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동적 계획법과 이미지 세그먼트를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

        원표(Won-Pyo Dong),창성(Chang-Sung Jeo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논문에서는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과 이미지 세그먼트(segment)를 이용한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stereo matching)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은 빠르면서도 비교적 정확하고, 조밀(dense)한 disparity map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경계(boundary)근처의 폐색지역(occlusion region)이나, 텍스쳐가 적은 모호한 영역에서는 잘못된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이미지를 아주 작은 영역으로 분할(over-segmentation)하고, 이런 작은 영역들이 비슷한 disparity를 가질 것 이라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을 통해 정합을 수행한다. 여기서 계산비용(cost)은 기존의 정합윈도우 안에서 세그먼트 영역을 적용한 새로운 비용함수를 사용하며, 이 새로운 비용함수를 통해 정확도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동적 계획법을 통하여 얻어진 조밀한 disparity map을 세그먼트 영역들의 시각특성(visibility)과 유사도 (similarity)를 이용하여 에러를 찾아내고, 세그먼트 정합을 통해 수정함으로 정확한 disparity map을 찾아낸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연근해 어류 14종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이두석 ( Doo Seog Lee ),윤호 ( Ho Dong Yoon ),김연계 ( Yeon Kye Kim ),윤나영 ( Na Young Yoon ),문수경 ( Soo Kyung Moon ),김인수 ( In Soo Kim ),보영 ( Bo Young Jeo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6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muscle tissue were studied in 14 species of coastal and offshore fishes in Korea. Lipid content ranged from 0.57 to 10.5% and was higher in migratory and reef dwelling fishes than in demersal fishes. Protein content ranged from 14.4 to 20.3% and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72.4 to 81.8% in all fish sampl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ipid and moisture content in all fish samples (r= -0.90, P<0.001).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0,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18:1n-9,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16:1n-7, 18:0 and 18:1n-7. Most demersal fishes contained considerably higher amounts of 20:4n-6 and/or 22:5n-3 compared with migratory and reef dwelling fishes. The proportion of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including DHA and EPA, was higher in demersal fishes (38.6-54.0%) than in migratory and reef dwelling fishes (23.5-35.2%).

      • SCOPUSKCI등재

        MS-전자코를 사용한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생수병과 뚜껑의 이취 이행 분석

        한현(Hyun Jung Han),박수원(Su Won Park),효연(Hyo Yeon Jung),김정선(Jung Sun Kim),혜민(Hyemin Dong),노봉수(Bong Soo Noh)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원료인 생수와 포장 용기인 페트병과 뚜껑에서 야기되는 이취성분의 존재여부를 MS-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취가 나는 생수는 농도별로 DF2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취의 원인이 페트병 혹은 페트병의 뚜껑이라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뚜껑에서 휘발 성분이 페트병 보다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에서 나는 이취가 페트병보다는 뚜껑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을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온 분획의 결과로 보아 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2,4-di-tert-butylphenol, 노난올과 데칸올이 페트병과 뚜껑에 포함되어 있다고 추측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ff-flavor generated from PET water bottles and their caps by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The ion fragment data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nose were used for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In the case of increased concentrations of the contamination of water, the off-flavor pattern depended on the discriminant function second score instead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To identify the cause of off-flavor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d water, the PET bottle and its cap were analyzed by DF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p generated more volatile compounds than the bottle or mineral water did. The substances causing the off-flavor were predicted to be 2,4-di-tert-butylphenol (2,4-DTBP), nonanal, and decanal when the main peak of the mass spectrum was compared with the major ion fragments of the electronic nose. Thus, using this method, we could determine whether the PET water bottle was contaminated and whether the off-flavor resulted from contamination of the bottle cap.

      • KCI등재

        수입산 및 국내산 담수어류 3종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

        문수경 ( Soo Kyung Moon ),이두석 ( Doo Seog Lee ),윤호 ( Ho Dong Yoon ),김연계 ( Yeon Kye Kim ),윤나영 ( Na Young Yoon ),김인수 ( In Soo Kim ),보영 ( Bo Young Jeong ) 한국수산과학회 201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5 No.6

        The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edible portion of three species of cultured freshwater fish (common eel Anguilla japonica, rainbow trout Onchorhynchus mykiss,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were compared between imports from China and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The lipid contents of cultured common eel and rainbow trout were rich in imported f ishes (20.4 and 12.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in domestic ones (16.0 and 8.01%, respectively), while those of Israeli carp were rich only in the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8.06 and 3.07%, respective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ipid and moisture contents in all f ish samples (r =-0.86). The protein contents ranged from 16.6 to 21.3% in domestic f ishes and 15.3 to 19.1% in imported ones. The most prominent fatty acids in the f ishes were: saturated fatty acids, 16:0, 18:0 and 14: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18:1n-9, 16:1n-7 and 18:1n-7;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18:2n-6,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The percentage of n-3 PUFA (e.g., DHA, 22:5n-3, EPA, and 18:3n-3) was higher in domestic common eel and Israeli carp than in imported ones, but similar in domestic and imported rainbow trout, and higher in domestic wild rainbow trout than in cultured ones.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cultured freshwater f ishes con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18:2n-6, which is a characteristic fatty acid in cultured f ish lipi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친구 추천 기능 제안 - 하이퍼로컬의 위크타이 속성을 중심으로 -

        주 미,김 수 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Metaverse is emerging as the 4th generation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NS, Metaverse h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re both online and offline. Accordingly,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in a Metaverse service by integrating it with the encounter attribute, a practical attribute for inducing affection in offline. Methods The hyperlocal encounter attribute that triggers bonding is applied in the user interfac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 experiment including prototype exploration of virtual video and survey is conducted using Wizard of Oz methodology. The primary purpose of the experiment is to identify users tendency to make new friend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ose features and user interfaces. Resul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offline hyperlocal attribute is also valid within the Metaverse, and the number of encounters is a compelling attribute in making new friends in SNS. The higher the number of encounters, the higher the intimacy participants have felt on one another. Other practical attribute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re visual factors such as outfits of an avatar and sharing similar interests in the Metaverse. The latter attribut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riend recommendation methods of existing servic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new SNS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by combining the affection attribute of hyperlocal. Based on the insights found in the experiment,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a more suitable form of friend recommendation for user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the future. 연구배경 4세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메타버스가 떠오르고 있다. 기존에 사용된 서비스와 달리 메타버스는 환경적 특성이 존재하며, 해당 특성은 온라인뿐만이 아닌 오프라인 적 속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유대감을 유발하는 유효 속성인 마주침 속성을 메타버스 환경과 결합하여, 메타버스 환경 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신규 친구 추천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유대감 속성을 유발하는 하이퍼로컬의 마주침 속성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유저 인터페이스로 표현하였다. 이후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여 친구 사귐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가상의 영상으로 Wizard of Oz 방법론을 실행하였다. 이후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당 기능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오프라인의 하이퍼로컬 속성이 메타버스 내에서도 유효하며, 마주침 횟수가 서비스 내 친구 사귐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참가자는 횟수가 높을수록 친밀하다고 인식했으며, 이 외에도 시각적 매개 및 기존 친구 추천 방식인 관심사 정보도 메타버스 환경에서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해당 연구를 통해 하이퍼로컬의 유대 속성을 결합하여 메타버스 환경의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친구 추천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에서 발견된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향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형태의 친구 추천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