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재학중 현장실습 참여특성이 직장・직무만족도 및 수준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주인중,이봉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6

        With the 12th year data of the high school students cohort within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how workplac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skills fitness were impac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sks in the workplace, communication・human relationships, working hours and environment, etc., job satisfaction showed higher when the fieldwork itself was designed to help in employment and work ability. Second, skills fitness feeling more suitable than one's own level showed that the skills, abilities and educational level requiring in your current job were higher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than general high school. And also skills fitness indicated that me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women. Third, welfare benefits, wages and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workplace, etc., workplace satisfaction were higher students from general high school than vocational high school, and also skills fitness indicated that me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women. And also skills fitness showed that regular worker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non-regular workers. Fourth, according to selection method, major relevance,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particip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n’t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satisfaction.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2015년)년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대학 재학 중) 현장실습 참여특성이 (첫 번째 일자리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 직무만족도, 수준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에서의 업무, 의사소통・인간관계, 근무시간 및 환경 등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 재학 중 현장실습 자체가 취업 및 업무능력에 유익할수록(도움이 될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재 직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능력, 교육수준이 내 수준에 비해 보다 적합하다고 느끼는 수준적합도는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이 일반계고 출신 학생들보다 높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의 복지후생, 임금, 개인발전 가능성 등 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계고 출신 학생들이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보다 높게, 그리고 정규직이 비정규직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현장실습의 선택방법, 전공 관련성, 참여기간, 참여유형에 따라 직장만족도, 직무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SCOPUS

        정보통신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스킬 프레임워크

        주인중,김상호,Ju, In-Joong,Kim, Sang-Ho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6 No.4

        스킬 프레임워크는 IT 관련 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인프라이다. 이는 IT 스킬 프레임워크가 정보통신 관련 스킬들을 구분하기 위해 일반적 기준모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스킬 프레임워크는 스킬 유형, 스킬 수준으로 구분된 스킬 행렬표로서 작성된 각 스킬들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정의와 직무수행능력 명세서 등을 만드는 작업이다. 이러한 스킬 프레임워크가 있음으로 인하여, 우리는 일관된 자료의 작성과 관리가 가능하며, 정보잡음(information noise)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효율적 정보교류는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연계성을 강화시키며, 궁극적으로 효율적 인적자원개발을 촉진한다. 'IT skills framework' provides a common reference model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kill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making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t is a simple and logical two-dimensional framework consisting of areas of work on axis and levels of responsibility on the other. It uses a common language and a sensible, logical structure that can be adapted for the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example (1) gather labour market intelligence coherently and consistently (2) quantify the skill requirements of the ICT market (3) set up the career path for IT workers and so on.

      • KCI등재

        IT분야 공학교육인증 이수자의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졸업생 인식 비교

        주인중,권장우,신준우,임경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IT분야를 중심으로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공학교육인증을 이수한 사원의 시각차를 분석하여 공학교육인증 제도 도입 이후의 그 효과 정도를 동 제도의 수요자 입장에서 점검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공학교육인증의 12개 학습성과를 기초로 기업이 필요로 할 것으로 예측되는 실무역량을 도출하였고, 기업체 인사(부서장)와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사원(졸업생) 각각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실무역량별 필요정도에서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을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수학․과학 등 기초 학문에 대한 지식’을 상대적으로 필요정도가 가장 낮은 역량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육을 통한 습득정도에 있어서 두 집단이 ‘전공기초 지식’을 대학에서 가장 많이 배운 역량으로, ‘창의성․인내 등 인성적 측면’을 대학교육이 가장 제공하지 못한 역량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으로 구분한 기업규모에 따른 비교․분석 결과, 대학교육을 통한 실무역량별 습득정도는 기업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AEE) have effect on personnel practice on information technology by analyzing the views on practical competencies different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who completed AEE. Practical competencies predicted as employee requirement were drawn based on 12 learning products of AEE and previous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each of management chiefs and employees(college graduates) who completed AEE in college.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Ability' is required the most, whereas 'Academic Knowledge such as Maths, Science, etc' is required the least. Second, it is shown that Graduates considered 'Writing Report & Presentation Ability' and 'Foreign Language & Sense of Globalization' more required for business practice than management. Third, in the acquired level by college education, both responded that 'Knowledge of College Major' is the most acquired, whereas 'Attitudes such as Endurance, etc' is the least acquired. Comparative analysis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ize(large/small and midium enterprise) has shown that the required level of each practical competency is similar to that of total analysis, however the acquired level by college edu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ize.

