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도르노 철학에서의 이성의 파괴

        정태창(Jung, Tae-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은 20세기의 야만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초로 이성과 지배의 상호 연관을 설명하는 하나의 전형을 제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계몽의 변증법』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다음의 세 가지 주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20세기의 야만은 계몽의 필연적인 변증법적 자기 파괴의 결과이다(계몽의 변증법). 둘째, 이성은 필연적으로 억압적 지배와 결합한 도구적 이성으로 전락한다(총체적 이성 비판). 셋째, 지배는 곧 억압이며 정당한 권력은 가능하지 않다(아나키즘). 문제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전개되는 아도르노의 총체적 이성 비판과 그 귀결인 아나키즘이 권력의 정당성이라는 정치철학의 근본문제를 해소시켜버린다는데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해소가 타당한지를 검증하는 작업에 할애되어 있으며, 『계몽의 변증법』에서 전개되는 아도르노의 세 가지 주장(계몽의 변증법, 총체적 이성 비판, 아나키즘)을 이성과 권력 정당성의 상호연관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dorno’s Dialectic of Enlightenment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hree arguments. 1) Dialectic of enlightenment: the origin of barbarity in the 20th century is to be found in the inevitable self-destruction of enlightenment. 2) Totalized critique of reason: reason inevitably declines into instrumental reason which is connected to suppressive ruling. 3) Radical anarchism: ruling is in itself suppressive and legitimate authority is not possible. The problem is that in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Adorno’s totalized critique of reason and consequent radical anarchism deny the possibility of legitimate political authority, the main theme of political philosoph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Adorno’s three arguments in Dialectic of Enlightenment,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reason and the legitimacy of authority.

      • KCI등재

        비지배 자유와 공화주의의 딜레마

        정태창(Jung, Tae-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7 No.-

        전통적으로 공화주의는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제와 그 귀결인 시민적 덕성과 정치적 참여에 대한 강조를 핵심으로 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동물’ 논제가 현대의 다원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는 비판이 대두되면서 전통적인 공화주의는 설득력을 잃게 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와 결별하고 비지배 자유(nondomination)의 이상을 내세우는 신로마(neo-Roman) 공화주의가 현대 공화주의 담론의 핵심으로 부상하였다. 페팃을 위시한 스키너, 비롤리 등의 신로마 공화주의자들은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 개념을 비판하면서 공화주의 전통에서 강조되어 온 비지배 자유(libertas)의 개념이야말로 현대 자유주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데 핵심이 되는 정치적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신로마 공화주의의 이러한 주장을 다음의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비판하고자 한다. 첫째, 신로마 공화주의의 자유주의 비판은 소극적 자유와 관련되어 있는 일종의 개념적 혼동에 기초해 있으며, 이를 바로잡을 경우 상당히 약화된다. 둘째, 신로마 공화주의가 현대에 적실성을 가지려면 반드시 넘어서야 할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는 비지배 자유가 정치적 자유로 이해되는 경우 그것을 이미 함축하고 있다. 셋째, 신로마 공화주의는 공적 지배는 물론 사적 지배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는점에서 롤즈의 자유주의와 구분되지만, 이는 신로마 공화주의의 정체성을 심각하게 손상시킨다. 이 세 가지 비판은 만약 타당하다면 비지배 자유 공화주의를 재고해 보아야 할 하나의 이유를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더 나아가 신로마 공화주의가 거부된다고 할 경우 성립하는 공화주의의 딜레마에 대해 알아보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동물’ 논제와 현대의 다원주의가 양립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그러한 딜레마의 해법을 시사하고자 한다. Republicanism is grounded in the Aristotelian ‘political animal’ thesis and the encouragement of civic virt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Since it became generally acknowledged that the Aristotelian thesis could not be reconciled with modern pluralism, though, the old republicanism soon lost its power and neo-republicanism, whose main ideal is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not any Aristotelian tenet, came to the fore. Criticizing the liberal concept of negative liberty severely, neo-republicanists contend that freedom as non-domination is the key ideal by which to overcome the flaws of liberalism. In this paper, I criticize neo-republicanism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theses. First, the criticism of liberalism by neo-republicans is not valid because it is based on a conceptual mistake. Second, Rawls’s political liberalism, which is to be overcome by neo-republicanism, already includes the ideal of freedom as non-domination, provided it is meant as a political liberty. Third, neo-republicanism is distinguished from Rawls’s political liberalism in rejecting all kinds of domination, but this damages the identity of neo-republicanism severely. These three criticisms, if valid, are meant to constitute a sufficient reason to reject neo-republicanism. The dilemma of republicanism, which seems to be constituted if neo-republicanism is rejected, can be resolved because the Aristotelian ‘political animal’ thesis and modern pluralism are not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가 현대 입헌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 갖는 실천적 함의

