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aco-2 소장세포와 J774 대식세포에서 Hepcidin 호르몬이 철분 수송체 Ferroportin과 Divalent Metal Transporter 1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채선주(Sun-Ju Chae),정자용(Jayo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소장세포(Caco-2)와 대식세포(J774)를 이용하여 FPN과 DMT1의 유전자 발현에 hepcidin 펩타이드 호르몬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aco-2 세포에서 FPN과 DMT1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은 분화 진행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DMT1 단백질은 분화 초기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다가 분화 7일째에 비로소 발현되기 시작한 후 급격히 증가하여 분화 17일째에는 7일째에 비해 단백질 수준이 10배 이상 크게 증가되었다. 분화된 Caco-2 세포에서 소변 hepcidin과 합성 hepcidin을 100 n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FPN 단백질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60%와 70%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DMT1 단백질의 경우, 소변 hepcidin 100 nM 농도에서만 대조군의 55%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J774 세포에 소변 hepcidin 혹은 합성 hepcidin을 24시간 처리한 결과, 10 nM과 100 nM 농도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FPN 단백질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MT1 단백질 수준도 소변 hepcidin 10 nM과 100 nM 처리에 의해 각각 대조군의 40%와 37%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분화된 Caco-2 세포와 J774 세포에서 10 nM 혹은 100 nM 농도의 hepcidin처리 시 DMT1 mRNA와 FPN mRNA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볼 때 hepcidin은 전사과 정의 조절보다는 DMT1과 FPN 단백질로의 번역과정을 억제하거나 분해 속도를 촉진함으로써 이들 단백질의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hepcidin 펩타이드 호르몬이 DMT1 단백질과 FPN 단백질의 수준을 억제함으로써 체내 철분 대사 조절에 중요하게 관여함을 나타낸다. 특히 소장세포와 대식세포에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소장에서의 철분 흡수와 대식세포에서의 철분 방출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조절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앞으로 hepcidin의 생성 및 분비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와 hepcidin이 실제 세포 내외로의 철분의 수송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능적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epcidin is a peptide hormone produced by the liver, of which secretion is closely related to iron status in the bod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this peptide regulates body iron homeost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pcidin treatment within the physiological concentration range on the expressions of two different iron transporter proteins-ferroportin (FPN) and divalent metal transporter 1 (DMT1). Differentiated Caco-2 intestinal cells and macrophage J774 cells were treated with either synthetic hepcidin or hepcidin-rich fraction separated from human urine at the concentration of 10 nM and 100 nM for 24 hours. Results show that hepcidin treatment in differentiated Caco-2 cells or in J774 cells did not change the level of either FPN mRNA or DMT1 mRNA. On the other hand, hepcidin treatment at the dose of 100 nM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PN protein levels and DMT1 protein levels in differentiated Caco-2 cells. Similarly, urinary hepcidin treatment (10 nM & 100 nM)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FPN and DMT1 proteins in J774 macrophage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hepcidin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iron homeostasis by lowering the protein levels of iron transporter FPN and DMT1 both in enterocytes and in macrophage cells.

