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중 과잉치 발거 이후 정중 이개의 폐쇄

        조은주,최영철,이긍호,Cho, Eun-Ju,Choi, Yeong-Chul,Lee, Keu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Early detection and prudent management of mesiodens or supernumerary tooth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in reducing disturbance in the eruption and position of the adjacent permanent incisor. While it is true that the presence of diastema may be regarded as normal at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the early detection and removal of the mesiodens is a prerequisite to facilitate spontaneous alignment or subsequent approximation of the permanent central incisors. In many cases, diastema due to mesiodens can be physiologically corrected spontaneously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The best choice of treatment of diastema may be observation. Orthodontic intervention is required only spontaneous closing of diastema does not occur within observation period. In orthodontic intervention, careful trea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Clinician gives considerations to angulation of central and lateral incisor, proximity of lateral incisor, developmental stage and position of canine, pattern and extent of anterior crowding. Orthodontic movement should be done slowly with light force. In addition, periodic radiographic observation are needed to monitor the root development and root resorption. Case 1, 2 and 3 showed physiologic closures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In these cases, acceptable alignment of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obtained. In case 4, orthodontic correction for diastema was performed successfully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After the orthodontic closure of the diastema, it was decided that a retainer was not needed, because the dentition was under a dynamic stage in exchanging teeth and also developing arches. 정중 과잉치를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인접 영구 전치가 맹출하고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 잡는데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있어 정중 이개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정중 과잉치의 존재를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하는 것은 이어지는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인 배열과 근접화를 가능하게 한다. 정중 이개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주기적인 관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기간 동안에 정중 이개가 자발적으로 폐쇄되지 않을 때에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로 인한 정중 이개의 폐쇄에서 정중 과잉치의 제거 이후 자발적 즉 생리적으로 폐쇄되는 증례(증례 1-3)와 함께 교정적 처치로 정중 폐쇄를 시행한 증례(증례 4)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나’의 기원으로서의 ‘단군’과 창세기적 문학사상의 의미 : 최남선, 신채호를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1920년대 개벽사상과 단군복원운동이 내재하고 있었던 ‘창세기(創世記)적 사유’에 주목하고 그 사유의 방향성을 포착하려는 시도이다. 창세기는 흡사 카오스적 ‘혼돈’으로 파악되고 있었던 당대 불행한 시대를 구원하기 위해 호명되고 있다. 민족의 시원을 표상하는 단군의 복원이란 창세기적 장면의 재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최남선과 신채호는 실증적인 자료를 섭렵하며 단군의 실체를 검증하려 했고, 단군을 통해 조선의 고유한 정신을 찾으려 했던 대표적 작가이다. 이는 문학적 텍스트에서뿐만 아니라 역사학자의 입장에서도 그들에게 중요한 문제였다. 최남선이 주창한 불함문화권의 중심과 신채호가 내세운 역사철학인 ‘회통’의 중심에, 모두 ‘단군’이 놓여져 있기 때문이다. 최남선과 신채호의 특별함은 단군에 대한 사유를 ‘我’와 ‘自己’의 기원에 관한 사유와 중첩 시키며, ‘나’의 계보에 대한 탐색을 자신들의 역사학의 방법론 혹은 핵심적 사상으로 환치시켰다는 점에 있다. 자아를 포괄하여 세계와 온 우주 전체를 재창조하려는 개벽시장 위에, ‘나’의 개념과 그 기원을 탐색하는 계보학적 사유를 결합시키는 방식, 이것이 이 글에서 살펴본 두 작가의 창세기적 사유이다. 창세기적 사유는 직접적으로 단군을 호명하는 역사학적 텍스트뿐만 아니라 은유적 차원에서도 동원되었던,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려는 낭만주의적 기획과도 같았다. Ghoi Nam-sun and Shin Chae-ho reviewed Dan-gun's texts from the 1920s and 1930s in order to study the traditional spirit of Cho-sun. Dan-gun is at the cultural center of Bulham(不咸) that Ghoi Nam-sun advocated, but Dan-gun is also at the center of Hoetong(會通) that Shin Chae-ho advocated. Gae-byeok(開闢) was connected with the Cheondo religion, therefore we assume that the texts related to Dan-gun are connected to Gae-byeok's magazine idea. Specifically, Ghoi Nam-sun and Shin Chae-ho summarized Dan-gun's thoughts on the origin of Na, and they replaced a search of Na's genealogy with their historical analysis. They combined Gae-byeok's ideas, recreated the world and the universe including ego and considered the origin of Na. In this essay, Genesis as a literary idea is examined, as Genesis is also a romantic plan to establish a new worl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B(Eun-Ju CHO),조은주A(Eun-Joo JO)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 되었다. B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에서 8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영적간호역량과 영적안녕 및 영적안녕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 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적간호역량과 정신건강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적간호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신건강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적안녕과 종교기간 순이었고, 설명력은 29.4%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과 영적안녕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Mental Health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116 nursing college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5th to 8th, 2020 through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Then, this study statistically processed the data using the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Spiritual Well-be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Care Competence and Mental Health. The meaningful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Mental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period of religion in order. These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29.4% of the total variance i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Spiritual Well-being intrevention program.

