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계층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2007년과 2008년의 변화 비교

        정원오 ( Won Oh Joung ),이선 ( Sun Jeong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빈곤가구의 소비패턴이 단일 유형이 아니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계층을 하나의 소비유형으로 단순화 할 수 없으며,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수품의 목록이 변화하였고, 변화의 양상은 라이프사이클이 상이한 가구원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비패턴의 유형은 여섯가지로 분류되었는데, 각각은 교육비지출형, 식료품지출형, 사회적관계지출형, 교통통신비지출형, 의료비지출형, 주거비지출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각 소비패턴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곤가구의 경제적 특성보다는 가구특성, 가구주특성, 사회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빈곤가구의 다양한 욕구를 확인했고, 소비패턴의 영향 요인이 경제적인 요인보다는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시적인 소득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는 한국의 빈곤정책은 가구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poor household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analysis is to show that the group living in poverty get not one consumption pattern but several types of consumption patterns. The second objective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effect the consumption patterns. This study use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08 & 2009. In oder to achieve first goal, We conduc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d to achieve second goal, We conduct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six patterns of consuming types of the poor households. They are education oriented consuming type, diet oriented type, social network oriented type, transportation-communication oriented type, health & medical oriented type, and housing expenditure oriented type. Second we find these consumption patterns are effected by not economic factors but socio-populational factors, especially by life cycle of members of household.

      • KCI등재

        비정규직 직업이동의 동태적 특성과 영향요인

        정원오 ( Won Oh Joung ),김연아 ( Yeon A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2~8차)를 활용하여 비정규직 직업이동의 실태와 동태적 특성을 파악했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해 사건사 분석을 수행했으며, 다항로짓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비정규직 탈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관찰시점에서 비정규직은 상당히 역동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비정규직의 생존율 감소경향은 정규직으로의 긍정적 전환보다는 실업과 미취업 등 불안정한 직업이동을 반복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비정규직 근무기간은 비정규직 탈출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정규직 근무기간이 길어질수록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확률이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비정규직 경험이 숙련을 향상시켜서 정규직으로 이동하는 가교가 된다는 일부의 주장보다는, 비정규직 경험 자체가 함정으로 작용하여 정규직으로 이동을 방해한다는 연구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검토 결과, 비정규직의 직업이동 양상은 정태적이라기보다 상당히 동태적이어서 비정규직법과 같이 기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는 정책적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규직을 벗어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정규직으로의 전환이라기보다 실업 혹은 미취업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고, 특히 비정규직 5년차의 경우 대부분 실업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고려하면 고용의 안정화에 더 초점을 맞출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s dynamics of employment changes in Korea, focusing nonstandard employment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by event history analysis. We use the data that is Korean Welfare Panel(KOWEPS) from 2007 to 2013, and analy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because we want to divide the event. The events that nonstandard employee change the job positions are multifarious. We divide the event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o be unemployed, the second type is to have job that is standard employment, and the third type is to do business on his own. The events of second type are positive change, and the determinants of that event are importa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Above all, non-regular workers have changed their jobs very frequently in our observational period. But the dynamics of non-regular worker`s job mobility have not been all positive. They sometimes have been changed as regular worker, but some more times they have been changed as the unemployed.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 nonstandard employment duration is how long they have employed as non-regular worker.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the non-regular work don`t give the chance to change as regular worker, but obstruct changing as regular worker.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이경미 ( Lee Kyung Mi ),정원오 ( Joung Won 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회적경제를 생태계 관점에서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현재를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사례에 대해 유형화하고 소속의 정도에 대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사회적경제에 참여하는 두 주체의 역량인 `민간의 네트워킹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 추진 역량`을 지표로 삼아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분석했다. 각 지표는 전자의 경우 민민네트워크의 결집력과 주도성, 정치력을 하위요소로 구성하고, 후자의 경우 사회적경제 행정의지와 민관 네트워크 형성 방식, 사회적경제 인프라 구축 정도를 하위요소로 구성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 서울시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2개의 지표가 나타내는 4개의 이상형과 12개의 세부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4개의 전형적인 유형(민관 협력형, 민간 주도형, 자치구 주도형, 주체 빈약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서울시 사회적 경제 생태계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형성 정도는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잘 되는 유형과 아닌 유형의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형성되기 위한 결정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잘 되는 유형의 공통점을 분석함으로써 민민네트워크의 역량이 어느 수준까지 강화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사회적경제의 환경적인 측면인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공공의 이익과 가치실현을 추구하는 사회적경제의 본질이 지역에서 실현되고 지속 가능하도록 정책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ocial economy in Seoul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reof by classifying the social economy in Seoul into specific types in terms of a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which allows the researcher to classify a limited number of cases into types and evaluate even the degree of each case`s membership in the given type. And the two main indicators used to decide the types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in 25 boroughs of Seoul are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for networking and the borough government`s policy drive. The properties used to calculate one of the indicators,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for networking, include the unity, initiative, and political influence of private-sector(nongovernmental) networks. The properties used to measure the borough government`s policy drive include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the social economy, the forms or modes of public-private networks, and the availability of infrastructure. This led to categor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s in Seoul into four ideal types of a two-by-two matrix and twelve subdivided types with four typical types (“public-private partnership,” “private initiative,” “borough initiative,” and “no clear leading act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and degree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differ significantly by type. Second, the analysis of why the social economy ecosystems thrive in some type and not in others reveals the decisive factors behind the formation and success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at the borough level. Third, the analysis of the commonalities of thriving social economy ecosystems reveals the extent to which the capability of private-private networks should be reinforced. This study marks a rare instance in the literature, providing systemic analysis and typology of the often-neglecte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social ec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local social economy policies toward making those policies better serve the public interest and values.

