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질을 고려한 환경소음 평가 인자의 기여도분석에 관한 연구

        조경숙,조연,황대선,허덕재,Jo Kyoung-Sook,Cho Yeon,Hwang Dae-Sun,Hur Deog-Jae 한국음향학회 2006 韓國音響學會誌 Vol.25 No.3

        소음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인지는 소음의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현재의 환경소음 평가는 A 가중치 등가 소음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인간의 다양한 감성적 요인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소음 평가를 위하여 환경소음원 43개에 대하여 주관평가와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인간의 감성에 영향을 주는 음질인자 (Sound quality factor)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다양한 환경소음원에 대한 음질물리량 (Sound quality metrics)을 분석하여 음원을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음원의 주된 음질 물리량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쌍대비교법 (Paired comparisons method)과 어의분별척도법 (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사용하여 주관 평가를 실시하고 음질의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물리량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에 대한 물리량의 기여도를 분석함으로써 환경소음의 감성적 인지에 대한 기초 물리량을 설정하였다. For the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s. A weighted equivalent noise level (LeqA) is used to measure the time varying environmental nois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ly reflect various environmental noise features and human emotions. The human perception of the noise is affected largely by the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ise as well as the sound pressure level In this study, the effective factors of noise qualify are analyzed using the subjective assess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noise, such as road traffic noise. construction site noise, noise in daily living. and other. The analysis methodology is composed to three steps as follows : firstly, the values of the sound qualify metrics of various noise sources were analyzed. And to classify the noise sources, we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using sound quality metrics. Secondly, subjective jury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methods of paired comparisons and semantic differential.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parameters and the noise quality metr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human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noise are described in some physical parameters of the noise qualify metrics.

      • KCI등재

        민요 선후창 가창방식의 이해와 활용

        조경숙(Jo, Kyeongsuk)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5 No.-

        이 글은 민요의 부르는 즐거움을 위하여 민요 가창방식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요의 가창방식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학교 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는 선후창 방식의 유동적 특징에 주목하여 민요가창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후창 방식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선후창 방식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 민요대전’ 전 지역 민요의 가창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창방식의 전국적 양상과 선후창 방식의 다양한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선후창 방식의 활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가창 방식이 매우 유동적이어서 다른 가창방식으로 쉽게 넘나듦을 알 수 있었다. 선후창 방식을 가창자의 인적구성과 이의 활용을 기준으로 ‘선소리형 선후창’, ‘윤창형 선후창’, ‘집단형 선후창’으로 세분하였다. ‘선소리형 선후창’은 1: 다(多)의 인적 구성으로 한 사람이 주도하여 부르는 방식이다. ‘윤창형 선후창’은 돌아가며 메기는 방식으로 한 사람이 연행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고 참여자들이 주도권을 나누어 가지는 가창방식이다. ‘집단형 선후창’은 다(多) : 다(多) 두 패로 나누어 메기고 받는 방식이다. 선후창 방식의 활용 방안 제시는 민요 가창의 단계를 ‘노래 익숙해지기 단계’, ‘부르기 단계’, ‘자기 노래로 부르기 단계’ 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듣고 익숙해지기 단계’는 전문가나 교사가 들려주는 민요를 반복하여 들으며 가사, 가락, 장단 등에 익숙해지는 단계이다. ‘부르기 단계’는 따라 부르기로 노래를 익히고 부르는 단계로. 선창자의 소리를 그대로 따라 부르는 복창식의 선소리형 선후창 방식으로 익힌 후 집단형 선후창 방식을 활용하여 익숙하게 부르는 단계이다. ‘자기 노래로 부르기 단계’는 노래에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담아 멋스럽게 부르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기의 노랫말로 윤창형 선후창 방식으로 부르거나 가사 운용 방식까지 바꾸어 교환창, 윤창으로도 바꾸어 부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연구가 현장 교사들이 민요 가창의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n application plan for the performing form of folk song to increase the joy of singing folk song. Among many performing forms, one major form which is very important in school education is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Focusing on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application plans are proposed in order to carry out folk song singing education. For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the notion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was examined and the singing types of folk songs from all regions in ‘Korea Folk Song Collection’. Through the observation, the nation-wide aspects of singing types and the various usages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were studied. After studying the application aspects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the singing type was very flexible and it easily crossed to other singing types.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namely, ‘Sunsori-typ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Yunchang-typ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and ‘collectiv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singers and the application. ‘Sunsori-typ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is a type in which a lead singer leads the multiple other singers in the group. ‘Yunchang-typ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is a type in which singers take turns in singing. ‘Collectiv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is a type in which two groups take turns in singing. For the application measures of th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three steps are proposed: ‘familiarizing with the song’, ‘singing’, and ‘singing as if my story’. The ‘listening and familiarizing’ is the step when students listen to the singing of experts or a teacher over and over to get used to the lyric, rhythm, and melody. in the ‘singing’ step, students learn to sing by singing after the teacher and using collectiv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The ‘singing as if my story’ is the step in which students put their feelings and thoughts into the song. In this step,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hange the lyric into their town and sing the song in yunchang-type front and rear singing type or even change the operating measure of the lyric and sing exchanging chang and yung chang.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be helpful for teachers to find various teaching methods when they are teaching folk song singing.

      • KCI등재

        초등교육 현장과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민요교육 지원 방안

        조경숙(Jo, Kyeong-suk)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2 No.-

        초등학교 민요교육의 현장 상황은 밝지 않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민요교육 비중이 커졌고 민요 연구의 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현장 교사들은 여전히 민요교육을 어려워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교 민요교육의 현장 상황을 살펴보고 민요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초등 담임교사의 역할과 음악 교과의 전담제 운영현황, 교사의 국악교육과 민요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가 음악교육, 민요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담임교사는 여러 교과를 가르치기에 담임교사의 업무 경감과 교사의 교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교과전담제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도입 취지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전담 교과와 담당 교사 선정에 교과의 특성과 교사의 전문성보다 교사 수급이나 교사의 근무 상황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전담제로 운영하는 교과에서 음악 교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따라서 민요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음악 교과는 교과전담제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장의 많은 교사가 국악교육, 민요교육을 어려워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이나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민요교육 현장을 세심하게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흥미롭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민요교육 관련 교사 연수가 상시로 이루어져야 하며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방식의 1~3차시 구성의 단기 연수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교사가 민요를 좋아하고 즐기는 민요 애호가가 되도록 한다면 민요교육의 장래는 밝을 것이다. The current situation of folk music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does not look promising. Although the proportion of textbook contents and curriculum alloc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folk song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folk music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and to find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folk song education. Support pla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role of the homeroom teacher,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the music subject-only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folk s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only system is not functioning properly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music education and folk song education.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teach several subjects. The subject-only system was introduced in order to reduce the workload of homeroom teachers and enhance the subject matter expertise of teachers. However, in the school, it is not being operated well as intended. In the process of the selection of an exclusive subject and its teacher, situations in each school such as teacher supply and demand or working conditions affect more than the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music education is small among the subjects which are conducted in a dedicated system, mus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olk song education, music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as a subject-only system. Second, although many teachers in the field find it difficult to teach traditional music including folk songs, support or training sessions are not provided practically. After examining the field of folk music education carefully, helpful support should be arranged to draw out the spontaneity of teachers. Teacher training related to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interesting and easily accessible should be conducted regular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acher education is to make teachers like and enjoy folk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