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공 흡연장에서의 흡연 중 침 뱉기가 흡연장 주변 바닥의 미생물 오염도 변화와 미생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양성우(Sung Woo Yang),여승현(Seung Hyeon Reo),김승준(Seung Jun Kim),조정욱(Jeong Wook Jo),최용근(Yong-Keun Choi),송학진(Hak Jin Song),오경빈(Kyung Bin Oh),이주연(Ju Yeon Lee),정윤석(Yunseok Jung),김형주(Hyung Joo Kim)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1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흡연장에서 흡연 중 바닥에 직접 침을 뱉는 행위가 공중위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의 공중위생과 환경을 위해 흡연장에서의 세균 농도와 세균의 확산을 평가하였다. 방법 : 흡연 구역에서 침 뱉는 횟수와 침 뱉는 위치를 관찰자들이 시각적으로 측정하였다. 미생물 분석을 위해 거름종이(5 × 5 cm)를 일정한 시간 동안 흡연 구역의 바닥 표면에 부착하여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을 채취한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ATP bioluminescence (RLU), Colony forming unit (CFU)를 측정하였다. 흡연장에서 침 뱉는 행위를 통한 미생물의 확산을 확인하기 위해 흡연장에서 침이 존재하는 거름종이를 선정하여 형광분말(0.01 g/㎠)을 거름종이에 도포하였다. 4시간 후에 흡연장 주변의 거름종이를 수거하여 거름종이의 형광량(RFU, Relative Fluorescence Unit)을 측정하였다. 결과 및 토의 : 흡연장 바닥의 침 뱉는 행위와 그에 따른 흡연장 바닥의 미생물 활성이 명확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시료를 채취한 A 구역의 경우, 점심시간에 가장 많은 침 뱉는 횟수(102 ± 16회)가 흡연통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때 흡연을 하면서 침을 뱉는 흡연통 근처의 15개 구역에서 채취한 시료의 평균 RLU는 5,139 ± 1,267로 측정되었다. 또한 흡연장 주변 RLU 측정 시, 흡연통으로부터 11 m, 17 m 떨어진 곳에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으며(1,329 ± 148 RLU, 1,204 ± 203 RLU), 이 장소는 흡연 및 침 뱉기가 발생하지 않은 곳으로 확인되었다. 시료를 채취한 B 구역의 경우는 저녁 시간에 가장 많은 침 뱉는 횟수(45 ± 6회)가 관찰되었다. B 구역의 흡연을 하면서 침을 뱉는 흡연통 근처 15개의 장소 RLU는 5,274 ± 1,297 RLU로 측정되었으며, 흡연통에서 11 m, 18 m 떨어진 곳에서 가장 낮은 RLU (1,181 ± 243 RLU, 1,148 ± 168 RLU)가 측정되었다. 이 구역 또한 흡연 및 침 또한 뱉지 않은 구역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침 뱉는 행위 및 바닥의 침이 흡연장 바닥의 미생물 오염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형광분말 확산 분석 결과는 흡연장 표면에서 침의 존재가 흡연장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미생물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 : 침을 뱉는 행위는 흡연장에 있는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이 미생물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위생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연 중 침 뱉기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itting behavior on microbial public health in smoking areas. Through this investigation,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read of bacteria from the smoking areas were evaluated for the prospectiv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Methods : The number of spitting and the spitting location in the smoking areas were measured visually by observers. For the microbial analysis, filter papers (5 × 5 cm) as sample collectors had be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moking areas for a given time. Using the collected filter paper, ATP bioluminescence measurement (RLU), colony forming unit (CFU) were measured. For the estimation of spitting behaviors in the smoking area on the spread microorganisms, saliva containing filters were selected from the areas, and fluorescent powder (0.01 g/㎠) was added to the papers. After 4 hours, the papers around the smoking areas were collected and the fluorescence activity was measured. Results and Discus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pitting behavior and the microbial activity in the smoking areas. In the case of sampling area A, the highest number of spitting was observed at the lunch hour (102 ± 16 times), and the RLU from the sample collected near the smoking area showed about 5,139 ± 1,267 RLU. When the RLU around the smoking area was measured, the lowest values were found at distance of 11 and 17 m from the cigarette bin (1,329 ± 148 and 1,204 ± 203 RLU), and it was confirmed that smoking and spitting did not occur at this sampling points. In the case of sampling area B, the highest number of spitting (45 ± 6 times) was observed at evening hour, and the RLU from the sample collected near the smoking area showed about 5,274 ± 1,297 RLU. The lowest value was in the sampling area B shown at 11 and 18 m (1,181 ± 243 RLU and 1,148 ± 168 RLU) from the cigarette bin,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smoking and spitting did not occur at this sampling poi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itting during the smoking induced the increases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the public environment. The fluorescence powder diffu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aliva on the ground surface would enhance the spread of the microorganisms from the smoking area. Conclusions : Spitting in smoking areas can pose a high risk of microbial infection for smokers and non-smokers in smoking areas. Thus extensive and systematic attention related to the smoking manner must be paid to protect our public health.

