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 현장 환경을 고려한 자착형 방수시트의 성능평가 지표 제안 연구

        현상(Jung, Hyoun-Sang),상근(Oh, Sang-Keun),임남기(Lim, Nam-Gi) 대한건축학회 2011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7 No.11

        The self-adhesion waterproofing sheet had been used in waterproofing construction site, However, though it satisfied with KS quality level, problems of leakage defect due to environmental properties were pointed by user. Therefore, in this study, environmental condition of substrate of concrete structures is analyzed by AHP method, and conditions of three kinds of low temperature, humidity and movement were drawn as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ffecting to self-adhesion waterproofing sheet. We had a assesment three kinds of self adhesion waterproofing sheet(butyl rubber, rubberized sheet, asphalt sheet) under upper three index. Through experimental test of self-adhesion waterproofing sheets used the test methods which were made of performance index, environmental problems of each waterproofing sheet due to water-leakage were known in field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 음성대화시스템 워크벤취로서의 DialogStudio 개발

        정상근,이청재,이근배,Jung, Sang-Keun,Lee, Cheong-Jae,Lee, Gary Geun-Bae 대한음성학회 2007 말소리 Vol.63 No.-

        Spoken dialog system development includes many laborious and inefficient tasks. Since there are many components such as speech recognition, language understanding, dialog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in a spoken dialog system, a developer should take an effort to edit corpus and train each model separately. To reduce a cost for editing corpus and training each model, we need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For the working environment, we propose DialogStudio as a spoken dialog system workbench.

      •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신체 증상 지각에 대한 인지적 특성

        해원,이무석,박우영,양종철,임은성,박태원,영철,정상근,황익근,Jung, Hae-Won,Lee, Moo-Suk,Park, Woo-Young,Yang, Jong-Chul,Lim, Eun-Sung,Park, Tae-Won,Chung, Yong-Chul,Chung, Sang-Keun,Hwang, Ik-Keun 대한불안의학회 2007 대한불안의학회지 Vol.3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stress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c symptom percep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A total of 101 patients who met the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60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ubjects using The Way of Stress Coping Questionnaire (SCQ),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and the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We analyzed the data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0.05). Results : The patients who used emotionally focused coping strategies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the SCQ.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howed greater amplification of body sensations in the SSAS,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physical interpretation subset of the SIQ, and a lower score on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subset of the SIQ than the normal controls. The PDSS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AS score and physical interpretation score on the SIQ.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ave poor emotionally focused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greater amplification of body sensations, and a tendency towards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somatic symptoms.

      • KCI등재

        공황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조광현,애자,박태원,황익근,Chung, Sang-Keun,Cho, Kwang-Hyun,Jung, Ae-Ja,Park, Tae-Won,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목 적 : 정상 대조군보다 공황장애환자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이 더 적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공황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환자군은 DSM-Ⅳ의 공황장애 진단기준에 맞는 외래 및 입원 환자 10명(남성 9명, 여성 1명;연령 $47.5{\pm}14.3$세), 정상 대조군(남성 9명, 여성 1명 ; 연령 $47.3{\pm}10.1$세)은 전북의대 학생 및 전북대학교병원직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호흡속도,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4가지로서 암산, 비디오게임, 과호흡, 스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을 이용하였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각각 3분씩의 '기저기간-암산작업 기간-휴식기간(3분)-비디오게임 기간-휴식기간-과호흡 기간-휴식기간-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 기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 항목들의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우울, 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리반응 중 피부전도반응(p=.017), 근전도(p=.047), 맥박(p=.049)의 기저치가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과호흡시 놀람반응이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1). 맥박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이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각각 p=.007, p=.002). 환자군내에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p=.0001) 및 비디오게임(p=.021) 작업시 놀람반응이 회복반응보다 유의하게 더 컸다. 또한 호흡반응의 경우, 환자군내에서 과호흡시(p=.035) 놀람반응보다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컸다. 결 론 : 상기 결과로 미루어보아, 공황장애환자는 정상 대조군보다 기저기에서 대부분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았으나, 측정항목에 따라 생리적 유연성의 기복이 있었다. 따라서, 공황장애환자의 치료시 자율신경계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고, 일부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유연성 회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An Increased level of psychophysiologic arousal and diminished physiologic flexibility would be observed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compared with a normal control group.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sychophysiologic response betwee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and normal control to examine this hypothesis. Methods: Te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 were compared with 10 normal healthy subjects. In psychological assessment,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and Depression. Heart rate, respiration rate, electrodermal response,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were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J & J I-330 model) to determine psychophysiologic response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Stressful tasks included mental arithmetic, video game, hyperventilation, and 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Psychophysiologic respons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 baseline(3 min)-mental arithmetic (3 min)-rest (3 min)-video game (3 min)-rest (3 min)-hyperventilation (3 min)-rest (3 min)-talking about a stressful event (3 min). Results: The baselin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electrodermal response (p=.017), electromyographic activity (p=.047) and heart rate (p=.049)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 group. In electrodermal response, pati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rtle response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hyperventilation (p=.001). Startle and recovery responses of heart rate in the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responses in the control group during mental arithmetic (p=.007, p=.002). In electrodermal response of the patient group, startle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covery response during mental arithmetic (p=.000) and video game task (p=.021). Recovery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rtle response in respiratory response during hyperventi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ad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physiologic flexibility was variable. We suggest that it is helpful for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o decrease the level of autonomic arousal and to recover the physiologic flexibility in certain stressful event.

