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s Mixture Dependence of the Performance for Multigap Resistive Plate Chambers in the Avalanche Mode

        조미희,홍병식,이경세,류민상 한국물리학회 201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6 No.5

        We hav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prototype multigap resistive plate chambers in the avalanche mode using cosmic ray muons for various gas mixtures. In the operational high-voltage plateau region, the efficiency is larger than 90%, the best time resolution is 123 ps, and the fraction of the non-Gaussian tail in the time spectrum is about 15%. The slewing corrections significantly improve the time resolution by about 40% at 6.4 kV, which is the operational high voltage. Although the addition of SF₆ to the gas mixture is necessary for avalanche mode operation, a relatively small fraction is preferrable for a better time resolution.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urrent multigap resistive plate chambers can be used for charged particle identification at high momentum in real collision experiments.

      • KCI등재

        『번역노걸대』의 수량사구 구성 연구

        조미희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후기중세국어 문헌인 ??번역노걸대??에 나타나는 수량 사구의 수사와 수관형사,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 양상을 중점적으로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대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다양한 단위성 의존 명사를 목록화하였으며, 수관형사가 명사구 전체를 수식하거나 자립명사 를 수식하는 구성이 한문 원문과 가지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고유어 수관형사와 한자어 수관형사의 선택이 단위성 의존명사의 원어나 수의 크기라는 요인에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순수한 사랑을 위한 공백의 열망 -염상섭의 소설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조미희 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7

        This study is an article that examines the void and pure love composed by the narrative of love centered on the work in “Love and Sin”. The superficial narrative of “love and sin” is that Yi Hae Chun and Ji Soon Yong overcome and finally combine all obstacles to complete love. This study, however, explores how the artist’s thesis, which is the pursuit of blankness for pure love, escapes from following the existing studies and reveals in the works. The love of Soon Yong and Haechun resembles the love of courtly style. Purity is the existence beyond the barrier that can not be reached by Haechun and becomes the object of despised desire. Therefore, as the situation of Soon Yong becomes miserable, the body and mind of Soon Yong become more conspicuous and in a position that can not be rea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echun and Soon Yong and Haechun and Maria is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aechun’s love and Maria’s sexual desire As a result, they become shameful and self-defeating about physical relationships and promote mental relations, mystification of pure love. The mystification of pure love works as a fantasy, which gives practical meaning to the gap and the mechanism of creation. Spaces hav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include the possibility of not being absolutely perfect non - space. The desire for a blank that enables pure love preaches that the impure desire is part of the void in the imperative that all impure desires must be eliminated. The novel is composed of characters who are full of passion and doubtful doubts rather than intense desire and fateful attraction for a loved one. The characters represented by Yeom Sang-Seop do not fall into a hot romance or the passion of love while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an intelligent and calm personality. Because enthusiasm and desire are not real love but a desire to be abandoned, and only the innocence that emanates from the space of pure neutrality is the love, which puts a rational and critical distance to desire. However, excessive fantasies about innocence can encourage mystification of love and disturb the love of reality by raising love from the domain of love to the noble. Thus, the characters of Yeom Sang-Seop keep their cynical attitudes in a cold-hearted and idiosyncratic nature by excluding passion to support reality. 본 연구는 염상섭의 작품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순수한 사랑을 위한 공백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는 글이다. ≪사랑과 죄≫의 표면적인 서사는 이해춘과 지순영이 사랑을 완성하기 위해 온갖 장애를 극복하고 결국에는 결합한다는 혼사장애의 관련성안에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답습하는 데에서 벗어나 순수한 사랑을 위한 공백의 추구라는 작가의 테제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주력하였다. 순영과 해춘의 사랑은 궁정풍 사랑의 현대적 변주의 양상을 보인다. 순수한 순영은 해춘이 도달할 수 없는 장벽 너머의 존재이며 억제된 욕망의 대상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순영의 상황이 비참해질수록 순영의 몸과 정신은 더욱 고결해 지며 닿을 수 없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해춘과 순영, 해춘과 마리아의 관계는 해춘의 사랑인 순영과 해춘의 성욕인 마리아로 분리되면서 육체적인 관계에 대한 부끄러움을 갖게 되고 정신적인 관계, 순수한 사랑에 대해 열망하게 된다. 순영의 순수한 삶에 대한 신비화는 표면적으로는 순영의 존재자체가 환상이며 해춘과의 사랑의 결합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보인다. 그러나 순영과 해춘의 사랑은 이루어질 수 없는 내재적 불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다. 해춘이 순영을 향한 사랑을 지속하게 하는 것은 장애물의 유무이며 이 장애물만이 사랑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순영의 숭고함은 타락한 현실에 저항하는 순수함에 있다. 이 순수함은 해춘과 결합하는 순간 매혹의 힘을 잃게 되고 순영은 아편쟁이의 사생아 딸로 되돌아가게 된다. 현재의 순영이 온전하게 살아남은 것은 과거에서부터 지켜온 순수한 삶의 결과이었고, 반대로 마리아의 범죄와 구속은 과거의 타락한 삶이 이어져 온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소급적으로 적용된 삶의 상반된 궤적은 순영의 운명이 어떻게 될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예시를 보여준다. 순영은 끝까지 순수한 영혼으로 남아야 한다는 것이다. 공백에 대한 사유는 사랑을 향한 강렬한 충동이나 극대화된 낭만성의 배제에서 비롯된다. 대신에 이지적이고 냉정한 성격의 인물들이 번민과 회의, 자기반성을 통해 소급적으로 구성된 사랑의 방식에 대해 논한다. 이들은 뜨거운 연애에 빠지거나 사랑의 열정으로 파괴되지 않지만 오히려 자기의식으로 지나치게 함몰되어 스스로 오류에 빠지게 된다. 열정이나 욕망을 꿈꾸지만 이러한 사랑은 불가능한 환상 속에 존재한다는 냉철한 현실인식이 충동적이고 정열적인 사랑에 대해 이성적이고 비판적인 거리를 두게 한다.

