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 창의성과 보상과의 관계연구

        진경희 ( Kyung Hee Jin ) 창조교육학회 2008 창조교육논총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eeing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preschoolers creativity and the rewa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preschoolers, the tool used for measuring the research was the Amabile`s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CAT). SPSS 10.0 program was used for data-processing to put convincing verification between the groups into practic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hat social reward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choolers creativity, but materialistic rewards have a signigicant negative effect on it. The value of this research is, as we seeing how the rewards affect korean preschoolers creativity, offering the data that gives us how to use rewards at education. In brief, it is desirable that we give more social rewards (praise, prize, ect) than material rewards (toy, candy, ect) in homes as well as school.

      • KCI등재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진경희(Jin Kyung Hee),유수정(Yoo Soo Jung),정영실(Jung Young Si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9∼20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가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I시에 위치하고 있는 보육기관 총 29개소의 영아반 교사 87명과 영아 109명을 대상으로 영아 어휘력 측정도구(MCDI-K), 교사 효능감 평정도구(STEBI), 영아 공동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중 일반적 교사 효능감은 어휘력 전체와 표현어휘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9∼20개월 영아의 공동주의 중 지지적 공동주의와 협응적 공동주의는 어휘력 전체와 표현어휘, 이해어휘 모두에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와 어휘력의 영향력에서는 영아의 공동주의 중 협응적 공동주의가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지지적 공동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어휘력 증진을 위해 영아의 협응적 공동주의와 지지적 공동주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아반 교사는 질 높은 상호작용을 통한 지지적, 협응적 공동주의 상황을 마련해 줄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infant’s joint attention influences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and the develop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r this, the study is conducted with eighty seven infant class teachers and a hundred nine infants from twenty nine daycare centers in I city of North Jeollaprovince by using MCDI-K, STEBI, and the measuring tool for infant’s joint-attention.As a result, firs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general teacher’s efficacy of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Second, this study exposes that both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from infants(9-20month) joint attention show positive relations among the whole vocabulary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vocabular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supported joint attention when it comes to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infant’s joint attention, and effect of vocabulary ability. In summation, this study explains the importance of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for advance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us, it is necessary for teacher to provide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rough interactions.

      • 어린이집의 교사 유머감각과 창의적 분위기와의 관계

        진경희(Jin, Kyung-hee) 창조교육학회 2012 창조교육논총 Vol.14 No.-

        This study examines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teachers' sense of humor and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educare teachers from Seoul, Gyeonggi-do, Chungcheng-do, and Jeonra-do. Spss version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educare teachers' sense of humor and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therefore, for improving the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we should develop a program, which promotes educare teachers' sense of humor.

      • KCI등재

        반려견을 위한 유니트 가구 디자인 개발

        진경희(Jin, Kyung-heui),정복상(Chung, Bok-sa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반려동물 시장은 1인 가구와 노년 인구 증가로 매년 15~20%씩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도 1,000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인구의 20%에 육박하고 있다. 계속되는 경기불황에도 반려동물산업이 지속적,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는 이유는 애완견을 소유물이 아닌 가족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의식주 전반에 걸쳐 정신적·물질적 노력을 아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외 관련산업의 규모와 성장에 맞춰 반려동물 용품의 질적, 양적 다양성과 신규시장 진출을 위해 새로운 제품군과 디자인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과 반려인이 같은 공간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적층과 조합이 가능한 반려견용 유니트 가구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공간의 크기나 사용목적에 따라 필요한 유니트를 선택할 수 있고, 쉽게 구성방법을 바꿀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유니트로 개발된 품목은 반려견에게 독립적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식사할 수 있는 식탁, 옷과 장난감 등을 보관하는 옷장, 그 밖의 위생용품과 사료 등을 보관하는 수납장이다. 개발된 4종의 개 전용가구는 hinge, runner 등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판재형태의 모듈로 이루어진 넉다운 방식의 가구이다. 판재형태의 모듈로 구성된 각 유니트(하우스, 옷장, 수납장, 식탁)는 플랫팩(Flat Pack)1) 으로 물류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포장과 보관, 이동이 편리한 넉다운 형식의 반려견 전용 가구는 B2B 시장에서 상품의 물류비용을 감소시키고, B2C 시장에서 택배서비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연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반려동물 관련용품 시장에서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펫가구 개발에 계기가 되어 반려동물과 반려인들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기를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ged population, the pet industry is rapidly growing 15~20% annually. Those who raise their own pets are approximately ten million, marking 20% of the total population. Despite the ongoing economic regression, the pet industry's impressive growth continues because of the fact that more people are willing to accept their pets as their companions, not mere properties; and are no more hesitant to spend their money for the welfare of "men's best friend".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new product family and designs are developed in order to go hand in hand with the size and the growth of the related markets. Such efforts may not only improv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versity of pet products, but also meet the needs of firms willing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With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in mind, the following research has developed "unit" furniture designs that enable consumers to live with their pets in a more efficiently used space. Consumers just need to purchase different kind of units and assemble them accordingly. This approach allows the market to flexibly respond to individual consumer’s preferences and needs. Four kinds of unit were developed in the following research: the “House Unit”, which provides individual space for dogs, the “Table Unit”, with which pets can dine in a comfortable posture, the “Closet Unit”, where owners can put clothes and toys; and the “Cabinet Unit”, where foods or snacks can be stored. All of the four products are KD (Knocked-Down) furniture which is comprised of board-form modules. Thus, they do not require any hardware such as hinges and runners, making it easier for consumers to customize the products. Moreover, each unit (House, Closet, Cabinet, and Table) can be packaged in a Flat Pack since they consist board-form modules. This enables the KD pet furniture to curtail the logistics cost in the B2B market, and to be utilized in the B2C marketthroughhome-deliveryservice. It is our humble wish that the following research may become a cornerston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pet furniture designs and related industries; and moreover a contribution for enhancement of the welfare of pets and their owners.

