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lk의 Seam Puckering 과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정승혜,조차,이순덕,이순자 한국의류학회 1997 한국의류학회지 Vol.21 No.6

        For this study, we did needlework of the sample considering practical aspect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ilk, high-quality material for women's clothes, and then analyzed the state of the seam puckering after press and dry cleaning, estimated the Seam Puckering ba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related to machine sewing, and examined the effects which Mechanical Properties have on Seam Puckering closely. Through this,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re are three types of seam puckering for each stage, which are caused by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by pr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rinkage rates of fabric and sewing thread by Dry Cleaning. 2. In analyzing seam puckering classified by each step, seam puckering after sewing the fabric is related to WT negatively, while to RT and W positively. Seam puckering after sewing and pressing the fabric is related to WT, RC, MMD negatively and seam puckering after sewing, pressing anddry cleaning the fabric isrelated to WT negatively, too. 3. Concer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ith a little seam puckering, WT, LC, WC, RC, MMD, SMD is relatively large while RT, B, 2HB is small. 4. Judging from the result of estimating seam puckering based on mechanical properties, the estimate-formula is satisfied in this study.

      • KCI등재

        近代 韓國語 敎材 『酉年工夫』에 나타나는 ‘그녀’에 대한 고찰

        정승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3

        『酉年工夫』는 日本의 韓國語 通詞였던 中村庄次郞가 小倉進平에게 寄贈한 筆寫 資料이다. 이 책은 18세기 日本 對馬島의 유명한 학자인 雨森芳洲가 조선에 머물면서 1705년에 저술한 說話集인데, 이 책에는 우리가 그동안 ‘그’와 함께 근대 번역 문학의 산물로 간주해 온 ‘그녀’가 나타난다. 이 硏究에서는 ‘그녀’가 ‘그’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을 가능성, ‘그놈’의 대립어로 사용된 ‘그년’의 다른 모습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 이 두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대부분의 國語文法史 記述에서 ‘그’와 ‘그녀’는 西歐 文法의 影響을 받아 發生한 것으로 여겨왔으나, 18세기의 생생한 口語를 반영하고 있는 說話集에 출현한 ‘그녀’는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보다 많은 口語 資料들의 發掘을 통하여 자료의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그 정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u-neon-gong-bu is a copy donated to Ogura Shinpei by Nakamura Shojiro an official Korean interpreter in Japan.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folk stories written in 1705 by Amenomori Hoshu a famous scholar of Tsusima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This book shows ‘keu-nyeo (she)’ that we have regarded it as a product of modern translation literature together with ‘Keu (he).’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possibilities that ‘keu-nyeo (she)’ came out independently earlier than ‘keu (he)’ and ‘keu-nyeon’ used as a word opposite to ‘keu-nom (that guy)’ could be shown in a different form. Although ‘Keu’ and ‘Keu-nyeo’ in most descriptions of Korean grammar history used to be regarded as the one influenced by western grammar, ‘keu-nyeo’ appeared on the collection of folk stories that have vividly reflected the spoken language of 18th century looks unusual. If the data could be supplemented further through digging out more spoken language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original form can be found.

      • KCI등재

        小倉文庫 『公私恒用錄』에 합철된 <吏文襍例>에 대하여

        정승혜 구결학회 2017 구결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사용된 이두학습서를 개관하고, 일본 東京大學의 小倉文庫에 소장되어있는 『公私恒用錄』에 합철된 <吏文襍例>를 소개하였다. 『공사항용록』은 조선 후기의 행정문서 서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유서필지』가 이두문의 공사(公私) 문서 학습을 위한 胥吏들의 교재였다고 한다면, <이문잡례>는 兩班 士大夫들을 포함하는 계층의 公私 文書 學習을 위한 교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吏文襍例>는 각각의 법전 등에 제시된 공문서의 형식을 모아놓은 규식집이며, 『이문잡례』 이본 간의 표기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리잡설』 및 『유서필지』 등과도 표기차를 확인할 수 있다. 합철된 다른 책들을 함께 고려할 때, 필사 시기는 『전율통보』 초고본(1761)보다 나중인 18세기 말에서 19세기초 사이로 추정되며 필사본 『이문잡례』는 목판본 『이문잡례』보다 『경리잡설』에 더 가까운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ook a general view of I-du study books 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I-Mun-Jap-Rye which was merged into Kong-Sa-Hang-Yong-Rok possessed by Ogura Bungo(小倉文庫) of the University of Tokyo, Japan. The Kong-Sa- Hang-Yong-Rok provides vital information about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form in late Joseon Dynasty. If Yu-Seo-Phil-Ji might be called a textbook for Seo-Ri(胥吏)in their learning of official/private documents in I-du-mun, I-Mun-Jap-Rye is found to be used as a textbook for official/private documents learning of the social class including gentry scholar-officials(Sadaebu). I-Mun-Jap-Rye is the collections of established rules and forms compiled by collecting the forms of official documents presented in individual law books, a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in marking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I-Mun-Jap-Rye,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marking difference even from Kyeong-Ri-Jab-Seol and Yu-Seo-Phil-Ji. In consideration of other merged books together, its transcription period is presumed to be between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which is later than the period of compilation of the original text(1761) of Jeon-Yul-Thong-Bo; in addition, the manuscript of I-Mun-Jap-Rye seems to take on a character closer to Kyeong-Ri-Jab-Seol than the block book of I-Mun-Jap-Rye.

