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소학론

        진원 ( Yuan Chen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7

        다산은 주자의 대학론과 소학론을 모두 비판한다. 그는 『大學公議』를 통해서 대학은 장차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들이 배우는 치국평천하의 大道를 가르치는 학교고, 소학은 小藝와 小道를 가르치는 학교라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小學枝言』을 통하여 小藝는 字學이고 小道는 孝悌의 도리라는 점을 밝혔다. 다산에게 고대 대학과 소학은 연령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규모의 大小와 道藝의 大小로 구분된 것이다. 한편 다산은 『小學』의 쇄소응대진퇴의 일이 학교에서 어린이에게 가르치는 내용으로 삼을 수 없지만, 사람으로서 평생 동안 학교나 집안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항구한 職務라고 지적했다. 이것은 다산이 일상생활에서 인륜의 일들을 행함으로서 孝悌慈를 실천하는 일용공부로 대학의 誠意工夫를 이해하는 방식과 일관된다. 다산의 이러한 『小學』과 『대학』의 이해 방식은 그의 함양론에 대한 성찰과 연관되어 있다. 다산에 있어서 함양공부는 일상생활에 효제의 일에서 性을 존양하는 일용공부이다. 다산은 기본적으로 性, 未發, 存心 등 성리학의 근본 개념을 주자와 완전히 다르게 재해석하고 주자와 다른 심성이론을 수립한 바탕에서 소학론을 제시하였다. 다만 다산은 주자의 『小學』을 쇄소응대진퇴의 일용공부를 통해 평생 동안 孝悌의 인륜을 실천하는 工夫書로 수용하고 활용했다. Chashan completely denied Zhuzi`s theory of XIAOXUE. In DAXUEGONGYI, he claimed that XIAOXUE is only to teach “Xiaoyi” and “Xiaodao”. In XIAOXUEZHIYAN, he further elaborated that “Xiaoyi” refers to 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s and “Xiaodao” refers to the filial piety and fraternal duty. In addition, he pointed out that sprinkling, sweeping and responding are the obligations and duties that everyone must fulfill at school and home. The understanding of Chashan about sprinkling, sweeping and responding is linked with the theory of cul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년 임대아파트 공용 공간에 대한 공생(Symbiosis)디자인 적용 연구

        진원(Chen, Yu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With the sustained economic growth of the city, the youth of this period live in a fast-rhyped urban life and a fiercely competitive society. Young people are the main players in urban development. But for those who have no choice but to live in studio, monthly rent and rented rooms due to high rents, improving living conditions is the most urgent issue. Currently, youth rental apartments in the form of government investment, private investment and joint venture are being built, but research on the design of public space for youth rental apartments is relatively insufficient and there are also many problem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For example,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form of public spaces in youth apartments being monotonous, the inability to form systematic designs in some public spaces, and the lack of designs aimed at special need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theory, this paper first analyzes and explains the role of symbiosis design as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the role of symbiosis design permeating the space, function, culture and environment of youth rental apartment. Based on this, four cases of symbiosis design were analyzed. The four examples are Gangnam Apartment in Seoul, South Korea, AMC Apartment in Warsaw, Netherlands, Marseille Apartment in France and Zurich Haus G Apartment in Switzerland. Based on the above cas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symbiosis of public space in youth rental apartments are comprehensively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young people aged between 22 and 35 were analyzed and the conclusion of symbiosis design was presented: Open everything physical in the space and incorporate i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mosphere. 도시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이 시대 청년들은 빠르게 흘러가는 도시 생활과 치열한 경쟁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청년들은 도시 발전의 주역이다. 그러나 높은 금액의 임대료로 인하여, 원룸, 월세, 셋방(전세) 등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그들에게 생활 여건 개선은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현재 정부투자, 민간투자, 합작투자 형태의 청년 임대아파트가 건축되고 있지만, 청년 임대아파트 공용 공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디자인 및 건축 과정에 있어서도 문제가 많다. 예를 들어, 청년 아파트의 공용 공간의 형태는 단조롭고, 일부 공용 공간에는 체계적인 디자인을 형성하지 못하며, 특별한 수요를 겨냥한 디자인 부족 등의 문제들이 있다. 본 논문은 우선 기존 문헌과 이론에 근거하여 공생(Symbiosis)디자인을 연구의 시발점으로 하여, 공생(Symbiosis)디자인이 청년 임대아파트의 공간, 기능, 문화, 환경에 스며드는 역할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청년 임대아파트 공용 공간의 공생(Symbiosis)디자인을 적절히 적용한 사례 4가지를 분석하였다. 4가지 사례는 ‘한국 서울 강남 아파트’, ‘네덜란드 바르샤바 AMC 아파트’, ‘프랑스 마르세유 아파트’, ‘스위스 취리히 Haus G 아파트’다. 위의 사례 분석을 토대로 청년 임대아파트 공용 공간 공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22-35세 사이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공간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모든 것을 개방하여 주변 환경 분위기와 함께 접목시키다” 라는 공생(Symbiosis)디자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자학의 확산에서 본 설선(薛瑄) 학문의 성격