      • KCI등재

        독일연방군 ‘내적지휘’ 철학의 한국적 적용 - 한국군의 ‘내적가치’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정상근(Jung, Sang-keun) 국방정신전력원 2019 정신전력연구 Vol.0 No.58

        현재 정훈문화활동의 최고 부령이라고 할 수 있는 국방부 ‘정훈문화활동 훈령(제2188호)’에는 국가관, 안보관, 군인정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의 교육체계 내에서는 건전한 군인과 민주시민을 의미하는 이른바 ‘군복 입은 민주시민’의 개념적 모형과 교육 프로그램이 부재한 실정이다. ‘군복 입은 민주시민’이라는 용어는 90년대 이후 군에서 꾸준히 사용되어 왔음에도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매우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가장 먼저 ‘제복 입은 민주시민’이라는 개념 안에서 ‘민주주의에서의 군대’를 구현하고자 했던 독일연방군의 내적지휘 철학을 통해 한국군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독일연방군 내적지휘 철학이 언제, 어떤 배경으로 태동하게 되었으며 무엇을 근본가치로 설정하고 있는지를 다루고, 내적지휘 철학의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는 ‘제복 입은 민주시민’의 의미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군복 입은 민주시민을 가치의 영역으로 다룰 것인지, 아니면 전력의 영역으로 다룰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고, 군복 입은 민주시민의 구현의 윤리적 · 법적 · 사회적 정당성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일연방군 내적지휘를 한국군에 적용하기 위해 현재 육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내적 가치’ 개념을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더하여 새롭게 정립된 ‘내적가치 2.0’ 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국방정신전력에서 시범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ROK Armed Forc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 to derive the educational program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Innere Führung’ philosophy of the German Federal Army, which sought to implement ‘the army in the democracy’ by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 in uniform’.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t analyzes why the ‘Innere Führung’ of the German Army was born and what was the core tasks of its philosophy. In the next chapter, it covers several logical themes to form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citizen in uniform. Finally, to apply the ‘Innere Führung’ of the German Federal Army to the ROK Armed Forces, this study proposes to extend the concept of ‘Internal Valu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military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be piloted by the Defense Agency for Spirit & Mental Force Enhancemen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established ‘Internal Value 2.0’ education.

      • 전환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 ( Sang Keun Chung ),최명수 ( Myung Soo Choi ),애자 ( Ae Ja Jung ),황익근 ( Ik Keun Hwang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2 全北醫大論文集 Vol.26 No.1

        연구목적: 저자들은 전환장애환자들의 정신생리적 반응양상을 분석하여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DSM-IV진단기준상 전환장애로 진단된 환자 15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모두 불안상태를 평가 후, 정신생리적 변인들(수지온도, 전두근 근전도, 맥박, 전기피부저항)을 평가하였다. 정신생리적 변인들은 기저기, 스트레스작업(암산, 이야기 작업) 기간, 휴식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환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해밀턴 불안척도점수, 상태불안, 특성불안수준이 유익하게 더 높았다. 정신생리적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저기동안 근전도와 맥박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암산작업직후기간동안 모든 생리적 변인들의 놀람반응이 유의하게 더 적었다. 셋째, 암산과 이야기작업기간동안 수지온도를 제외한 근전도,맥박, 전기피부반응의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또한 저자들은 전환장애환자에서 암산작업기간동안 심박동수의 회복반응과 불안수준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전환장애환자가 정상대조군보다 자율신경계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 또는 ‘자율신경계의 유연성’이 감소되어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약물치료(bezodia-zepine계 등), 정신치료(환기, 최면요법 등), 정신생리적 치료법(biofeedback 등)의 병행이 필요하다. Objective: We examined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in Korean female patiens with conversion disorder(CD). Methods: 15 female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20 healthy female subjects were evaluated b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ur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 (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and elctordermal response(EDR) during rest and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Results: CD group showed : 1)significantly higher EMG, HR level during baseline, 2)significantly lower in the startle response of all psychophysiologic measure during TM. 3)significantly lower change in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HR, and EDR during stressful tasks than control group (by t-test).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R during TM and state (r=551, p<.05)& trait(r=.549, p<.05) anxiety in CD group. Conclusion: Abov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normal control group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