      • KCI등재

        한국 여성 노인에서 α-Adducin, Angiotensinogen, ACE 유전자다형성 및 나트륨 섭취수준에 따른 혈압의 비교

        채선주(Sun Ju Chae),정자용(Jayo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Gene polymorphisms that are associated with sodium homeostasis in the body, such as α-adducin (ADD1, Gly460Trp), angiotensinogen (AGT, Met235Thr),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s/Del) may increase the risk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ular and combined effects of ADD1, AGT, ACE genotypes, and blood pressure in elderly population. Moreover, w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sodium intake and polymorphisms of aforementioned genes and their effects on blood pressure. Among one hundred and nine female subjects, aged 60 and over (mean 75.9 yr), the major alleles for ADD1, AGT, and ACE polymorphisms in the studied population were Gly (66.1%), Thr (64.2%), Ins (83.5%), respectively. Analysis on the combined effects of genetic variation showed that subjects who were both ADD1 Trp/Trp and ACE Del/Del homozygo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p=0.01). Similarly, ACE Del/Del homozygotes who had AGT Met allele had significantly higher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1). However, in single-gene analyses,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ny specific genotype and blood pressure. In subjects with low sodium intake, ADD1 Trp/Trp homozygo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who had ADD1 Gly allele (138 mmHg vs. 127 mmHg, p=0.03).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ADD1 Trp/Trp and ADD1 Gly/Gly or Gly/Trp, in subjects with high sodium intake. In summary, this study shows that interactions between the ADD1, AGT and ACE genes influenc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elderly subjects, and dietary sodium intake can modulate the effects of ADD1 Gly460Trp polymorphisms on systolic blood pressure.

      • KCI등재

        구리가 Ferroportin-1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보연(Park Bo-Yoen),정자용(Chung Jayo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5

        본 연구는 J774 대식세포에서 FPN 유전자 발현 조절에 구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J774 대식 세포에 구리를 처리하였을 때, iron exporter FPN의 mRNA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ron importer DMT1의 mRNA 수준은 구리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Actinomycin D를 이용하여 mRNA 합성을 억제한 상태에서 FPN mRNA 분해정도를 시간별로 추적한 결과, acitnomycin D 처리 후 9시간 경과시 FPN mRNA 수준이 처음 수준의 약 60% 정도로 감소하였다. 배양액에 구리를 첨가한 경우에도 FPN mRNA의 분해 정도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이로 볼 때 구리는 FPN mRNA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reporter assay 실험 결과 구리의 첨가는 FPN 프로모터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구리가 FPN mRNA의 전사 과정을 직접적으로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PN 5’-UTR에 위치하는 IRE (iron response element)의 존재 여부는 구리에 의한 FPN 전사 개시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볼 때 구리는 철분과는 독립적인 작용 기작에 의해 FPN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리는 대식 세포에서 전사개시 과정을 활성화함으로써 농도 의존적으로 FPN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구리가 철분의 대사에 미치는 새로운 작용 기작을 제시한다. 앞으로, 구리와 철분의 상호 작용이 FPN의 철분 및 다른 무기질 이온의 세포 내 · 외 수송 (transport)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능적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erroportin-1 (FPN) is a transporter protein that is known to mediate iron export from macroph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pper on the regulation of FPN gene expression in J774 mouse macrophage cells. J774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uSO4 and RT-PCR analys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steady-state levels of mRNAs for FPN and divalent metal transporter 1 (DMT1, an iron importer). Copper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FPN mRNAs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didn’t change the levels of DMT1 mRNA. Experiments with transcriptional inhibitor actinomycin D (0.5 ㎍/mL) revealed that copper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half-life of FPN mRNAs in J774 cells. On the other hand, results from luciferase reporter assays showed that copper directly stimulated the promoter activity of FPN. In summary, our data showed copper induced FPN mRNA of macrophages via a transcriptional rather than post-transcriptional mechanisms.

      • KCI등재

        곤드레 (Cirsium setidens) 에탄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억제 효과