        진원 ( Yuan Chen ) 퇴계학연구원 2010 退溪學報 Vol.127 No.-

        본 논문은 주자학의 확산과 관련한 薛瑄의 학문적 위상을, 薛瑄의 저서가 간행된 상황, 薛瑄의 학문에 대한 평가, 理의 동정과 관련한 이론적 입장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明淸과 朝鮮에서 薛瑄의 저서 가운데 「讀書」 二錄이 「要語」, 「類編」, 「條貫」 등 변형된 판본과 함께 유행하였다. 薛瑄의 학문은 중국과 조선에서 모두 실천공부와 연관해서 수행의 실제적 지침으로 주로 활용되었는데, 조선의 경우 퇴계와 그의 후학들이 율곡학파보다 더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활용하고 있다. 율곡은 道統의 전수 과정에서 薛瑄을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중국에 비하여 주자학의 도통에 대한 엄격한 이해를 보이고 있다. 曺端과 薛瑄의 경우 理가 동정할 수 있다는 것은 氣와 분리되어 리가 독자적으로 동정할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氣에 대한 理의 형이상자로서 주재하는 위상에 있음을 불완전하게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곧 태극과 음양은 서로 섞이지 않고 서로 떨어지지 않는 관계에서 태극은 음양의 동정의 주재자, 즉 동정의 소이연으로서 음양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동정하게 한다는 취지로 해석되며, 그런 점에서 태극 자체가 동정할 수 있다는 측면을 강조하여 해석한 陳來 등의 관점은 曺端과 薛瑄의 취지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explored Xue Xuan`s academic status in the diffusion process of Zhuxi`s philosophy by the publication state of Xue Xuan`s, the evaluation of Xue Xuan`s knowledge and the theoretical commitments of Li`s activtiy and quiet. Xue Xuan`s works as well as deformed versions such as Dushulu(「讀書錄」), Dushuxulu(「讀書續錄)」, Yaoyu(「要語」), Leibian(「類編」), Tiaoguan(「條貫」) widely spreared in Ming and Qing Dynasties. And, Xue Xuan`s knowledge was related with practice Gong-bu as a guide of self-cultivation in both China and Joseon. Toegye and followers` for the evaluation of Xue Xuan was more active than that of those from Yulgok school. Xue Xuan was excluded from Confucian tradition by Yulgok school which indicated that Yulgok school showed more cautious attitude for Zhuxi`s Philosophy tradition compared to China. Because there is no `li` of activity and quiet whiout `qi`, `li` as the metaphysical corresponing to `qi` exhibits superintendence status. While Cao Duan and Xue Xuan believed that li can be activity and quite was an incomplete statement for this superintendenc estatus, that is to say, the Supreme Ultimate and Yin-Yang show not only no separation but also nonmiscibility. The Supreme Ultimate as the arbiter of Yin-Yang and activity and quiet is the reason why activity and quiet exist. On this point, Chen Lai et al. emphasized the Superme Ultimate self can be activity and quiet, which did not reveal the purport of Cao Duan and Xue Xuan`s.

