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MP-2-Enhanced Chondrogenesis Involves p38 MAPK-mediated Down-Regulation of Wnt-7a Pathway

        진은정,강신성,이선영,최영애,정재창,Ok-Sun Bang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06 Molecules and cells Vol.22 No.3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family has been implicated in control of cartilage development. Here, we demonstrate that BMP-2 promotes chondrogenesis by activating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which in turn downregulates Wnt7a/β-catenin signaling responsible for proteasomal degradation of Sox9. Exposure of mesenchymal cells to BMP-2 resulted in upregulation of Sox9 protein and a concomitant decrease in the level of β-catenin protein and Wnt-7a signaling. In agreement with this, the interaction of Sox9 with β-catenin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BMP-2. Inhibition of the p38 MAPK pathway using a dominant negative mutant led to sustained Wnt-7a signaling and decreased Sox9 expression, with consequent inhibition of precartilage condensation and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Moreover, overexpression of β-catenin caused degradation of Sox9 via the ubiquitin/26S proteasome pathway. Our results collectively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Sox9 protein resulting from downregulation of β-catenin/Wnt-7a signaling is mediated by p38 MAPK during BMP-2 induced chondrogenesis in chick wing bud mesenchymal cells.

      • KCI등재

        지역의 문화기반시설을 활용한 문화생태학적 미술·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진은정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4

        최근 다양한 사회적 논의들이 문화 담론 안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술교육 또한 문화와 통합의 논리에 따라 교육적 양상이 전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와 통합의 논리에 따라 지역의 문화기반시설을 활용한 문화생태학적 관점의 미술·과학 융합 프로그램 구안에 대한 논의이다. 지역성에 근거한 다양한 테마들이 검토되고, 각 테마와 결부된 삶의 이야기들에 녹아 있는 과학과 기술의 원리를 확인하여 미술교육의 형식으로 풀어가는 융합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을 지향하면서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추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지역, 삶, 과학, 그리고 미술이 매개되고 소통되는 미술교육의 장이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various social discussions tend to be made in cultural discourse. Art education also tends unfold based upon the logic of culture and convergence. This study discussed possible art·science convergence programs from a cultural-ecological viewpoint using a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logic of culture and convergence. It reviewed a variety of themes based on locality, confirm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inciples meld in life stories intermingled with each theme and developed convergence programs unfolded in the form of art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seeking humanistic values of art education in pursuit of art education for life. It’s expected that a venue of art education, where locality, life, science and art are mediated and communicated, will be prepared.

      • KCI등재

        도시 공간, 일상, 미술에서의 시간성을 중심으로 사회참여 미술의 교육실천적 의미 고찰

        진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4

        As a medium that leads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in reality, socially engaged art is one of the art genres exemplifying the public value of art [by playing such roles as sparking people’s interest in crucial social matters. More importantly, it is expected to encourage collective communication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public that would bring about social change. To begin we examined urban spaces in which the majority of people reside today and their daily lifestyles in those spaces, and were able to discover that uniquely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bureaucracy, the humdrum of daily life, and issues of alienation, have continually deepened over time. Moreover, art—that was previously viewed as an individual’s creation—has come to be seen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collective creation is also taking place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participants. In addition, art, which was a spatial concept, is being accepted as a temporal element thanks to the medium’s development, and now has variability as an act itself with the process recognized as a work of art. The mechanism of performance art gives rise to socially engaged art by adding practicality and action to resolving issues in real life. Socially engaged art requires an integrative approach to various other fields. It requires not only interest in others,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the ability to make use of it, but also needs a process of critical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That educational experience, which aims for praxi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a more proa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in life and that can be regarded as socially engaged art’s educational value. 이 연구는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의미 고찰을 위해 대다수 현대인이 거주하는 도시 공간과 그곳에서의 일상적 삶의 모습을 정리하면서 관료제, 일상성, 소외 문제 등으로 대표되었던 도시생활의 특성이 여전히 지속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런 가운데 동시대 미술은 개인과 공동체를통합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참여 주체간의 협업을 통한 집단 창작도 수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의 확장은 물론, 미술에 시간성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기에 이르면서 과정상의 행위 자체가 작품으로 간주되는 등 변동성까지 내포하게 된다. 그중 사회참여미술은 미술이 공동체 구성원들의 현실 참여를 이끄는 매개가 되어 사회적 쟁점사항에 대한 주변의 관심과 변화를촉발시키면서 미술의 공적 가치를 보여주는 장르라 해석할 수 있다. 행위예술의 예술적 개념과 작업 방식에, 크고 작은 우리의 삶속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행위가 더해짐으로서 매체 간, 영역간의 통합적 접근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었다.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교육활동 구안을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관심,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능력, 참여자들 간의 비판적 대화 과정 등이종합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특히 실천 지향의 교육활동으로 자아와 타자,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 지어 바라보는 경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끝으로 삶을지탱하는 힘을 키우고 인간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시대의 직면 문제를 극복해내는 역량을 키우는 학문이 인문학이니 만큼, 미술교육 또한 그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안무가 안은미의 춤을 통한 동시대 예술의 이해와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 "안은미래"를 중심으로