      • KCI등재

        이상(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 연구 -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조은주 (趙恩珠) ( Cho Eun-jo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본 논문은 李箱 시에 광범위하게 나타난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분석한 것이다.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는 ‘신의 죽음’을 선언한 니체의 철학과 긴밀한 상관성을 지닌다. 일본 제국주의는 물론이거니와 인간을 억압하는 종교와 도덕, 기술, 과학 등은 근대적 세계를 파국적 현실로 만든다. 그러나 니체의 ‘몰락’이 단순히 파괴적 종말이 아닌 새로운 주체(위버멘쉬)의 탄생과 관련을 맺듯이, 李箱 시에서도 ‘몰락’은 세계를 구원하는 문제로 연동된다. 육체의 몰락과 죽음을 노래하는 시적 주체는 소멸의 언어를 생성의 언어로 전환시키는, ‘反時代的’ 글쓰기를 감행한다. 그는 시대의 흐름에 순응하지 않고 오히려 삶의 이유를 찾아 몰락의 길을 선택하는 니체적 주체에 가깝다. 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은 매우 광범위하게 재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연구에서 충분히 주목되지 못했다. 李箱이 적극적으로 형상화한 니체적 모티프는 근대의 억압적 가치를 폐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함으로써 병든 삶을 치유하고 몰락하는 세계를 구원하려는, 주체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물들이다. This study examines Nietzsche philosophy widely present in Li Sang’s poem. Motifs of a ‘ruin’ and ‘disintegration’ in Li Sang’s poem are reminiscent of Nietzsche’s voice who claimed god was dead. In addition to Japanese imperialism, oppressive religions, ethics, technologies and science turned a modern Korean society to a ruinous reality. However, as a ruin did not merely mean a destructive ending, but instead led to a birth of a new being (ubermensch) in Nietzshce’s philosophy, a ruin in Li Sang’s poem also developed into an issue of redeeming the world. Stories of an ailing and dying body that frequently appeared in Li Sang’s poem can be also seen as a metaphor to a ruin of the world. Those that eulogizes a physical ruin and death in Li Sang’s poem dare to undertake writings that are against the times by converting language of extinction to language of creation. They are Nietzschelike beings who willingly go down the road of a ruin in search of life’s meaning, rather than riding with the flow of the time. Nietzsche philosophy present in Li Sang’s poem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as it has been neglected in earlier studies. Nietzsche's motives and images in Li Sang’s poem are the result of an endless effort to abandon modern oppressive values, heal sick lives and save the world.

      • KCI등재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8)

        조은주(Cho Eun-Joo)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5 No.-

        이 글은 점토구결자료『瑜伽師地論』권8의 12:16-13:07 부분의 잠정적인 해독안을 제시한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entative decoding and interpretation of cipher kugyols incribed in the Yogac?rab??mi(瑜伽師地論).

      • KCI등재

        ‘소통’의 관점에서 본 글로벌 캐릭터 성공요인 분석

        조은주(Cho, Eun-J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최근 콘텐츠 산업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캐릭터 콘텐츠를 ‘소통, 공감’의 시각으로 접근해 문화콘텐츠로서 캐릭터콘텐츠가 갖춰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왜? 캐릭터 콘텐츠이어야 하는가?’란 물음을 통해 캐릭터가 인간 심상에 기인한 희망, 꿈, 동경 등의 가시화된 형태이고 이것을 공유, 전달함으로써 위안이나 위로, 일체감, 공감 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강력한 커뮤니케이션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캐릭터 사업 역시 단순한 경제적 차원에서가 아닌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공감과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소통의 노력이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그 사례로 글로벌캐릭터인 헬로키티의 변천과정과 함께 디자인, 마케팅, 스토리텔링, 가치전달이란 측면에서 어떻게 소통의 요소들이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캐릭터콘텐츠는 인간정서와 바람, 꿈을 바탕으로 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소통도구로서 시대적 요구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끊임없이 소통하고자 노력할 때 공감과 애정은 물론이고 캐릭터의 생명력, 성장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고자 했다. This study approached the content of character that the importance has currently grown bigger and bigger in the content industry from an aspect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and investigated the requirements for the content of character as a cultural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 was a form that hopes, dreams, longings and others, caused by human imagery are visualized and one of strong communications which could arouse consolation or comfort, a sense of unity, sympathy and other through its sharing and delivery through a question, ‘why it should be the content of character’. This study considered that a top priority had to be placed on sympathy and understanding, which human sensitivity were considered, not at a mere economic level in the character business and communication efforts were needed above all things.

