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의성과 다면성의 변별성 연구

        제갈덕주(Deok Ju Jegal) 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연구 Vol.0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structure of polysemy and facets. Polysemous words are understood that one lexeme has many sememe. But in recent years, A study about facets and multi-faceted words have been conducted by Cruse(1995), Lim Ji-Ryong(2011) etc. Lim Ji-Ryong(2011) argues that Korean words consist of 3 types. They are monosemous, polysemous, and faceted words. In this paper, I will also accept such an opinion. But I don`t agree that facets are a kind of a word type. I think that polysemy and facets are a kind of characters on a word. So In Jegal Deok-Ju(2013), I have argued that. And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structure where polysemy and facts coexist. To achieve this, this study will be based on Ogden·Richards(1923).

      • KCI등재

        ‘콘텐츠’의 개념 정의에 관한 언어문화론적 접근

        제갈덕주(Jegal, Deok-ju)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4 No.-

        이 연구는 ‘콘텐츠’라는 어휘의 개념 정의에 대해 언어문화론적 접근을 시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뜻풀이와 전문가들의 새로운 개념 인식 현황, 사용례에 있어서 공기어 분석을 통한 실질적 의미 파악을 시도해 보는 것이 본고의 일차적 목표이다. 먼저 각종 사전에 나오는 뜻풀이들을 비교 분석해 보고,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개념 인식 현황을 살핀 후 문장에서 사용되는 공기어 분석을 통해 어휘의 문맥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 어휘의 사전뜻풀이, 전문가 인식, 사용례 분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의성에 기반한 언어문화적 특징을 포착할 수 있다. 이들 개개에 대한 접근 방식은 지금까지 개별 연구 영역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으나, 이를 언어문화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드물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콘텐츠’라는 추상명사에 대해 언어문화라는 통합적 관점에서 개념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어휘의미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word “contents” based on the theory of linguistic culture. The primary purpose is to try to figure out the actual meaning of contents through dictionary definition, new understanding by experts, and analysis of co-occurrent words in the usage. Firstly, after comparing each definition in different dictionaries and examining the redefinitions made by the experts, the contextual meaning of “contents”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co-occurrent words in the actual sentences. The linguistic cultural feature of a word, which is based on polysemy, can be found when it is examined by the integrated method of dictionary definition, redefinition by experts, and usage analysis. Each method has been used individually in the different research, but there have not been enough attempts to use these methods synthetically in terms of linguistic culture.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lexical semantics by conducting concept research on the abstract noun “contents” with the integrated perspective, the theory of linguistic culture.

      • KCI등재

        주술언어의 화행과 문화적 의미자질에 관한 연구 1

        제갈덕주 ( Deok Ju Jegal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3 No.-

        이 연구는 주술언어의 화행을 분석하고 그 행위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들을 자질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술언어는 주술행위와 관련된 언어현상 내지는 언어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술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에서 이루어져 왔다. 문학에 있어서 주술언어란 언어의 한계적 상황에 도전하는 창작 활동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주술언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는 언어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고, 둘째는 화행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언어문화란 일종의 언어화된 문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술성을 한국어 내재된 일종의 언어문화로 파악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주술행위를 구성하고 있는 언어적 장치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이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주술’의 개념에 관한 다의적 분석, 주술행위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화행’ 분석, 주술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의미자질 분석 등을 통해 종래의 문학적 탐구 대상을 언어학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문화어문학적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ech act of Magical languages and to qualify cultural semantic feature underlain in the practice. Magical languages can be defined as a Language Phenomena or a Language constituent related to magical acts. The studies on Magical languages have been dealt with mainly in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magical languages have been regarded as a creative activity to challenge linguistic limit. However, in this thesis, magical languages are analyzed by a linguistical methodology. The first is the approach with the lingua-culture aspect and the second is the approach with the speech act aspect. Language culture is a kind of verbalized culture. In this thesis, the study is made assuming a magical character is a sort of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Korean. Based on the assump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inguistic devices that compose magical acts. Focused is this thesis, above all, on the linguistic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literary object of inquiry through the polysemous analysis of concept of Magic, the speech act analysis typically used in magical acts and the analysis on cultural semantic feature composing Magical languages. In doing so, this thesis is suggesting a new paradigm and a direction of Cultural Language Literature(CLL) study.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학습 동기 강화를 위한 유튜브 한국어 교육 연관 검색어 분석에 대한 일고