      • KCI등재
      • KCI등재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에 대하여

        정승혜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이 논문은 규장각 소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서지 정보, 語音의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편찬 시기’에서는 譯科 漢學에서 사용된 科試書와 經書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은 ① 經筵 시에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말하고, ② 중국과 통교할 때 經書의 音을 바르게 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은 초기로부터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데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는데, 마침내 英祖대에 이르러 『經書正音』을 처음 편찬하였고, 正祖대에 중간하였다. 특히 『周易正音』은 1800년에 역관 金益瑞가 초판본을 만들었음을 밝혔다. 둘째, 제3장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의 書誌’에서는 규장각에 소장된 『경서정음』의 현황과 서지사항을 정리하였다. 규장각 소장본은 ‘경서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3질이 있고, 활자본과 목판본을 각각 따로 소장하고 있다. 셋째, 제4장 ‘『經書正音』의 語音’에서는 한어음을 표기하는 한글 전사를 살펴보았는데, 좌측음은 물론 우측음까지도 『洪武正韻譯訓』(1455)에서 수립된 한글 전사 체계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본래의 목적이었던 한자음의 현실음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This is a study on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s well as its biographic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pter 2 surveys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texts and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were used in the Sino-Korean studies as a category for the translator program. The purpose of Gyeongseojeongeum was to make sure that ① examinees effectively pronounce words when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for the contests and that ② the relevant officials correctly pronounce the sounds of the words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reby ensure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during diplomatic exchanges with China. Since its early days, the Joseon Dynasty was continuously interested in making correct pronunciation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led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then to a reprint during King Jeongjo’s reign. It lets it be known for the first time that Juyeokjeongeum in particular had its first edition made by translator Kim Ik-seo in 1800. Second, Chapter 3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The three copies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re bound under the name of Gyeongseojeongeum, and the movable type printing and the woodblock printing editions are also available in the collection. Third, Chapter 4 surveys the Korean transliteration that describes the sounds of the Chinese words but fails to reflect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words, which is it original purpose, as not only the left sounds but the right sounds almost faithfully follow the Korean transliteration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Hongmujeonghunyeokhun (1455).

      • KCI등재

        嶺南大 所藏 「老乞大(古貴727)」의 자료적 특성에 대하여

        정승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이 글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에 소장된 귀중본 노걸대<고귀 727>을 검토하고 이 자료가 사역원 한학서로서 가지는 자료적 특성과 가치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영남대본 <古貴727>은 형태적인 특징이 규장각본과 동일한 계통의 갑인자복각본이지만, 판본상의 형태적 특징이 다르며, 장서각 소장의 <노걸대>와 동일 계열이다. 이 책은 활자본의 복각임을 나타내는 여러 특징(계선과 어미의 분리, 글자와 계선과의 분리 등)을 보이고 있고, 글자는 갑인자체를 나타내고 있어서 갑인자의 초기 간본의 복각임을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현전하는 자료 중 최근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원대 「노걸대」 다음으로 빠른 시기에 간행된 것들 중의 하나로 보이며, 이 책의 저본이면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초주갑인자본 「노걸대」의 원형을 간접적으로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KCI등재

        對馬島에서의 韓語 敎育

        정승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2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susima Chung, Seung-hye Japanese has studied and taught the Korean language for a long time. Recently, thanks to Han-ryu trend, Japanese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are increasing. So it would be significant to study the Korean-teaching history in Japan. Especially, Tsusima first began to educate the Korean language systematically. Its Korean-educating method and Korean textbook-editing direction are very suggestive to the study on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 production in Korea. Since Korea and Japan restored the friendly relati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susima has played a role as the only formal agent for both countries. So the Korean learning in modern Japan was done mainly in Tsusima. In the early of the 17th century, Japan restored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Chosun, but they did not set up an exclusive organization which took the diplomatic charge, but they delegated the diplomatic affairs to So family, the magistrate of Tsusima. The reason was that Tsusima i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So family had been charged in diplomacy between them for a long time. Therefore, those days, Japanese international exchange with Korea was seldom done in any place except Tsusima, and Japanese people who wanted to learn Korean in a place except Tsusima had to get or copy the textbooks from Tsusima.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education in Japan, to find out the Korean-teaching method and its background, and to research the Korean textbooks used in the contemporary age. Especially, it tri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method and interpreter-training system by Amenomori Hoshu, who began the Korean education in Tsusima, focusing on the textbooks used by him. 日本은 오랜 기간 동안 韓半島의 言語를 學習하고 敎育해 온 지역이다. 韓流 熱風을 타고 日本에서 韓國語를 배우려는 需要가 늘어나고 있는 요즘, 일본에서 이루어진 韓國語 敎育의 歷史를 살펴보는 것은 意味 있는 일이다. 이 가운데서도 日本 最初로 韓國語 敎育을 體系的으로 시작한 對馬島에서의 敎育 方法과 敎材의 構成 方法은 오늘날의 한국어 교육의 方法과 敎材 硏究에도 示唆하는 바가 크다. 이 論文에서는 일본에서 이루어진 韓語 敎育의 歷史的 背景을 살펴보고, 對馬島에서의 韓語 敎育의 方法과 그 背景, 그리고 韓語 敎育에 使用된 敎材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특히 對馬島에서의 韓語 敎育을 創始한 雨森芳洲의 敎育 方法과 對馬島에서의 通事 養成에 대하여 살펴보고, 敎育에 使用된 方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폐포성 연부 육종

        정승혜 대한영상의학회 199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6 No.4

        Alveolar soft-part sarcoma usually arises from the soft tissue of the lo0wer extremity, but may arise from the orbit, retroperitoneum and else where, in both children and adult. The tumor grows slowly, may invade the underlying bone, eventually may metastasis widely through the blood stream, Recently, we experienced 5 cases of alveolar soft-part sarcoma originated from thight, lower leg, inguinal region, retroperitoneum and orbit. the radioloigic findings are soft tissue mass(2 cases) with underlying bony destruction (3 cases), lung metastasis(2 cases). Although rare, alveolar soft-part sarcom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 arising from the lower extrem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