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3D 어드벤처 촬영 게임

        신소연(Soyeon Shin),주희선(Heesun Joo),최연호(Yeonho Choi),최종인(Jongin Choi),박수이(Su-E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현재 COVID-19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성 질병이 증가하고 있어 코로나 블루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배경은 직장생활 좌절, 기존 생활 리듬 변화, 경제적 원천 차단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며 현시대를 힐링이 필요한 시대로 이해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상적 공간을 모험하고, 사진 촬영을 통해 추억과 경험을 저장하는 3D 기반 어드벤처 촬영 게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로 힐링의 중요한 요소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3ds Max, Unity를 활용하여 게임을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힐링을 위한 귀엽고 포근한 시각적 요소와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스토리, 공간의 의미를 담아주는 촬영 기능을 적용한 게임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게에 비대면으로 힐링을 줄 수 있는 게임을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효과적이고 중요한 힐링 요소를 제시한다. As the number of stress-related diseases increases due to the prolonged Corona 19, Corona Blue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social background causes negative emotions due to frustration at work, changes in existing life rhythms, and blockade of economic sources, and makes us understand our era as an era in need of hea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3D-based adventure filming game that adventures a fantastic space and stores memories and experiences through photos. For this, important elements of healing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based on this, a game using 3ds Max and Unity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ame was implemented with a filming function that contains visual elements for cute and warm healing, an emotionally approaching story, and the meaning of space. This study provides a game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healing to users and presents effective and important healing factors to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지역 내 빈집 증가가 주택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소영(Lee, Soyeong),주희선(Joo, Heesun),김경원(Kim, Kyeongwon),김도현(Kim, Dohyeon)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빈집이 증가할수록 해당 지역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빈집이 증가하면 지역 내 범죄 장소 제공, 지역사회의 활기 저하, 외관 훼손과 생활환경 악화 등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패널 데이터를 통한 패널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빈집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공동주택, 빈집,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주거주택,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가구, 표준화 사망비, 시·군 입주, 시·군 구간, 지가 변동률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집, 단독주택, 1인 가구수, 시·군·구간 이전, 시·도간 이전 및 지가 상승이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거 주택과 주택 이외의 주택은 (-)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집과 주택매매가격 사이의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빈집을 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빈집이 증가하면 지역 내 범죄 장소 제공, 지역사회의 활기 저하, 외관 훼손과 생활환경 악화 등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패널데이터를 통한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빈집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공동주택, 빈집,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주거주택,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가구, 표준화 사망비, 시·군 입주, 시·군 구간, 지가 변동률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집, 단독주택, 1인 가구수, 시·군·구간 이전, 시·도간 이전 및 지가 상승이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거 주택과 주택 이외의 주택은 (-)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집과 주택매매가격 사이의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빈집을 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빈집 분포 및 현황 통계 수립 등 빈집 유지·활용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빈집 정비는 상당한 공적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산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경제적 편익 추정을 토대로 빈집 정비사업 대상지 선정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수혜 항목 중 빈집 정비에 따른 주택 매매가격 인상도 고려해야 한다. The more vacant houses there are, the more negatively they affect the area. A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creases, the provision of criminal places in the area, the vitality of the local community decreases, and anxiety among residents increases due to damage to appearance and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vacant houses affect housing prices by conduct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panel data from 2017 to 2019. The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vacant houses, detached houses, apartments, row houses, multi-family houses, non-residential houses, non-residential houses,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single-person households, standardized death costs, city/county moving in, city/county section, and land price change rate were set as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acant houses, detached houses,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relocation between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and relocation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and housing prices had a positive (+) effect. It was found that non-residential housing and residences other than housing had a (-) effect. Since this study showed the negative aspect of house price decline due to vacant houses, it suggests that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to contain vacant houses and utilize them. In addition, it need to find various support methods for the maintenance or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such as data on the distribution of vacant houses and establishment of statistics on the current status. Since the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requires considerable public budget fun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budget and prioritize the selection of target sites for vacant houses maintenance projects based on the estimation of economic benefits. Through this, the increase in housing sales prices due to the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among the items of benefi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긴급대피소 최적 위치 분석

        이소영(Lee, Soyeong),김도현(Lee, Soyeong),주희선(Joo, Heesu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최근 한국의 지진 발생 빈도는 점점 높아지는 추세로 긴급대피소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단 경로를 찾거나 관할구역을 나누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긴급대피소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구지역은 지진대가 위치한 양산시를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지진 발생 시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인근 긴급대피소로 대피한다는 가정하에 보로노이 다각형을 이용한 대피 시설 권역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의 지진옥외 대피 시설 자료와 유동 인구 데이터를 토대로 연구지역의 대피 취약지를 살펴본 결과, 지역별로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급이 부족한 곳의 건물 위치 데이터와 긴급 대피 시설 간 거리를 가중치로 정량화하여 양산시 신규 대피소 위치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총 7개의 대피소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새로운 대피 시설의 위치를 선정하고 효율적인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in Korea has increase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shelte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selecting an emergency shelter location using the Voronoi diagram, which is usefully used to identify the shortest route or divide jurisdictions. First, Yangsan-si, where the earthquake zone is located, wa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for the study area, and the evacuation facility area was analyzed using the Voronoi polygon considering an evacuation to nearby emergency shelters regardl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Next, examining the vulnerable portions of the study area based on the existing earthquake outdoor evacuation facility data and floating population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rge regional variation. Finally, the location of a new shelter in Yangsan-si was selected by quantifying the location data of the building where supply was insufficient and the distance between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as weight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stalling a total of 7 shelters was the most 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lecting the location of a new evacuation facility and establishing an efficient evacuation pla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