      • KCI등재

        보육시설의 창의적 분위기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경희(Jin Ky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현실에 적합한 창의적 분위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전라지역의 보육교사 6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아이디어지원, 갈등, 도전, 자유, 위험감수, 생동감, 신뢰, 7개 요인으로 구성된 총 21문항의 보육시설의 창의적 분위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의 전체 Cronabach α는 .859로 양호하며,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GFI=.944, AGFI=.922, CFI=.954, NFI=.924, RMR=.028, RMSEA=.047로 지수들이 적절하게 나타났고, 공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를 통해 본 척도가 보육시설의 창의적 분위기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scale, we taking account of its appropriateness for our culture an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educare teachers from Seoul, Gyeonggi-do, Chungcheng-do, and Jeonra-do. From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having 21 questions about scale of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which consisted of seven factors including Idea support, Freedom, Trust, Challenge, Risk-taking, Liveliness and Conflic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high (Cronbach's alpha acrosss all the items=.859). Finally, confirmaory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ose extrated contructs were valid by showing good fit indices.

      • 어린이집의 창의적 분위기 척도 개발 및 교사의 창의적 행동과의 관계연구

        진경희 ( Kyung Hee Jin ) 창조교육학회 2010 창조교육논총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집의 현실에 적합한 창의적 분위기 척도를 개발하고 교사의 창의적 행동과의 관계를 보고자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전라지역의 어린이집 교사 6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아이디어지원, 갈등, 도전, 자유, 위험감수, 생동감, 신뢰, 7개 요인으로 구성된 총 21문항의 어린이집의 창의적 분위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의 전체 Cronabach 는 .859로 양호하며,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GFI=.944, AGFI=.922, CFI=.954, NFI=.924, RMR=.028 RMSEA=.047로 지수들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창의적분위기와 교사의 창의적 행동과의 t검증 결과는 t=13.66, p<.001로,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의 창의적분위기가 교사들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scale, we taking account of its appropriateness for our culture an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educare teachers from Seoul, Gyeonggi-do, Chungcheng-do, and Jeonra-do. From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having 21 questions about scale of care facilities creative climate which consisted of seven factors including Idea support, Freedom, Trust, Challenge, Risk-taking, Liveliness and Conflic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high (Cronbach`s alpha acrosss all the items=.859). Finally, confirmaory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ose extrated contructs were valid by showing good fit indices.

      • KCI등재

        반려 묘를 위한 확장형 캣 타워 디자인 개발

        임은진(Yim Eun jin),진경희(Jin Kyung he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1

        애완동물의 반려(伴侶)화, 가족(家族)화는 반려동물 산업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전문화, 다양화, 고급화를 촉진하고 있다. 2015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22% 즉, 다섯 집 가운데 한 집꼴로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양이를 키우는 가구는 최근 3년 사이 60% 이상 급증했다. 고양이는 높은 곳 오르내리기, 어둡고 좁은 곳에 숨기, 발톱 세워 긁기, 털 고르기 등의 습성을 가지고 있어 타 반려동물에 비해 전용 가구(家具)가 발달하여 산업적 가치가 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확장형 캣 타워’는 간단한 공구(工具) (예: 드라이버 screwdriver)만으로 완전 분해와 조립을 할 수 있는 녹다운(Knocked Down) 가구다. 캣 타워 사용 공간의 크기, 고양이 수와 사용 목적에 따라 모듈(module)과 유닛(unit)을 삭감 또는 추가하여 캣 타워 구성방법을 바꿀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모듈과 유닛의 개수, 유닛의 가로와 세로 적층(積層)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선반과 이동통로, 하우스 등의 공간이 만들어지므로 고양이의 호기심을 지속해서 유발하는 흥미로운 공간이다. 4각 측면 판 모서리에 4개의 구멍을 뚫어 스크래쳐(scratcher)를 위한 끈, 방석, 장난감 등의 액세서리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놀이 공간이나 반려 묘수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고,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고양이에게 새로운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고양이의 운동과 놀이, 휴식을 위한 과학적 공간 구성이 가능한 확장형 캣 타워는 고양이 전용 가구로 반려 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가 지속해서 성장하는 반려동물 가구 시장에서 차별화, 전문화된 제품 개발 계기가 되어 반려 인과 반려묘 삶의 질적 행복을 충족시키길 기대한다. As pets are accepted as companions or members of a family, the pet industry is not only expanding in its size, but also is becoming professionalized, diversified, and gentrified. According to the 2015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survey, about one fifth (22%) of the total households in Korea owns various kinds of animals as their companion. Especially, households with cats have increased more than 60% in the last three years. Cats have various natural habits - such as climbing up tall structures, hiding in the dark, scratching with own claws, fur licking, etc -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and the ongoing potential of the cat furniture industry. The "Expandable Cat Tower", which is hereby presented in the following research, is a knock-down type furnitur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only by using a simple screwdriver. Customers may reduce or add the number of modules or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available space, number of cats, and overall needs. Such flexibility of the product renders an ongoing entertainment to the cat, because shelves of various heights, corridors, and houses can be forged by the owner. Different kinds of accessories - such as strings, cushions, toys, etc - can be attach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module, making them applicable for scratchers. The form of the tower may be altered according to the available space and the number of cats; and, even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it may be changed flexibly to provide a whole new playing environment for the house cat. The "Expandable Cat Tower", which can be constructed scientifically for house cats' entertainment and leisure, is a customized cat furniture and may assist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pet. The following research hopes to serve as a momentum of the product differenti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in the field of pet furniture design, and expect to fulfill the needs of customers and their feline companion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