      • KCI등재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김연아(K im, Yeon-Ah),정원오(Joung, Won-Oh)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1-8차)를 활용하여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여부를 검증했다. 아버지가 비정규직이면 자녀도 비정규직일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을 전제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직업적 지위의 세습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모의 비정규직 여부는 자녀의 직업적 지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경제활동 진입 당시 부모가 비정규직이면 자녀도 비정규직으로 입직할 가능성이 높고, 부모가 정규직이면 자녀도 정규직으로 입직할 가능성이 높았다. 부모세대의 영향력은 현직에까지 이어져 만 15세 이상 현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물론 개인의 직업적 지위에는 노동공급 요인(성별, 연령, 학력)과 노동수요 요인(업종, 직종, 기업 규모), 그리고 초직 경력이 부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세대의 영향력이 검증됨으로써 직업적 지위의 세대 간 전승 현상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득 및 직업 지위의 결정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중 인적자본론의 관점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 사회계층화 현상의 한 단면이라고 보는 이중노동시장이론의 관점을 지지하는 것이다. 노동시장의 분절 정도가 세습의 구조를 띨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문제는 빈곤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정규직 노동시장과 비정규직 노동시장이 이질적인 질서를 형성하고 시장 간 이동성이 제약을 받을 경우 잦은 실업과 직업이동을 경험하는 비정규직은 만성적인 소득불안정으로 인해 빈곤의 늪에 빠질 위험이 높다. 2차 노동시장에서의 문제가 빈곤의 악순환과 사회적 양극화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정규직 문제는 고용 총량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고용 안정의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즉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분절 해소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d intergenerational job mobility(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 by utilizing data of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1st wave 2006 to 8th wave 2013).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father’s irregular occupational status leads to high possibility of his offspring’s irregular job. As it were, we assume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from irregular job to regular job not only on the individual life history but also on the time of family history. Individual’s irregular work experience limits him moving to regular work and affects offspring’s regular or irregular occupational status. This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If the parents have irregular job when their offspring start to get job, the possibility that the offspring have irregular job is high. The opposition is true. If the parents have regular job, the possibility that their offspring have regular job is high. The parent’s occupational status affect their offspring’s occupational status continually, and therefore the present offspring’s job is affected if the parent have got regular work or not. Of course, the offspring’s occupational status is affected the others facts, for example, the labor supply factors(sex, age, education), the labor demand factors( industry, occupation, company size), and their entrance job experience.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 statistical power of the parent’s occupational status is tested after all other affecting factors have been controlled. Our research results insist the perspective of dual labor market theory, and the degree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is serious level. Because of deepening labor market segmentation, it can say that dual structuring between regular worker and irregular worker were facilitated. Dual structure problem of labor market has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having relationship with poverty problem. Regular labor market and irregular labor market shape a heterogeneous order and when both labor market’s mobility is limited, irregular worker experiencing frequent unemployment and career change is at high risk because of chronic income unstability. By considering that problem in secondary labor market is linked to vicious circle of poverty and social polarization, irregular worker problem need to be regarded as active policy task in perspective of employment stability not as total employment. In other words, to solve irregular worker problem, policy stance needs to turn into comprehensive measure for easing labor market segmentation.

      • KCI등재

        저소득계층에 대한 직업훈련의 취업효과에 관한 연구

        정원오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7 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저소득계층의 자활을 원조하기 위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효과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취업의 성공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취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직업훈련의 내용을 구성하는 훈련 내적 요인, 훈련을 수용하는 개인적 특성과 훈련효과가 구현되는 사회적 맥락과 관련된 요인들을 훈련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구성하는 변수들을 훈련시간, 훈련직종, 훈련제공주체, 연령, 교육수준, 성, 가족배경으로 설정하여 이들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훈련 내적 요인들은 모두 취업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훈련 외적 요인들 중 성과 가족배경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저소득계층의 직업훈련효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원오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9 사회복지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job training effects and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i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job training effects into three parts: trainee's productivity,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level of income. Determining mechanism of the three job training effects will be compared each other. There are two kinds of factors that influence job training effects in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of the job training programs. The internal factors are composed of total training time, types of administration, and occupational training types. The externa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labor market. The former are consisted of age, educational attainment, sex, and family status, and the latter are of types of industry, types of occupation, firm size, and unionization. The major findings are: (1) Among the internal factors, total training time and occupational training types influenced trainee's productivity. Among the external factors, only age was found to promote productivity significantly. (2) All internal factors raise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significantly. Among the external factors, sex and family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3) None of internal factors influenced the level of income significantly, but labor market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rainee's income significantly. After the training programs, those who had a job in manufacturing, had lower income than those Who found a job in sales or service. The larger the firm size was, the higher the trainee's income was. (4) The total training time was a factor very significant in promoting productivity, and less significant for employment probability, but was not significant for income. The occupational training types was a very significant factor for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for promoting productivity, if not so significant a factor as for employment probability, but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for income. The types of administration of training programs did not affect the productivity and income, but influenced employment probability significantly. The trainee's age influenced productivity, and positively affected their income, but did not influence employment probability. The trainee's sex and family status influenced only employment prob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