        김은혜(Kim, Eun-Hye),정자용(Chung, Jayo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6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흰 쥐 수컷을 정상 대조군 (C), 알코올 군 (E), 알코올 + 1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LCS), 알코올 + 5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HCS)으로 나누어 Lieber-DeCarli control diet 혹은 Lieber-DeCarli ethanol diet를 8주간 공급하였으며, 이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사료에 직접 섞어 공급하였다. 알코올과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 종료 후 간 조직의 지방구 축적 정도를 살펴본 결과, E+LCS군과 E+HSC군은 E군에 비해 지방간 발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인 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비슷하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과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혈청 AST와 혈청 ALT 활성도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p-AMPK과 p-ACC 단백질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두 단백질 모두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FAS mRNA와 SCD1 mRNA 수준은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간 조직에서 알코올 공급에 의해 증가된 NFκ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NFκB의 표적 단백질인 TNFα 단백질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낮추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곤드레는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발생 및 관련된 간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MPK 활성 증가와 NFκB 활성 억제가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ic extract (CS) on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and associated injury. Method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either Lieber-DeCarli control (C) or ethanol (35.5% of total calories) liquid diet with 0 (E), 100 mg/kgBW CS (E+LCS), or 500 mg/kgBW CS (E+HCS) for 8 weeks.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ies as well as TG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liver tissues were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s. Liver histopathology was examined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the fixed liver tissues. Protein levels of phosphorylated-AMP 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phosphorylated-acetyl CoA carboxylase (p-ACC), phosphorylated-nuclear factor kappa B (p-NFκB), and TNFα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es. Results: Both doses of CS markedly suppressed alcohol-induced lipid droplets accumulation in the liver tissue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alcohol-induced increases in activities of serum ALT and serum AST. Similarly, CS significantly reduced hepatic and serum TG concentrations. Compared to groups fed alcohol only, CS supplementation strongly increased hepatic levels of p-AMPK and p-ACC. Further, CS significantly inhibited alcoholinduced phosphorylation of NFκB, which was associated with reduced hepatic protein levels of TNFα. Conclusion: Our data demonstrated that CS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lcoholic liver injury, which was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AMPK and inhibition of NFκB.

      • KCI등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아연 보충이 골격 근육의 아연 수송체 ZIP7 수준과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주치앤징(Qianjing Zhu),정자용(Jayong Chung)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6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동물모델에서 아연의 식이를 통한 보충 급여가 혈당 조절과 골격 근육의 ZIP7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HF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단위 체중당 골격 근육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당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와 함께 아연을 보충 공급한 HF+Zn군은 아연을 보충하지 않은 HF군과 비교하여, 공복 혈당과 경구 포도당 부하 후 혈당 증가 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HF+Zn군은 HF군에 비해 골격 근육의 ZIP7 단백질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AKT 활성과 GLUT4 단백질 수준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연 보충은 비만으로 인한 고혈당 증세를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골격 근육에서의 ZIP7 아연 수송체에 의한 당 대사 조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zinc transporter ZIP7 is known to regulate glucos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s, and skeletal muscles are known to play a critical role in glycemic control.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etary zinc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expression of ZIP7 in skeletal muscle obtained from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HF). Methods: C57BL/6J mal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were administered either a HF (60% of total calories from fat), HF supplemented with zinc (HF+Zn, 60% calories from fat + 300 mg zinc/kg diet), or low-fat diet (CON, 10% calories from fat), for 15 weeks. Results: Compared to CON group mice, the final body weights and adipose tissue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 skeletal muscle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ice belonging to the HF and HF+Zn groups. The HF+Zn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fasting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than the HF group. Similarly, zinc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HF-elevated area under the curve values obtained from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Skeletal muscle protein levels of ZIP7 in samples obtained from the HF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 group. Conversely, the skeletal ZIP7 protein levels in the HF+Zn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HF group. Moreover, the protein levels of phosphorylated-AKT and glucose transporter 4 in the skeletal musc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ubsequent to zinc supplementation. Conclusion: Our data demonstrates that zinc supplementation up-regulates the skeletal muscle ZIP7 expression, which is associated with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the obesity.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과일, 채소 섭취빈도와 정신건강: 제10-13차 (2014-2017)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오지원(Jiwon Oh),정자용(Jayong Chung)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5