      • KCI등재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부정법 연구

        조은주(Eun Joo Cho) 구결학회 2001 구결연구 Vol.7 No.-

        This paper presents an examination of negations that appear in Seokdok-Kugyol texts of Koryo dynasty period, such as `Sinyeok-hwaeomkyeong, Hopbu-keumkwangmyeongkyeong, Kuyeok inwangkyeong, Yugasajiron`, In doing so, the negative markers therein are identified and their functions and usages are addressed. The findings drawn therefrom are: negative marker 不_失(非_失/未_失), 無(无/寞/靡), 無(无)???` is used for negation in noun sentences, negative marker `不_冬` for short negation in verb and adjective sentences, and negative marker `不_冬(非_冬), 不??(未??), 未??, 無(无/寞/靡), 無(无)??` for long negation in verb and adjective sentences.

      • KCI등재

        박인환 시와 일제강점기

        조은주 ( Eun Joo Cho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박인환의 해방기 작품을 중심으로 6. 25 전쟁 이전의 작품 세계와시적 사유의 행방을 탐색한 것이다. 전쟁은 그의 문학 정신을 한층 고양시킨중요한 사건이지만 그 이전부터도 불안과 죽음의식은 동일하게 발견된다. 6. 25 전쟁 체험이 박인환 문학 전체를 지배하는 원사(原史)가 아닐 가능성은 다분하다. 해방기 박인환의 작품에 재현된 "일제강점기"는 이중적인 상징이다. 1950년대적인 상황을 비판하기 위해 알레고리적 방식으로 동원되는 식민의 기억이면서도 역설적으로 죽음을 각오하며 투철한 "자유"를 추구했던 시기인 것이다. "식민지의 애가"에 알레고리적으로 표현된 일제강점기는 위대한 자유의 정신이 폭발했던 시기이기에 부정적이지만도 않다. 기왕의 시단과 차별화 된"새로운 도시"라는 키워드를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해방기 작품에서 식민주의를 재현하고 일제강점기 위대한 시인들을 호명하는 이유는 "자유정신", "시민정신"의 탐색과 연결되어 있다. 이는 그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황무지적 세계를 구원하려는 시인 특유의 소명의식과도 결부된다. 식민주의에 대응한 자유 정신, 전후의 폐허를 복원하는 위대한 시적 정신은 박인환의 일제강점기 체험과 기억에 담겨 있는, 불안과 희망의 이중주이다 This paper focused on Park In-hwan`s works around the period of liberation to explore his literary world and whereabouts of poetic thinking before the Korean War. The war was a significant event that enhanced his literary spirit, but anxiety and the consciousness of death are also found before then. The "Japanese colonial era" reproduced in Park`s works around liberation is a symbol of ambivalence. It is the memory of colonization mobilized allegorically to criticize the circumstances of the 1950s,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the time in which people pursued spirited "freedom,"paradoxically facing death. The Japanese colonial era, depicted allegorically in “The Elegy of the Colony,” is not completely negative as it was a time inwhich the great spirit of freedom burst out. The reason for reproducing colonialism in works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calling the great poet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espite the presentation of the keyword "the new city"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poetical circles is conected to the exploration of "the free spirit" and "the civil spirit." This is associated with the poet`s unique vocation to rescue the barren world based on such spirits.The free spirit taking action against colonialism and the great poetic spirit that restores postwar ruins are the duet of anxiety and hope held within Park`s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생명과학 교과서의 표에 제시된 표제 위치에 대한 시선고정 분석

        조은주(Eun Ju Cho),권용주(Yong-Ju Kwon)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tudent eye movements for the heading positions of column located between the left front or center of the table. The presented table was divided into a simple type (S type) and a complex type (C type) of table, and the column headings were shown in the f typ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table and the b type displayed in between. Eighteen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to collect eye tracking data after presenting S-f/C-b type or S-b/C-f type tables. The collected eye tracking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total duration time, fixation count, fixation duration time, and the fixation ratio on targe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hown that the analyzing time of the table took longer for the b-type table in the case of simple tasks, and the longer for the f-type table in the case of complex tasks. In addition, when the ratio of fixation was changed from the S-f type to the S-b type, the ratio was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fixation was decreased. when the C-f type changed to the D-b type. Furthermore, the duration time of fixation was significantly longer when the table type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a b-type task rather than in the f-type. This study is presumable provided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how the design of table in the textbook is presented to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