      • KCI등재

        실내 식물과 전기적 접지를 이용한 공공 흡연장 토양의 카드뮴 제거

        이규원(Gyu Won Lee),김보겸(Bo Gyeom Kim),김예진(Ye Jin Kim),조정욱(Jeong Wook Jo),김재훈(Jae Hun Kim),양성우(Sung Woo Yang),김승준(Seung Jun Kim),김이령(Yi Ryung Kim),손동화(Dong Hwa Son),김형주(Hyung Joo Kim) 대한환경공학회 202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6 No.3

        목적: 본 논문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흡연장의 토양에 실내식물과 전기적 지면 접지를 적용하여, 식물의 토양 내의 중금속 흡수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각종 토양의 정화에 실내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방법: 흡연장내 조성된 화분의 토양을 채취하여 일반화분과 전기적 접지(electrical grounding)가 적용된 2종의 화분을 실내에서 구성하고, 여기에 강낭콩(Phaseolus vulgaris) 씨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0일간, 각 화분의 식물 생장 관찰을 진행하였다. 30일간 재배 후, 재배 토양의 TOC (Total Organic Carbon) 및 metagenomics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재배 토양의 중금속 농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ICP-MS를 사용하여 토양과 식물내부의 카드뮴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및 토의: 줄기 길이 생장 측정률을 측정한 결과, 30일 기준 전기적 지면 접지 적용 식물이 비접지 식물에 비해 48.2 ± 2.3% 높게 확인되었다. TOC 분석 결과, 접지 화분의 토양내 TOC가 대조군, 비접지 토양에 비해 각각 3.08 ± 1.22%, 2.3 ± 0.1% 높게 확인되었다. ICP-MS 분석 결과, 전기적 지면 접지를 적용한 식물내의 카드뮴 농도가 0.33 ± 0.018 μg/kg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대조군 토양 시료에 비해 식물이 존재하는 비접지, 접지 토양의 평균 카드뮴 농도가 각각 10 μg/kg 정도 낮게 나타났다. Metagenomics 분석 결과, 전기적 지면 접지를 적용한 토양에서 중금속에 대한 biomineralization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Nocardioides sp., Streptomyces sp., Sphingomonas sp. 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기적 지면 접지 적용을 통한 식물의 생육 활성도 증가는 식물 뿌리의 exudate 분비 증가를 유도하여 TOC 및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식물의 토양내 중금속 흡수를 촉진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연구결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흡연장 토양에서의 카드뮴 흡수 및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식물의 전기적 접지 적용을 통해 제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지면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화단의 식물에 전기적 지면 접지를 적용 시, 기존 식물의 생육기반 토양정화와 함께 전기화학적 비료 효과를 통한 식물의 생육 활성화의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한 새로운 토양 오염 정화방법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absorption of heavy metals in the soil from smoking areas using indoor plants and electrical grounding was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indoor plants for soil decontamination. Methods : Soil from plant pots in a smoking area was collected for the experimental plant pot preparations. Some of the prepared pots were connected to electrical ground via an electrode. Kidney beans (Phaseolus vulgaris) were seeded, and their growth were observed. After 30 days of the cultivation, TOC (Total Organic Carbon), and metagenomics profiles in the soil was analyzed. To estimate the behavior of the heavy metals in soil and plants, Cadmium concentration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Results and Discussion : The connection of the electrical ground to the plant pot induced the rapid growth of plant (48.2 ± 2.3% increase in stem growth), compare to the plant in the pot without the electrical ground. TOC analysis showed that the soil from the grounded pots showed the highest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3.08 ± 1.22%), and the soil from the pot without ground connection (2.3 ± 0.1%). The ICP-M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lant body in the grounded pot had the highest cadmium concentration at 0.33 ± 0.018 μg/kg. Using the metagenomic analysis, biomineralization related bacterial species (Nocardioides sp., Streptomyces sp., Sphingomonas sp. etc.) were identified from the grounded soil samp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door plant cultivation with the electrical ground connection as an electrical fertilizer enhances the cadmium absorption by plant, exudate secretion from the plant root, and bacterial flora change in the rhizosphere. Conclusion : Cadmium in the soil from the smoking area was absorbed by indoor plant with the electrical ground.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ical ground connection (earth) to the electrically insulated outdoor plant pots might enhance the plant growth rate and physiological activity. This application could be a novel soil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plant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