        본 연구는 2014–2017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12–18세에 해당하는 남학생 137,101명, 여학생 130,806명을 대상으로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와 주관적 행복상태, 스트레스 인지, 우울 증상 경험 및 자살 생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단 66%가 행복한 편이라고 답하였으며, 2.7명 중 1명은 과도한 스트레스, 4명 중 1명은 우울 증상, 8명 중 1명은 자살 생각을 경험하는 등의 정신건강 문제에 노출되어 있었다.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는 성별, 나이, 가정경제 수준, 주거 형태, 주관적 학업 성취도, 비만도, 흡연 여부 및 음주 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가당음료, 우유, 패스트푸드 섭취 및 아침 결식 여부와 같은 다른 식습관 요인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생활습관 변수를 보정한 후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모두 과일과 채소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비섭취군 대비 주관적 행복상태에 대한 오즈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스트레스 인지, 우울 증상, 자살 생각에 대한 오즈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다른 식생활 요인 변수들을 추가로 보정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적으로 나타나,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 증가가 청소년의 긍정적인 정신건강과 관련성이 있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기 건강한 정신건강을 위해 과일과 채소의 섭취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청소년의 과일과 채소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과 교육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14-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on 137,101 boys and 130,806 girls aged 12-18. Fruit and vegetable intake was assessed based o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The outcome variables were the perceived happiness, perceived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ideation over the previous 12 months.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after adjusting for the demographic, life style and other dietary factors. Results: Only 34% and 29% of Korean adolescents consumed fruits more than 5 times/week and vegetables more than 2 times/day, respectively; whereas 37%, 25% and 12.2% of Korean adolescents had perceived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the greater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 were all associated with a higher odds of perceived happiness;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95% CI) were 1.53 (1.46-1.60) in boys and 1.82 (1.73-1.90) in girls who consumed fruit ≥ 5 times/week, and 1.65 (1.54-1.76) in boys and 1.62 (1.51-1.72) in girls who consumed vegetable ≥ 2 times/day. In contrast, the consumption of fruit or vegetable were al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odds of perceived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ideation; the AOR (95% CI) were 0.70 (0.67-0.73), 0.88 (0.84-0.93), and 0.78 (0.73-0.83) in boys who consumed fruit 3-4 times/week, and 0.71 (0.67-0.76), 0.88 (0.81-0.94), and 0.68 (0.62-0.74) in boys who consumed vegetable 5-7 times/week. Similar associations of fruit or vegetable consumption with perceived stress, depressive symptom, or suicidal ideation were found in girls.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intake is important for better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 젊은 성인의 아연 영양 상태가 짠맛 인지와 기호도, 나트륨 섭취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안은정(Ahn Eun Jung),노화영(Noh Hwa Young),정자용(Chung Jayong),백희영(Paik Hee Young)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2

        High sodium intake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odium intake of Korean was three times higher than adequate intake (1.5 g/day) recommended by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High sodium intake is related to high threshold and preference of salty taste. And zinc status is known to affect taste acu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zinc status is associated with salty taste acuity,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50 men and 41 women aged 20-29 y who did not smoke and not take supplements or medications regularly. Dietary intake data for 3 days were collected by 24-h recall for 1 day and dietary record for 2-days. Salty taste acuity and preference were determined by sensory test. Fasting serum concentration of zinc, height, weight,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data were collected. Salt taste preference in high zinc intake group (≥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men-8.1 ㎎/day, women-7 ㎎/day) was higher than that in low zinc intake group (< EAR). Salty taste preferenc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erum zinc concentration in people with low concentration of serum zinc (? 81㎍/㎗)(r = -0.3520, p < 0.05).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high sodium intake group than in low sodium intake group (p < 0.05),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ty taste preference (r = 0.3866, p < 0.05) in subjects with daily zinc intake below the EAR. We conclude that low zinc status may be related to high salty taste preference and high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 KCI등재