        정태창(Jung, Tae-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현대 사회에서 입헌 민주주의는 시장에 종속됨으로써 형식적인 것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입헌 민주주의를 온전히 실현하는 것을 핵심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롤즈는 크게 사회 정의관과 이를 만족시키는 사회의 기본 구조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입헌 민주주의적인 전환을 시도한다. 첫째, 롤즈는 현대 사회에서 시장의 논리를 관철시키는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하는 공리주의를 입헌 민주주의에 적합한 정의관인 공정으로서의 정의로 대체함으로써 시장의 효율성에 대한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우위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롤즈는 분배를 원칙적으로 시장에 맡겨둠으로써 민주주의적 기본권과 양립할 수 없는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방조하는 복지국가 자본주의를 입헌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시장의 분배에 강력한 규제를 가하는 재산소유 민주주의로 대체함으로써 민주주의와 시장 사이의 현존하는 권력관계를 역전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시장에 대한 민주주의의 우위를 확고히 함으로써 현대 입헌 민주주의의 위기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constitutional democracy is in crisis and subjugated by market power that is gradually turning it into a bare formality. Rawls’s justice as fairness aims to overcome the crisis and restore constitutional democracy. It suggests reformations in the two aspects of a contemporary conception of justice and social institutions. Concerning the former, Rawls strives to assure the priority of democratic legitimacy over capitalistic efficiency by replacing the utilitarian conception of justice (that plays the role of capitalistic ideology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with justice as a fairness that is more apt for a constitutional democracy. Concerning the latter, he struggles to reverse the dominance of the market over democracy and substantially restore constitutional democracy by replacing the capitalist welfare state that allows: distributions to be appropriated by market forces, passes over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ies incompatible with democratic basic rights, and with a property-owning democracy that regulates the distributions of the market under the authority of democratic principles. Rawls’s justice as fairness can be assessed as an attempt to restore constitutional democracy in a modern industrial society by assuring the priority of democracy over a market economy.

      • KCI등재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하나의 형식적 조건으로서의 비지배 자유

        정태창(Jung Tae-Chang)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논집 Vol.64 No.-