      • KCI등재

        청년층을 위한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 연구조사 : 청년층 거주 행위 특징 중심으로

        진원(Chen, Yu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청년층의 대부분은 사회 초년생이기에,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 속한다. 하지만, 도시의 집값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주택난이 청년층 저소득층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은 현재의 시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로 인하여, 청년층은 주거 장소로 소형 주택 공간을 선택해야 했고, “개미족”, “판자촌”, “하우스푸어” 등은 사회 초년생들의 대명사가 되었다. 소형 주택은 주로 보금자리주택사업 중인 저렴한 임대주택과 일부 면적이 작은 일반분양주택이 해당된다. 이것은 시대의 발전에 순응하여 생겨난 일종의 신형 주택 형식으로, 주로 마주하는 대부분의 세대는 80, 90년대의 청년층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소형 주택은 공간의 제한, 단일화된 형식, 공간의 레이어드(층위감)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고, 제한적인 공간은 문화의 파생적인 교류를 저해한다. 동시에, 청년층의 주거용 주택 기능에 대한 만족에 있어, 소형 주택에는 일정한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청년층의 개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청년층의 주거 행위 습관과 심리적 특징을 조사 · 분석하고, 소형 주택에 대한 기능적인 수요를 이해하고, 소형 주택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위주로 주거 습관과 주거 환경에 대한 기능적 수요를 결합하여, 소형 주택의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와 같은 소형 주택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주택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선 소형 주택의 개념, 이론 연구와 주거 행위에 대한 문헌 자료를 통해 진행되었다. 다음 단계로 19~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 설문지 271건을 발췌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청년층의 소형 주택에 대한 주거 행위 특징, 공간 수요, 취미 선호도를 살펴보았고, 나아가 청년층의 주거 공간 기능에 대한 수요와 생활 방식을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국가별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소형 주택의 특징과 공간 구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능 복합, 회로 공간, 수직 공간, 모듈 공간의 네 가지 측면에서 소형 아파트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디자인 기능의 다양화에 유의하였다. 또한, 세부 설계를 중시하여, 주택 공간을 최적화하여, 주택 공간의 쾌적함을 제공하고, 청년층의 소형 주택의 디자인 요구의 목적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후에 시작될 연구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Most of the young people are newcomers to society, so they generally belong to the low-income class. However, it cannot be overlooked at this point that housing shortages are putting a serious burden on young people and low-income families as housing prices in cities are on a high march. For this reason, young people had to choose a small housing space as their residential area, and ant , shantytown , and house poor became synonymous with newcomers to society. Small houses mainly include cheap rental housing in the Bogeumjari housing business and general pre-sale housing with a small area. This is a kind of new type of housing created by adap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most of the households encountered are young people in the 80s and 90s. However, through previous studies, problems such as space limitation, unified form, and lack of layered (level sense) of space were found in existing small houses, and limited spaces hinder cultural derivative exchanges. At the same time, since there are certain problems in small houses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housing function of young people,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of young people cannot be satisfied. Therefore,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housing behavior habi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understands the functional demand for small houses, and suggests ways to optimize and improve the design of small houses by combining residential habits and functional demand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small house design as it is today, it is important to study small house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goals, this study was first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data on the concept of small housing, theoretical research, and residential behavior. As the next ste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ople in their 19s and 30s, and 271 valid questionnair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surve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behavior, space demand, and hobby preferences of young people for small houses were examined, and furthermore, the demand and lifestyle for residential space functions of young people were clarifi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urrent small housing space design by country,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mall housing were sought. Finally, in the process of proposing the design of small apartments in four aspects: functional complex, circuit space, vertical space, and module space,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s and diversification of design functions. In addition, detailed design was emphasized, housing space was optimized to provide comfort for housing space, and to focus on the purpose of the design needs of small houses for young peopl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