        만성 알코올과 철분의 과잉 섭취가 흰쥐의 간 세포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박정은(Park, Jung-Eun),이정란(Lee, Jeong-Ran),정자용(Chung, Jayong)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5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랫트 수컷을 대조군, EtOH군, Fe군, EtOH + Fe군으로 나누어, 알코올과 철분을 액상 사료로 8주간 공급한 후, 간 조직과 간 세포 mtDNA의 손상 정도를 알아보았다. EtOH + Fe군은 대조군, EtOH군, Fe군의 다른 세 군에 비해 혈청 ALT와 혈청 AST 수치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간 조직 검사의 결과에서도 다수의 지방구, 염증성 세포 침입 및 조직의 괴사가 관찰되는 등 가장 심한 간 손상이 확인되었다. DNA 손상 여부를 긴 영역 PCR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만성적인 알코올과 철분에 의한 노출은 간 세포의 mtDNA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 DNA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에 관여하는 Cox1과 Nd4 유전자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으로 분석한 결과, 알코올 또는 철분은 간 세포의 Cox1 mRNA와 Nd4 mRNA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만성 알코올 또는 과잉의 철분에 의한 간 손상에 mtDNA 손상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관여함을 제시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ronic alcohol and excessive iron intake on mitochondrial DNA (mtDNA) damage and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liver injury in rats. Methods: Twenty-four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EtOH, Fe, and EtOH + Fe), and fed either control or ethanol (36% of total calories) liquid diet with or without 0.6% carbonyl iron for eight weeks.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ies, liver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s. Liver histopathology was examined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the fixed liver tissues. The integrity of the hepatic mtDNA and nuclear DNA was measured by long-range PCR.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x1) and NADH dehydrogenase subunit 4 (Nd4) were examined by real-time PCR. Results: Serum ALT and AS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tOH+Fe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imilarly, among four groups, liver histology showed the most severe lipid accumulation, inflammation, and necrosis in the EtOH + Fe group. PCR amplification of near-full-length (15.9 kb) mtDNA showed more than 50% loss of full-length product in the liver of the EtOH + Fe group, whereas amounts of PCR products of a nuclear DNA were unaffected.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mtDNA integrity showed correlation with reductions in the mRNA levels of mitochondrial gene Cox1 and Nd4. Conclusion: Our data suggested that the liver injury associated with excessive iron and alcohol intake involved mtDNA damage and corresponding mitochondrial dysfunction.

      • KCI등재

        Mn-SOD와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아의 산화손상지표의 분포

        신유경(Shin, You-kyung),최지원(Choi, Ji-Won),오세영(Oh, Se-Young),정자용(Chung, Jayong)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우리나라 일부 건강한 유아를 대상으로 Mn-SOD Val16Ala, GSTP1 Ile105Val, GSTT1 present/null, GSTM1 present/null 유전자 다형성 분포를 살펴본 결과, Mn-SOD Val/Val형, GSTP1 Ile/Ile형, GSTT1 null 형, GSTM1 null 형이 주된 (major) 유전자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Mn-SOD Val/Val형은 Val/Ala 또는 Ala/Ala형에 비해 소변 8-OHdG 수준이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GSTP1 Ile/Ile형은 Ile/Val 또는 Val/Val형에 비해 소변 8-OHdG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접흡연에의 노출 여부와 간접흡연-유전자 다형성의 상호 작용이 산화손상지표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건강한 유아에서 GSTP1 Val allele 보유한 경우 산화적 손상에 대해 취약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추후 대규모 연구를 통한 검증 및 이들 유전자형을 보유한 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영양 중재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Genetic polymorphisms in antioxidant defense and detoxification genes may modulate the levels of oxidative stress biomarkers. Methods: A total of 301 healthy preschool-aged children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s were recruited. DNA was extracted from blood for genotyping of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Val16Ala,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P1 Ile105Val, GSTT1 present/null, and GSTM1 present/null polymorphisms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r multiplex PCR analyses. In addition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 levels of urinary 8-hydroxyl-2-deoxiguanosine (8-OHdG) and plasma malondialdehyde (MDA)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urinary 8-OHdG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GSTP1 Ile/Val + Val/Val genotype (p = 0.030), and tended to be higher in Mn-SOD Val/Val genotype (p = 0.065). On the other hand,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ETS) and interaction between ETS and gene polymorphism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either urinary 8-OHdG concentrations or serum MDA. Conclusion: Based on our findings, GSTP1 Ile/Val gene polymorphisms might modulate the levels of oxidative stress biomarkers in healthy pre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