        비지배 자유는 좋은 삶의 특정한 관념을 내세우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대사회의 다원주의와 양립할 수 있으면서도, 그동안 주류를 이루어온 비간섭 자유 중심의 자유주의에 대한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제3의 길로서의 공화주의의 핵심을이루는 이상이다. 하지만 현재 신로마 공화주의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지배-예속관계들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생산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지고 못하고, 여전히 비지배 자유의 유효성에 대한 개념적 논쟁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공화주의에 대한 주요 비판을 지배의 편재화 비판과 자유의 도덕화 비판의 두 가지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지배 자유 개념을 다음의 두 가지 점에서 재정식화한다. 첫째, 공화주의자들이 원자적 행위자들 간의 이항적(dyadic) 관계라는 분석적 행위 이론의 모델에 따라 지배를 파악하면서 추상한 ‘사회적인 것(the social)’ 을 다시 비지배 자유 개념과 연관시키는 것이다. 둘째, 비지배 자유가 정의(justice) 와 좋은 삶(good life)라는 정치철학의 두 가지 좌표축과 관련하여 어떠한 위치에있는지를 분명하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비지배 자유를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이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하나의 형식적 조건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본다. Freedom as non-domination is the core ideal of neo-Roman republicanism,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pluralism of modern democratic society in that it does not put forward a particular conception of good life, and which is expected to resolve the discontents of mainstream liberalism. However, republicanism seems to have failed to advance to a productive level in which various relationships of domination-servitude are properly analyzed and feasible solutions are formulated. Current debates on this topic are stuck at a stage of conceptual debate on the validity of freedom as non-domination. This paper identifies the main criticisms of republican freedom as twofold: the ubiquity of domination and the moralization of freedom, and aims to reformulate freedom as non-domination freedom in the following two respects: First, it will reintroduce the aspect of ‘the social’, which republican theorists abstracted, conceptualizing domination according to the model of analytical behavior theory, to freedom as non-domination. Second, it clarifies how republican freedom related to the two fundamental concepts of political philosophy: justice and good life.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most appropriate to conceptualize republican freedom as a formal condition for citizens to lead a good life in a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프레이저-호네트 논쟁에서 분배원칙의 정당화 문제 -롤스의 차등의 원칙을 중심으로-

        정태창(Jung, Tae-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분배와 인정의 관계에 대한 프레이저-호네트 논쟁에서 이 두 철학자는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대한 서로 대립되는 해석을 제시하는 바, 이러한 해석들 중 어느 쪽이 설득력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 프레이저의 분배-인정 이원론과 호네트의 인정 일원론 사이의 논쟁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논점을 이룰 것으로 생각된다. 프레이저가 주장하는 것처럼 분배 원칙이 분배 패러다임 안에서 인정의 문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의무론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면 분배-인정 이원론이 설득력을 갖게 되겠지만, 호네트가 주장하듯이 분배의 문제를 규범적으로 다루고자 할 경우 인정의 문제에 호소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면 인정 일원론에 유리한 논거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롤스의 차등의 원칙에 대한 ‘의무론적’ 정당화 논변과 ‘목적론적’ 정당화 논변을 각각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두 가지 입장들 중 후자가 보다 유망하다는 점을 밝히는 한편, 프레이저의 주장과는 달리 호네트의 ‘목적론적’ 정의관이 의무론의 논리와 충돌하지 않으며 현대 사회의 선관의 다원주의와도 양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자 한다. In the Fraser-Honneth controvers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distribution and recognition, the two philosophers present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f Rawls’ justice as fairness, and the question regarding which interpretation is more persuasive makes a decisive point of the debate between Fraser’s dualism of redistribution-recognition and Honneth’s monism of recognition. If, as Fraser argues,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can be justified in a deontological way independent of recognition, her dualism prevails. If it is not possible to avoid appealing to recognition in justifying the principle of redistribution, it will serve as a favorable argument for Honneth’s monism. This paper examines the ‘deontological’ argument and the ‘teleological’ argument concerning Rawls’ difference principle and demonstrates that the latter is more promising. It also shows that Honneth’s monism does not conflict with neither the logic of deontology, nor with the pluralism of the conceptions of the good in 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논증 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정태창 ( Jung Tae-chang ) 한국윤리학회 2016 윤리학 Vol.5 No.1