      • KCI등재

        공과대학의 전자통신회로 설계 및 개발분야 산업기여도 평가 사례 연구

        주인중,김덕기,임경범,김현수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n an intensive university's evaluation an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to investigate matching education program between training program in engineering college and practical ability for needs of the industry. Following study process and method, are adopted for this paper; first, we developed 'Needs Profile' for the electronic circuit design & development industry. Secon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we evaluated the skill competency of the field of the parts, instrument and SoC circuit. In the result, the electronic circuit designer and developer evaluated their the skill competency lower than their manager, and the field of the SoC circuit is evaluated lower than the field of the parts and instrument circuit.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에 대한 공과대학 교육과정의 반영 정도를 조사·평가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ㆍ개발된 공과대학 산업기여도 평가모델을 활용하여 전자통신회로 설계 및 개발분야를 대상으로 니즈프로파일에 기초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부품 분야는 배치설계 부문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직무역량에 다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기분야의 ‘RF 회로 설계’는 졸업생의 평가가 부서장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나 졸업생과 부서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시각 차이가 있었다. SoC분야는 전반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하여 산업요구 역량 충족 정도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주인중,김덕기,정종태,김호현,최선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3

        Under the global economic competition, company competitiveness depends on creating high performance through effective human development. It is also a tendency to analyze organization members'competencies and outcomes, develop competency model, and apply the model to develop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 in each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etency model,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companies for the use of competency diagnosis of members, is being utilized. For this purpose, survey items were created by expert council and advisory committee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Korean corporations.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companies, regardless of size and type, develop their own model by referring to outside models, or use models developed by consulting company lead.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companies to develop model appropriate for the peculiarity of each company. Second, while the main reason to introduce competency model was to reinforce workers' competency, models developed have not widely utilized in HRM overall. There is a need to overcome a limit of utilization of models. Third, Majority responded that they, regardless of size and type, upgraded models or did not upgrade at all due to change of work environment. There is also a need to systematize follow-up care of the models. This is a primary research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company so that it can be used as springboard to study in-depth inside condition of Korean company using competency model and condition of particular positions of company members. 글로벌 경제 전쟁 하에서 각 기업의 경쟁력은 효율적 인재개발에 의한 고성과 창출에 있다. 이에 최근 규모가 있는 선진화된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기반한 구성원의 역량과 성과를 분석하고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기업 내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에 적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역량진단을 위해 국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역량모델에 대한 활용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의 개발 및 활용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협의회, 자문위원회를 통해 설문 항목을 구성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주로 외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자체개발하거나, 외부컨설팅사의 부분적인 주도하에 개발된 역량모델을 사용하고 있어 기업특성에 맞는 역량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시급하였다. 둘째는 역량모델 도입계기의 주요 이유가 근로자 역량강화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을 인적자원관리 전 분야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역량모델 활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셋째는 기업의 역량모델 사후관리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이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다수의 기업이 업무환경 변화로 인하여 역량모델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또는 개발된 역량 모델을 아예 업그레이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역량모델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실태에 대한 초기연구인 만큼,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내부 상황이나 조직 구성원의 특정 직급에 따른 심층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환경분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