      • KCI등재

        근대 소설의 내러티브와 픽션의 진리-재현 불가능성과 보여주기 기법을 중심으로

        조미희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4

        This study aims to explore Yeom Sang-seop's work with a showing technique to show how the narratives of modern novels can access irreproducible voids. This can be said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the narratives reproduced by language and the non-reproducibility to the form of language. When text reproduces the world, there is inevitably a space that cannot be reproduced. This gap is reduced to the field of reproduction through the showing technique. Showing is a way of drawing out the internal form of language, and appears as a lack of information, unknown omission, and editing in the narrative of the novel. Showing in the work is not limited to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novel, but a method that encompasses the cracks or contradictions of narratives that occur in the omission and gap of narratives, and an extended concept that implies why such contradictions are bound to occur.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Yeom Sang-seop's work can be found in the presentation and pre-statement of the nature of the character. The figurative statement is retrospectively confirmed to be true by the actions and utterances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narrative. In order for these statements to be tru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gap that cannot be expressed by realism reproduction, which is supported by post-constructed narratives. This retrospective can also be found in summary statements of negative characters. Editorial statements about characters or events are intentional gaps, which can be said to be a linguistic form that shows an irreparable gap in the origin of negative characters. Therefore, in Yeom Sang-seop's novel, the absence of information and the absence of explanation from editorial statements do not reduce the internal causality of the work and deepen the in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but rather is a form that intentionally limits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a linguistic reduction. The contradiction and distortion of the causality created by the character's actions or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 are also reduced to text by retroactively reconstructing fragmentary narratives. The existence of the fictional world, which is a reproduction of the real world, is not simply aimed at the realism of reality, but is built within the internal causality of the work. It can be said that the actions and motives of real characters only have meaning in the real world, but what is reproduced in the novel world is fundamentally different. This void between reality and reproduction can be explained by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fictional worl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not formed by a realistic description of a real person or event, but should be supplemented only by fiction. This allows us to recogniz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al world truth and the fictional truth, that is, the factual truth and the truth of fiction. 본 논문은 염상섭의 작품을 대상으로 근대소설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재현 불가능한 공백에 접근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기(showing) 기법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것은 내러티브의 리얼리티와 재현 불가능 사이의 간극을 언어의 형식으로 환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텍스트가 세계를 재현할 때 필연적으로 재현할 수 없는 공백이 발생한다. 이 공백은 보여주기(showing) 기법을 통해 재현의 장으로 환원된다. 보여주기는 언어의 내속적인 형식을 끌어내는 방법으로 소설의 내러티브에서 정보의 부재, 알 수 없는 생략과 편집 등으로 나타난다. 작품상에서 보여주기는 소설의 사실적 묘사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내러티브의 생략과 공백에서 발생하는 서사의 균열이나 모순을 포괄하는 방법이자 그러한 모순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함축하는 확장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염상섭 작품의 두드러진 특성 중 하나는 인물의 본질에 대한 보여주기와 선(先)진술에서 찾을 수 있다. 비유적인 진술은 내러티브의 진행에 따른 인물의 행동과 발화에 의해 소급적으로 진실임이 확인된다. 진술이 진실이 되기 위해서는 리얼리즘적 재현으로 표현할 수 없는 간극에 대한 보충이 필요한데 이것은 사후적으로 구성된 내러티브에 의해 지탱된다. 이러한 소급성은 부정적인 인물에 대한 요약적 진술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편집적인 진술은 의도적인 공백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것은 부정적인 인물의 기원에 대한 재현할 수 없는간극을 보여주는 언어적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적인 진술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부재, 설명의 공백은 작품의 내적 인과성을 저하시키고 내러티브의 불완전성을 심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특성을 의도적으로 한정하는 형식이자 내러티브에서 발생하는 공백에 대해 보충하는 언어적인 환원이라 할 수 있다. 현실 세계의 재현인 허구 세계의 존재 양상은 단순히 현실의 리얼리즘적 재현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 내적인 인과성 안에서 구축된다. 실제 인물의 행위와 동기는 현실세계에서나 의미를 가질 뿐 소설세계에서 재현된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제와 재현 사이의 간극은 현실세계와 허구세계의 근원적인 차이로 해명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리얼리즘적 묘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픽션에 의해 보충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으로 우리는 현실세계의 진실과 허구적 진리 즉 사실적 진실과 픽션의 진리가 차이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국어 보조동사 의미의 주관화 : ‘-어 놓다, -어 두다’, ‘-어 버리다, -어 치우다’ 쌍을 중심으로

