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광역시 유통 한약재의 잔류농약 실태 조사 및 위해평가

        강민정,권성희,김선회,염미숙,박병규,이희정,김지형,주광식,허명제,권문주,Min-jeong Kang,Sung-Hee Kwon,Sun-Hoi Kim,Mi-Sook Yeom,Byung-Kyu Park,Hee-jeong Lee,Ji-Hyeung Kim,Kwang-sig Joo,Myung-je Heo,Mun-ju Kwo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4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서 유통 중인 한약재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24품목의 50건을 대상으로 345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은 미량으로도 인체의 건강에 해를 가할 수 있는 유해 물질로 주의가 필요하다. 기준 규격외 다양한 잔류농약 확인을 위해, QuEChERS법으로 전처리후 분석한 결과, 7품목 24건(48%)의 한약재에서 총 22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이 검출된 한약재는 천궁, 택사, 당귀, 백지 순으로 많았다. 검출 농약 중 2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었으나, 위해 평가 결과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 품목에서 다빈도로 검출되는 농약을 확인하여, 해당 품목의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시사하였으며, 대한약전의 전처리법에 따른 비교분석에서도 동일한 농약이 검출되어, QuEChERS법을 이용한 생약의 잔류농약 분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안전을 위해서 기준규격 잔류농약 항목 외에도, 생약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신뢰성 높은 고효율 분석법 개발 연구가 계속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345 pesticide residues in 50 herbal medicines sol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determine their safety. Pesticide residues are harmful substances that can cause serious health problems owing to their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samples was conducted using the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QuEChERS) method, known for its high analysis efficiency, to analyze a wide range of pesticides for which no standards have been set. The analysis was cross-validated with the pretreatment method outlin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Among the 50 samples encompassing 24 different herbs, 22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24 samples, covering 7 distinct herbs, resulting in a detection rate of 48%. It is noteworthy that, except for two cases, all detected pesticides were those for which no standards were set. However, after conducting a risk evaluation considering the daily dosage of herb, it was determined that the levels of pesticide residues were within safe limits. Pesticides with high frequency within the same category of herbs were detected,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regulation.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retreatment method outlin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yielded similar result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pesticide residues in herbs using the QuEChERS method.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herbs and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should continue to ensure consumer safety.

      • SCOPUSKCI등재

        인천광역시 학교급식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박병규(Byung-Kyu Park),권성희(Sung-Hee Kwon),염미숙(Mi-Sook Yeom),한세연(Se-Youn Han),강민정(Min-Jung Kang),서순재(Soon-Jae Seo),주광식(Kwang-Sig Joo),허명제(Myung-Je Heo)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초·중학교 등에 식재료로 공급되고 있는 학교급식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7품목 527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섭취량에 따른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농산물 전처리 및 잔류농약 분석은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373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학교급식 농산물 527건 중 12건(2.3%)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취나물 1건과 파슬리 1건은 잔류농약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0.4%)되었다. 채소류 중 엽채류는 104건 중 7건(6.7%), 근채류는 55건 중 4건(7.3%), 박과 이외 과채류는 6건중 1건(16.7%)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곡류, 두류, 서류 등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 농약에 대한 위해성 평가 결과 %ADI (Hazard index)는 0.0000-39.7425%로 학교급식 농산물 섭취로 인한 인체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농산물은 일반적으로 세척하여 섭취하므로 세척을 통해 농산물의 잔류농약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조리 과정을 통해 잔류농약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실제 농약의 위해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농산물은 소비자의 기호, 계절 등에 따라 섭취량이 달라져 위해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과 공급, 소비를 위해서는 농민들의 올바른 농약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평가를 실시하여 부적합 농산물의 유통차단 등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residual pesticides in a total of 527 school foodservice agricultural products from 2019 to 2020 in Incheon. Pesticide residue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the multi-residue method in the Korean food code for 373 pesticides using GC-MS/MS, LC-MS/MS, GC-ECD, GC-NPD, and HPLC-UVD. By monitoring the pesticides, 12 (2.3%) of the 527 pesticides were detected, and 2 (0.4%) samples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Twelve type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f carrot, chard, chili pepper, chwinamul, crown daisy, parsley, perilla leaves, and spinach. As a means of risk assessment through the consum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detected with pesticide residues, the proportion of estimated daily intake to acceptable daily intake was estimated in the range of 0.0000-39.7425%. Results showed no particular health risk through the consumption of school foodservice agricultural products with pesticide resid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