTS 교환 포맷 사이에 쉽게 변환해 줄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 방재 성능 비교 시스템 구축을 위한 화재관련 법규의 건축 용도별 분류

        신호섭(Shin, Ho-Sub),석창목(Suk, Chang-Mok),차정숙(Cha, Chung-Sook),한주형(Han, Ju-Hyung),김용연(Kim, Young-Y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춘계

        Korean city had been rapid developed through high industrial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after the 1970's. The city development process was guaranteed the fulfillment of city function through the city expansion based on New Towns and satellite cities rather than the reformation of existing city. This city expansion caused by degrading of city, being backward and producing many problems. To solve this problems, it was considered the rehabilitation of retarded function with rejuvenation such as a special law accelerating urban renaissance and reorganization project. Also a fire protection performance did not satisfied the required conditions of modern FPP system, such as the function deterioration of building facilitie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FPP facilities, changed fire laws and building occupancy for social needs. Insufficiency of requirements depreciated the building value and intimidated a safety of residents. To solve this problem, the improvement of FPP was essentially required and also strongly recommended an analysis an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required FPP of existing building and it improving effective FPP.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stablish the basic data to construct a system to analyze and compare the building FPP.

      • 국내 건축물 내진 보강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진각국의 매뉴얼 비교 분석

        김용연 ( Kim Young-yeon ),석창목 ( Suk Chang-mok ),차정숙 ( Cha Jeong-suk ),한주형 ( Han Ju-hyung ),신호섭 ( Shin Ho-sub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presents the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the seismic retrofitting system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related manuals of the existing low rise building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seismic retrofitting manual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inally, some analyses are drawn to supply the valuable data for the related manuals in Korea in conclusion.

      • 선진각국의 매뉴얼 비교 분석에 따른 국내 건축물 내진 보강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

        김용연 ( Kim Young-yeon ),이재성 ( Lee Jae-sung ),신호섭 ( Shin Ho-sub ),차정숙 ( Cha Jeong-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the seismic retrofitting system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related manuals of the existing low rise build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method of the study is for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seismic retrofitting manual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inally, some analyses are drawn to supply the valuable data for the related manuals in Korea in conclusion.

      • 선진각국의 매뉴얼 비교 분석에 따른 국내 건축물 내진 보강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

        김용연(Kim, Young-Yeon),이재성(Lee, Jae-Sung),신호섭(Shin, Ho-Sub),차정숙(Cha, Jeong-Suk)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0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the seismic retrofitting system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related manuals of the existing low rise building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method of the study is for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seismic retrofitting manual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inally, some analyses are drawn to supply the valuable data for the related manuals in Korea in conclusion.

      • KCI등재

        암 환자의 임상영양치료를 위한 임상영양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 개발

        최수경 ( Soo Kyong Choi ),위경애 ( Gyung Ah Wie ),이송미 ( Song Mi Lee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손정민 ( Cheong Min Sohn ),우미혜 ( Mi Hye Woo ),주달래 ( Dal Lae Ju ),진아 ( Jin A Cha ),정숙 ( Jung Sook S 대한영양사협회 20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1 No.2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through development of job standards of clinical dietitian for the clinical nutrition therapy to cancer patients in hospitals.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job analysis and development of job standards for clinical dietitians for cancer care. Based on DACUM analysis, information about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for cancer care was collected. Developed job standards were applied to clinical nutrition care for cancer patients in hospitals for evaluation. Based on DACUM analysis, consultations from professionals, and field application tests, the final job standards were composed of four duties, 18 tasks, and 56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and nutrition monitoringㆍevaluation. For cancer nutrition care, 109 work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y were composed of 75 basic and 34 recommended work activities. The application of developed job standards for clinical dietitians for cancer care at 10 hospitals showed a performance rate of 72.3%. In conclusion, job standards for clinical dietitians for cancer care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effectively used as guidelines for provi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s for cancer patients in hospitals.

      • KCI등재

        당뇨병 환자의 임상영양치료를 위한 임상영양사의 직무표준 개발

        권수진 ( Su Jin Gwon ),우미혜 ( Mi Hye Woo ),주달래 ( Dal Lae Ju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손정민 ( Cheong Min Sohn ),위경애 ( Gyung Ah Wie ),이송미 ( Song Mi Lee ),진아 ( Jin A Cha ),정숙 ( Jung Sook Seo 대한영양사협회 20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job standards for clinical dietitian administering clinical nutrition therapy to diabetic patients in hospitals. Based on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analysis of 17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researchers, information on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for diabetes care were derived and applied to diabetes mellitus- specific clinical nutrition care in hospitals for evaluation. The final developed job standards for clinical dietitians for diabetes care included four duties, 19 tasks and 56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and nutrition monitoringㆍ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diabetes mellitus-specific job standards in clinical nutrition care, 108 work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classified into 90 basic and 18 recommended types. Performance rates of standardized jobs were 80.2% at nutrition assessment, 99.6% at nutrition diagnosis, 78.5% at nutrition intervention, and 32.9% at nutrition monitoringㆍevaluation.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as guidelines to implement jobs for diabetes mellitus-specific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clinical settings. In addition, they would be useful for education standard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clinical dietitian.

      • Testicular Toxicity of 2-Bromopropane in Male Sprague-Dawley Rats

        Cha, Sang-Eun,Park, Sang-Rae,Kim, Kgu-Hwan,Choi, Jeung-Suk,Kim, Sung-Kuk,Jeon, Tae-Won 한국환경독성학회 2000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5 No.4

        택트 스위치 제조공정 침지액의 주성분인 2-bromopropane 독성에 대한 연구로 최단기의 폭로로 농도를 달리하여 3주간 반복 투여 시험을 시행하여, 흰쥐의 혈액 및 세정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투여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 고환, 간, 신장 등의 장기무게, 혈액화학과 혈액학적 분석 및 고환의 병리조직의 변화 등을 관찰하여 2-bromopropane의 급성투여 조건에서의 중독현상을 비교렉劇?臼눼?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에 따른 체중변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1,000㎎/㎏ 투여군에서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구용적과 혈색소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p<0.05)를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정소에서는 세정관의 정조세포와 정모세포의 괴사를 볼 수 있었고, 기저막의 비후, 세정관의 Sertoli 세포는 광범위하게 세포질성 공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간질조직에서는 Leydig 세포의 증식을 볼 수 있었다. 2-bromopropane의 손상부위는 조혈과 생식계가 표적으로 생각되며, 고농도 투여가 저농도 투여에 비해 독성이 심하며 독성물질의 양-반응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2-Bromopropane, important industrial chemical, specially in electronic industry at Yangsan in Korea has been reported to cause amenorrhea for female and azoospermia, oligozoospermia or reduced sperm motility for male. 2-BP was investigated through 21 days of repeated dose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e dose levels per body weight were 0 (control), 250, 500 and 1,000 mg/kg.'2-BP dissolved in vehicle olive oil was injected into the intraperitoneum 6 times per week for 3 weeks, but 1,000 mg/kg dose group was 2 weeks because of serious illness. Male ra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right and left testis showed typical weight losses depending on the 2-BP.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 and red blood cell, percentage of monocytes, and hemoglobin decreased significantly in high dose (P<0.05). Red cell volume distribution width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igh dose (P<0.05).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estes showed a decrease of spermatogenic cells, exfoliation of spermatid and spermatocyte, vacuolization of Sertoli cells and hyperplasia of Leydig cells. Protein band density between 113,000 dalton (β-galactosidase)and 53,900 dalton (ovalbumin) has decreased in 250 mg/kg dose group, but it has gradually increased to the higher density in 1,000mg/kg dose group than in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