        주인중,박종성,Ju In-Joong,Park Jong-Su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04 공학교육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로서 교육 훈련 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2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2003년에 이 연구와 함께 수행된 $\ulcorner$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III)$\lrcorner$에서 추출된 환경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 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셋째, 직무분석 대상 직업을 선정한 후, 넷째,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직무분석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직무분석 보완 및 대상 직업 선정과 직업별 직무분석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데이컴법(DACUM process)을 이용한 직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직업교육훈련과정의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 4단계는 선수 코스 및 교과목 선정, 5단계는 교육 훈련 내용 상세화, 6단계는 출제 기준 설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차에 따라 10개 직업에 대한 직업별 직무분석이 진행되었다. This paper, as a continuation of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executed from 1998, is aimed at complementing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developed in 2002 to improve its usage in the areas of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and at making and distributing basic data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10 kinds of vocations through job analysis, which were precedently selected, for the purpose, out of environment industry-related vocations drawn from <A Study on Change in Vocations(III)> carried out together with this project by our Institute in 2003.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first, to analyze what have precedently been done for job analysis, second, to complement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third, to select vocations for which job analysis will be made, and fourth, to carry out job analysi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and to distribute comprehensive data made on a basis of the results. Paper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an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ata related to job analysis, experts councils for complementing job analysis, selecting target vocations and conducting job analysis by the vocations, and job analysis applying DACUM method. In the first place, this report presents job analysis models by procedure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 the second step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 the third step the drawn-out of knowledge, skills, and tools, the fourth step the selection of courses and subjects, the fifth step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and the sixth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this paper, job analysis for 10 vocation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se procedures.

      • KCI등재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

        주인중(In Joong Ju),박종성(),김상진()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직무체계에 기초한 실업자 직업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 연구에 있다. 훈련과정 표준모형 개발은 우선 직무체계 정립을 통하여 직무관련 개념정의와 직무체계를 검토하였으며, 직무능력체제 및 훈련과정 모형 개발 방향 및 방법을 수립하여, 직무능력체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직무영역, 핵심능력 및 수행내용, 능력단위 및 수준, 단위요소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체제에 따른 훈련과정 구성 및 구조 설계 정립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훈련과정 개발모형, 훈련과정 구조설계, 훈련과정별 훈련교과 모형이 도출된 훈련과정 모형이 개발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for vocational training courses for the unemployed based on entrepreneurial skill system. The model reviewed the definition of skill-related concepts and skill system through the set-up of skill system in the first place, and developed job capacity system by coming up with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the job capacity system and training courses. Skill boundaries, core capacities, performances, capacity units and levels, and unit criteria were derived from it. And, training courses were composed and the structure was built in accordance with skill capacity system on the basis of it. As the result, the training model which drew to the development model of training courses, the structure of training courses and the model of training curriculum was finally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속파 Doppler 심초음파 검사에 의한 대동맥 및 폐동맥 혈류량의 측정

        주인종(In Jong Joo),김은식(Eun Sik Kim),이문철(Moon Chul Lee),김수경(Soo Kyung Kim),유병희(Byung Hee Yu),이홍순(Hong Soon Lee),이학(Hak Choong Lee) 대한내과학회 1987 대한내과학회지 Vol.32 No.5

        N/A To measure aortic and pulmonary flow, Continuous-Wave Doppler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who admit to N.M.C, from Mar., 1986 to Sept., 1986. We compared the measurements of aortic and pulmonary flow by CW Doppler echocardiography with those by Fick method of cardiac catheterization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s by CW Doppler echocardiogra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Aortic and pulmonary flow measured by two method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0.44 (P<0.025) in aortic flow and 0.72 (P<0.005) in pulmonary flow, respectively. 2) Aortic and pulmonary flow measured by CW Doppler echocardiography showed a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patients with regular heart beat and CI of above 2,2 L/min/m² than in the patients with irregular heart beat and CI of below 2.2 L/min/m² 3) Therefore, a simple & nonivasive Doppler echocardiography was considered as a effective method for measurement of aortic and pulmonary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