        본 논문은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기획을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따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첫째로,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을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소하려는 아펠의 시도는 충분한 답변이 되지 못하며, 과연 이러한 물음이 철학적 논증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로, 논증이 가능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보편타당한 도덕 규범들이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목적 합리적 규칙과 도덕 규범을 혼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왜 다른 조건들이 아닌 이러한 가능조건인가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느슨한 형태의 철학적 반성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화용론적 모순의 개념에 기초한 논증은 그것을 개입시키지 않는 형태의 논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버트가 제시한 뮌히하우젠의 트릴렘마를 피해나갈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 셋째로, 논증 참여자들의 만장일치의 이성적 합의에 의해 타당한 도덕 규범을 산출하고 정당화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과학 공동체의 진리 주장에 실천적 문제에 대해 반성하는 의사소통공동체의 모델을 무리하게 동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원리적으로 실현가능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한다. 아펠의 정초주의적 기획에 대한 본 논문의 이러한 비판적 분석은 타당하다면 오늘날 선험화용론의 논증 논리에 따라 정초주의의 기획을 전개하는 입장에 대해 재고해볼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riticizes the foundationalist arguments of Apel’s discourse ethic in three points. Firstly, Apel’s attempt to dissolve the question ‘Why be moral’ by a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not successful, since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kind of existential question can be answered by philosophical argument. Secondly, Apel’s argument that universally valid moral norms as indispensable preposition in communicative praxis can be discovered by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flawed because it is based on a confustion of purposive-rational rules and moral norms. Moreover, Apel can answer the question ‘Why these presuppostions, not others?’ only by appealing to a kind of philosophilcal reflection which is not strict enough to vindicate a claim of necessary truth. Apel refutes Albert’s anti-foundatinalist argument is based on pragmatic contradiction by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But since it is possible to transform Apel’s argument to one which is not based on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it is not clear whether his position really overcomes Albert’s munchhausen trilemma. Thirdly, Apel’s claim that a unanimous rational agreement by participants of discource can construct and justify valid moral norms is flawed with unrealizability because it assimilates the model of communicative community aimed at reflection on practical problems to scientist community reflecting on truth claim. These critical assessments can give, if valid, a reason to reconsider the foundationalist project based on the logic of transcendental pragmatics.

      • KCI등재

        공화주의 공공 철학과 좋은 삶

        정태창(Jung, Tae-Chang)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공화주의는 민주주의 사회의 공공 철학의 주류를 이루어온 자유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유망한 대안으로 간주되어왔으나, 아테네적 전통과 신로마적 전통으로 분열되고 각각 심각한 비판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관련 논의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라는 개념을 통해 공화주의를 규범적으로 정초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샌델의 시민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공화주의의 아테네적 전통을 이 개념에 기초하여 재정식화한다. 샌델의 시민 공화주의는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정의관에 따라 좋은 삶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합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형식적 조건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는 위의 기획과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 본 논문은 좋은 삶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에 대한 합의에 중점을 두는 공화주의 공공 철학이 보다 유망하다는 점을 밝히고, 이러한 노선을 따를 때 비로소 공화주의의 시민적 덕성 및 정치 참여에 대한 강조가 현대 사회의 다원주의와 양립가능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Republicanism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 to liberalism, the mainstream public philosophy of democratic society, but it is divided into Athenian and neo-Roman traditions and faced with serious criticisms, respectively, which seems to prevent related discussions from moving forward. To overcome this impasse, this paper establishes normative foundation of republicanism on Honnett’s concept of ‘Sittlichkeit’, or the intersubjective conditions for living a good life, and reformulate Sandel’s civil republicanism accordingly. Sandel"s civil republicanism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above project centered on discussions of formal conditions for good life in that it aims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concrete contents of good life according to his Aristotleian conception of justice. This paper reveals that a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that focuses on consensus on form of good life, and not content of good life, is more promising, and only when this line is followed can the emphasis on civic virtu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 understood in a way compatible with reasonable pluralism in modern society.

      • 드론스테이션 자동 충전을 위한 산업용 드론 배터리팩 구조

        김영규(Young-Kyu Kim),호헌(Hohun Jung),태창(Tae Chang Kang),상우(SangWoo Jung),유종호(Jong-Ho Yoo),김대년(Dae-Nye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산업용 드론은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비행시간이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드론스테이션의 자동충전 기능이 연구되고 있지만. 기존 산업용 드론의 배터리팩 구조는 자동충전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드론 스테이션의 자동충전에 적합한 배터리팩 구조를 제안한다. Industrial drones have restrictive flight time because of battery capacity limitation. To overcome the drawback, auto-charging mode of drone stations has been studied, but conventional battery pack forms of industrial drones are un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auto-charging mode on drone st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a drone-battery-pack structure concerned the auto-charging mode with drone 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