        조미희 도서출판 박이정 2013 형태론 Vol.15 No.1

        이 논문은 어원어의 의미가 유사한 보조동사 두 쌍을 선정하여 의미의 주관화 정도와 이에 따른 통사적 특징의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 통사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피동문과 능동문의 진리치, 부정어의 수식 범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보조동사 구성이 명제 내에서 주어중심적인 의미·기능을 수행하는지, 또는 명제 바깥에서 화자중심적인 의미·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이 되는 보조동사 구성 중 ‘-어 놓다’는 의미의 주관화 과정을 겪은 뒤 주어중심적 의미의 구성과 화자중심적 의미의 구성이 공시적으로 공존하며, 두 구성이 통사적으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어 두다’ 구성과 ‘-어 치우다’ 구성은 주어중심적 의미와 그에 따른 통사적 특성을 보이며, ‘-어 버리다’는 가장 주관화가 많이 진행되어 의미적·통사적으로 화자중심적인 특성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ubjectification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wo types of tests are used in this study: 1) the truth condition of a passive sentence and the corresponding basic sentence, 2) the scope of negation. '-e noh-' has both a speaker-oriented and an agent-oriented meaning, and each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sts, shows speaker-oriente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gent-oriented syntactic characteristics. '-e tu-' and '-e chiwu-' show only agent-oriented characteristics, and '-e peli-' shows speaker-oriented characteristics. Thes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change from propositional meanings and functions to discourse meanings and functions as subjectification progresses.

      • KCI등재
      • KCI등재

        동경대 소장 한글본 『熱河記』의 번역 양상

        조미희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49 No.-

        이 글은 연암의 『熱河日記』를 번역한 동경대 소장 한글본 『熱河記』의 번역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원문과 번역본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①책의 형식과 기록을 통해 책이 형성된 시대와 배경을 추정하고, ②내용을 한문본과 대조함으로써 내용의 출입과 개작 양상을 살펴 보았으며, ③문장에 쓰인 한자어 서술어를 통해 한글본 독자에게 쉽게 읽힐 수 있는 문장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본 『熱河記』는 한문본 『熱河日記』의 충실한 번역물이 아니라, 비교적 자유롭게 개작되어 민간에서 흥미 위주로 소비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로써 한글본 『熱河記』가 조선에서 한글 산문의 창작 능력을 기르는 초기 단계의 한 예로서 가치를 가짐을 새로이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version of Yeolhailgi and its Korean translation Yeolhagi considering the following evidences. ①Yeolhailgi is made in 19th century judging by form and content, when business of sechaek(book rental) was brisk. ②The liberal tendencies of translation and lots of modification are observed. ③Yeolhailgi the book is written in easy sentences to Korean readers. These facts draw a conclusion that Yeolhagi is not a literal translation of Yeolhailgi but a liberal translation which have characteristic of creativ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