        진은정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1

        The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contemporary art and seeking directions for school art education, focusing on choreographer Eunme Ahn, who recently held a retrospective at an art museum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her debut. To this end, we will take a genera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anc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orld around choreographer Eunme Ahn’s exhibition "Eunme Ahn_Known Future". Then, the two media, Dance and Art, will be examined by setting up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 art as the point where they meet, and the meaning of the space between the boundaries in fusion and composite art will be discussed. Through final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ance performed by choreographer Eunme Ah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art in our lives of contemporaneity. 이 연구는 최근 데뷔 30주년을 기념해 서울시립미술관에서 회고전을 가진 안무가 안은미를 중심으로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고 학교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동시대성 댄스의 특성을 개괄적으로 살피고, 안무가 안은미의 전시 "안은미래"를 중심으로 그의 춤 세계가 지닌 특성을 정리한다. 그런 다음 무용과 미술이라는 두 매체가 만나는 지점으로 퍼포먼스와 설치미술을 설정하여 살피고, 융·복합 예술에서 경계와 사이 공간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안무가 안은미가 보여주는 춤에 대한 해석은 인류학적, 융·복합적 접근이 예술이 우리의 일상적 삶을 이해하면서 동시대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이 점이 학교미술교육에 의미하는 바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진은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On the ground of current curriculums which are centered 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capability,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teacher's role and position as an environmental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on an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will focus on teacher, one of the integral elements in building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undamental, intrinsic angle where human behavior itself is seen as learning environment, while it has been focused on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ll the whil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look over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trends in general education and also to examine art-education condition at school through schoolteachers' perspectives on and insight into art education, and features of the faculty culture. This can reestablish schoolteachers' positions and roles in art education and project how important their behaviors are in creating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to understand life and culture better. Additionally, since their demeanor, utterance, facial expressions, including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re naturally exposed to students, can play involuntary but critical roles at school, serving as curriculums unknowingly, teachers should introspect continuously and make an effort to utilize such daily school life as the very art education. 이 논문은 삶과 문화의 맥락이 강조되는 현대미술교육과 역량 중심의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미술교육을 위한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에 대해 논한다. 그동안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가 물리적 환경론에 치우쳐왔다면, 인간 활동 그 자체를 환경으로 보는 내재적 관점에 입각하여 미술교육환경 구성의 주체 중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를 풀어간다. 이를 위해 오늘날 미술교과교육의 특성과 현대교육일반의 동향 및 새롭게 주목받는 지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정도, 교사문화의 특징을 통해 학교미술교육의 상태 및 교육 여건에 대해 진단해보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오류와 간과 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재설정하고, 교사의 역량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학교미술교육의 정상화와 활성화를 위한 선행 조건임을 지적한다. 생활공간인 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주하는 교사의 태도, 언행, 표정 등 교사의 언어적 행위뿐 아니라 비언어적 행위까지 교육내용이 되어 전달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역할을 하는 만큼, 교사는 문화적 환경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하고, 학교생활 자체가 학교미술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학교미술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예술가의 창작과 일상’ 탐구를 통한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접근

        진은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2 No.-

        This study is exploring where art education as the humanities should be headed through the quest for everyday life and creativity of an artist.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ho has marital relations with the researcher] majored in the oriental painting and has been working as an established writer in A. Research on this artist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portraiture,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two world will be explored separately - one is an artistically re-created world where the artist manifests his creativity through his works of art and the other is a real life where the artist leads an ordinary life spatio-temporally. There will be further debate over implications that can be drawn out of this research. Hereby, even today's society where the meaning of knowledge is continuously changing, there is no doubt that art is overwhelmingly related with our life and it is vital for our society to reconsider whether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s fully appreciated in the education system. 이 연구는 한 예술가의 창작과 일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에대한 방향과 가치를 탐색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A지역에 거주하며 활동 중인 지역의 중견작가이다. 연구자와는 배우자 관계에 있으며 그에 대한 탐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초상화법을 기반으로 한다. 예술가의 창작세계가 주제를 중심으로 정선되어 드러나는 작품전 중심의 세계를 예술창작세계라 보고, 그 외의 시공간에서 엿보이는 예술가의 생활 속 모습들을 일상생활세계로 보면서 두세계를 탐구한다. 그 결과, 예술가의 창작세계는 일상생활세계를 토대로 분출되는 세계였으며, 삶의 조건이나 환경을 반영하되 지속되는 일상의 틈과 사이의 세계에서 낯섦을 포착하고 길을 찾는 저항적 움직임이 특징적이었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이 기능과 형식에 앞서 세상을 바라보는 눈에 대한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하며, 교과교육시간을 넘어 일상생활과 연결·지속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마련을 위해 미술교육이 일상생활세계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인문학으로 기능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발견이자 앞으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제안이기도 하다. 지식의 개념조차 변하고 있는 오늘날, 예술은 우리의 삶과 보다 직접적으로관계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며, 교육 내 미술교육의 가치와 비중에 대한 재고를 우리 사회에 요청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