        김명광 ( Kim¸ Myung Kwang ),제갈덕주 ( Jegal¸ Deok Ju ),이교일 ( Lee¸ Kyo 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최적화된 교육·홍보 콘텐츠 제작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튜브 검색어 자동 생성 기능 및 구글 트렌드의 거시적 통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검색어 분석을 3단계로 나누어 연관 검색어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개별화된 요구(needs)를 파악해 보았다. 이 통계는 최소 3억 회 이상 조회된 관련 동영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교육 학습자 선호도 분석 가운데 가장 폭넓은 수요조사에 해당된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주로 검색하는 것은 ‘Learn(ing) Korean/Korean Learn(ing)’ 계열이다. 여기에 개별화된 접근 검색어가 추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대상’, ‘수준’, ‘흥미’, ‘학습 환경’, ‘모국어’에 관한 맞춤형 동영상을 선호하고 있었다. 특히 5분 내외의 흥미 위주로 된 초급단계 콘텐츠를 주로 검색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홍보 콘텐츠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튜브 한국어교육은 주로 한국어에 입문하는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때 수요를 파악하여 최적화된 홍보 콘텐츠를 보급할 수 있다면,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다음 단계로의 한국어교육 전이 또는 정규 유학이나 비즈니스 차원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methodology of producing optimal education and PR contents for foreign learner of Korean(hereby FLK) by analyzing key words for web-search related with Korean education of YouTube. We use the macro statistics with a device of automatic generation mechanism of YouTube key words and Google trend program. This paper, especially divided the analytic procedures into 3 steps, extracting the relational key words and finding individual Needs of FLK. The mechanism is included in the Needs analysis The technique of this analysis is included in the most broad inquiry of online videos among the one of the preference degree of learners because it is on the basis of three hundred million views at least. The key phrases of preferred by the FLK is “Learn(ing) Korean/Korean Learn(ing)”, and further details, specializing differential approach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 They preferred customized on-line video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interest, learning environment, object, and mother tongue etc. Especially, they required the contents with 5 minutes running time and ones of novice level giving them to fun, As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optimal ways of P.R contents optimal for Needs of FLKs. It is a common approach for FLKs to learn Korean with the use of YouTube. You can motivate learning to them only if we understand their needs, making customized P.R contents and finding the effective route of advertising them. Furthermore, they will want to learn Korean at regular system, or at Korea), or at business level.

      • KCI등재

        유튜브의 한국어 교육 인기 채널 및 최우수 교육 콘텐츠 분석

        백순철 ( Paik Sun-chul ),이예지 ( Lee Ye-ji ),제갈덕주 ( Jegal Deok-ju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In recent years, YouTube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platform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contents of some Korean language learning YouTube channels selected from the most popularized among the learn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YouTube site using some keywords pertaining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he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to determine the emerging themes and/or concepts,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four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most accessed by learners turned out to be created and provided by major maketing agencies, which aim to promote accessibility and publicity of their contents to their clients. Second, Korean language learners tended to prefer native Korean-speaking teachers, which was figured out by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the views count on the popular channels and highly rated videos. Third, the analysis of comments and the ‘Like’ count on the channels revealed that video clips edited by various techniques were more attractive to learners than those relying on traditional lecture methods. Finally, the video contents were more eliciting from viewers interactive responses, such as comment or the Like count, when incorporating linguistic components into a range of cultural ones rather than when presenting merely linguistic components per se. The implications drawn out fro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1) a professional platform equipped with basic teach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individual creators and/or instructors; (2) further studies on the ways in which learners search for contents and access to the channels should be done and (3)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customized for learners’ needs and interest, as well as be culturally contextu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