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용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국내 타당화 연구

        조현정 ( Jo¸ Hyunjeong ),위영은 ( Wee¸ Youngeun ),김우철 ( Kim¸ Woocheol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다양한 집단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기존 개발된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하위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요인 구조를 탐색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 학습민첩성과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를 통해 적합한 1,470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SPSS 25 프로그램을 통해 탐색적 표본과 타당화 표본으로 무작위 분할하였다. 요인분석 전 정규성, 신뢰도 등의 사전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에 적합한 요인구조와 요인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된 측정도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원래의 측정도구 요인모형과 비교하여 수정된 4요인 18문항으로 이루어진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learning agility scale, this study explored the appropriate factor structure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learning agility scale through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the existing learning agility scale for members of various groups.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an explor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of the learning agility scale, which was intended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470 suitabl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ies conducted in relation to existing learning agil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loratory and rationalized samples through the SPSS 25 program. Data analysis such as normality and reliability was performed before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factors and their suitability for the scale was investigat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Next, after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modified research model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model consisting of 18 questions with 4 factors, was finally selected compared to the original scale factor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 업무몰입, 지식공유의도,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중소제조기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조현정(Hyunjeong Jo),김우철(Woocheol Kim) 한국기업교육학회 201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지원인식과 업무몰입, 지식공유의도,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근로자의 이직의도 감소 및 지식공유의도 향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소제조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근로자 372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조직지원인식, 업무몰입, 지식공유의도,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지원인식과 업무몰입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둘째, 조직지원인식과 지식공유의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의 부(-)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넷째, 업무몰입과 지식공유의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다섯째, 업무몰입과 이직의도의 부(-)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과 지식공유의도 간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일곱째,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 간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상기 연구 결과는 조직지원인식과 업무몰입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직의도와 지식공유의도에 연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토대로 중소제조기업에서는 근로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지식공유의도를 향상시키는데 조직지원인식과 업무몰입을 제고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measure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f worker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work engagement(WE), knowledge sharing intention(KSI) and turnover intention(TI) amo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 WE, KSI, and TI derived from the preceding study of 372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and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 and the W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POS and KS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 and T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E and KS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E and T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the mediated effect of WE between POS and KS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nth, the mediated effect of WE between POS and T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may consider increasing POS and WE in reducing the degree of TI and enhancing the level of KSI. In conclusio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e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정책지식생산네트워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책지식생태계의 정책지식공급자와 정책지식수요자를 중심으로 -

        조현정 ( Hyunjeong Jo ),이삼열 ( Sam Youl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지식 창출과 흐름에 있어서 정책지식공급자와 수요자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정책지식의 창출과 흐름을 생태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기관 간의 관계에 주목하였으며, 정책지식이 어떤 기관에 의해 생성되고, 어떤 지역에 위치한 기관에서 생성되는지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한 정책학술용역(2013-2015년)을 중심으로 연구주제와 연구수행자가 위치한 지역의 네트워크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지방연구원과 대학에서 생성되는 지식이 가장 많아, 이들이 지방자치단체가 요구하는 지식을 생산하는 주요주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지식의 연구주제는 산업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문화체육관광, 지역개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이 주로 생성되는 기관이 위치한 지역은 서울, 대구, 경기, 제주 등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지방정부의 정책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정책지식의 창출과 수요의 흐름을 정책학술용역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in the creation and exchange of policy knowledge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local agencies and analyzes the regional network of policy knowledge creation and exchange by examining the policy research services conducted by local think-tanks between 2013 and 2015, which were commissioned by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shows that local public think-tanks and universities mainly created policy knowledge,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the main agents for policy knowledge and ideas local governments frequently refer to. The research subjects of policy knowledge local government asked for were in the order of frequency as follows : industry/small businesses,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community development. Also, it was found that the agencies which supplies with policy knowledge are located in Seoul, Daegu, Gyeonggi, and Jeju.

      • 철도 소프트웨어 정량적 신뢰성 평가방안 연구

        조현정(Hyunjeong Jo),황종규(Jonggyu Hwang) 한국철도학회 201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05

        최근 철도시스템 장치에서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열차사고 및 지연의 원인으로 소프트웨어로 인한 잠재결함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철도 운행 중 소프트웨어의 오작동으로 인한 치명적 오류는 인명사고로 즉결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전 검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철도 소프트웨어 관련 국제규격에서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검증 활동을 이미 ‘HR : Highly Recommend’ 조건으로 규정하고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소프트웨어의 잠재적 결함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철도 소프트웨어 안전성관련 평가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여 해당 장치의 내재된 결함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추정가능하게 해주는 신뢰성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functions and complexity of embedded SW(software) for railway system have been increased rapidly, there is a growing percentage of potential deficiencies in the SW due to the cause of train accidents and delays. Especially since the fatal error due to the malfunction of SW during the railway oper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human accidents, the validation on SW shall be performed by using various methods and th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n it must be available. In addition, the SW testing and verification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railway SW are already stipulated in terms of ‘HR : Highly Recommend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f the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s that provide quantitative prediction of the inherent defects of the railway device embedded software by applying safety assessment procedures and methods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failures of the railway software.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김상범 ( Kim Sangbeom ),조현정 ( Jo Hyunjeong ),김우철 ( Kim Woocheol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심리적 주인의식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두 변인 간의 관계와 관련 선행, 후행 변수 등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변인을 연구한 논문 26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업무몰입을 다룬 연구는 2015년 이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경영, 관광 등의 분야에서 기업체 직원 및 서비스 종사자 위주로 연구되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이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많았으나, 이와 반대로 업무몰입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도 일부 확인되었다. 셋째,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에 기반한 직무요구, 직무자원, 개인자원 등 관련 선행변인들과 그에 따른 결과변인들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관점(직무/조직)의 심리적 주인의식 중 조직 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업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주로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시사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extant literatur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total of 26 relevant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15, and target samples of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corporate employees and service workers in the fields of management, tourism, etc. Second, in most studies psychological ownership was examined as a predictor to work engagement whereas work engagement was investigated as a predictor to psychological ownership in several stud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variable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job demand-resource (JD-R) model.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mong the two perspectives (job/organizati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e selected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in which organization-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influence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HRD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스포츠지도자의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직무성과의 관계: 내재적 동기와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동화 ( Seo Donghwa ),조현정 ( Jo Hyunjeong ),김우철 ( Kim Woochel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지도자를 대상으로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와 경력만족의 매개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스포츠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29부의 응답결과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경력관리지원은 내재적 동기, 경력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직경력관리지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경력만족과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해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와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경력관리지원을 통해 스포츠지도자들의 직무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동기와 경력만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 차원에서 스포츠지도자의 내재적 동기와 경력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실천으로 스포츠지도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직문화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포츠 분야에서 HRD 학문적ㆍ실천적 시사점과 더불어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r domestic sports coach.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domestic sports coaches, collected a total of 529 responses by online, and used them f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support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support on job performance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urth, the results of testing the mediation effect using bootstrapping revealed that the mediation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w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support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sports coaches through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support. In addition, as a practice to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of sports coach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can be achieved by actively collecting opinions of sports coaches. Based on su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RD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