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푸드갈라 존재 양태의 다양성에 관하여 ― 중후기 중관 문헌들을 중심으로 -

        정상교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6 불교학 리뷰 Vol.19 No.-

        초기 불교 이래 무아설은 불교의 중심 사상으로 중요시되었으나 동시에 수행, 행위 주체 및 과보의 향수자등을 어떻게 무아설과 양립 시키는가에 대한어려운 과제를 남겼다. 이에 3C 및 前1C경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독자부(Vātsīputrīya, 犢子部)및 정량부(Sāṃmitīya, 量部)로 대표되는 푸드갈라론자(Pudgalavādin)들은 이러한 문제를 ‘오온과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非卽非離蘊) 푸드갈라’라는 인격주체를 통해 해결하려 하였다. 따라서, ‘비즉비리온’은 푸드갈라의 존재 양태에 관한 매우 특징적인 교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입중론>은 ‘오온과 동일한 푸드갈라’를 주장한 부파로 정량부를 기록하고 있고, <반야등론> 및 Prasannapadā는 <중론> 제9장에 있어서, 오온보다 선행하는 주체, 즉 오온과 다른 주체를 독자부 및 정량부의 푸드갈라라고 주석하고 있다. 더구나 <반야등론복주>는 <중론> 제12장을 주석함에 있어, 다양한 푸드갈라의 존재양태를 주장한 푸드갈라론자 내부의 부파를 소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즉비리온’ 이외의 푸드갈라의 양태에 관한 규정이 존재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현존하는 푸드갈라설에 관한 문헌이 지극히 제한되어 있어 푸드갈라설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비즉비리온’이 푸드갈라의 대표설로 인식되어 온 이유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저 비판자들의 ‘오해’ 혹은 ‘왜곡’일 것이라는 소수의 추정이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즉비리온 이외의, 문헌상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푸드갈라설을 추적하여 그것이 푸드갈라론자의 교리로서 성립가능한지를중후기 중관 문헌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The doctrine of ‘not-self’ (anātman)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entral Buddhist philosophies. This concept of anātman, however, raised the following complex problem: in Buddhism, who can be the doer of good and bad kinds of deeds, and who can be the enjoyer of the results? Vātsīputrīya and Sāmmitīya, which were representative branches of Pudgalavādin in Indian Buddhism, asserted that ‘inexpressible Pudgala’ cannot be expl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ggregates, nor does it exist apart from the aggregates. The Pudgalavādin seemed to tr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octrine of ‘not-self’. This ‘inexpressible Pudgala’, therefore, became generally known as the Pudgalavādin’s distinctive theory of personal agency. However, according to Madhyamakāvatāra chp. 6, we see evidence that Sāmmitīya demonstrated the viewpoint that aggregates are the Pudgala or that consciousness is the Pudgala. On the other hand, Prajñāpradīpa and Prasannapadā both regard ‘Preceding existence’ (differentiating existence from aggregates) found in Mūlamadhyamakakārikā chap. 9, to be the very Pudgala of Pudgalavādin. Moreover, Prajñāpradīpa-ṭīkā chap. 12., documents the existence of a few schools in Pudgalavādin, some of which insisted that Pudgala was the same as the aggregates, while others insisted that Pudgala was different from the aggregates. Despite the revelations contained in these few records, ‘inexpressible Pudgala’- being neither the same as the aggregates, nor existing apart from the aggregates-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only unique doctrine of Pudgala. A minority of scholars (or people), however, believe that these kinds of records simply reveal a misunderstanding or distortion of the truth by opponents who criticised the Pudgalavādin. In that respect, this thesis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kinds of Pudgala theory, with relevance to aggregates, exist. The focus of the research was on postmid-Mādhyamika texts.

      • KCI등재

        Structure and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Ba2TiSi2O8 glass ceramics prepared by aerodynamic levitation

        정상교,조원승,이지환 한양대학교 세라믹연구소 2015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Vol.16 No.4

        Spherical Ba2TiSi2O8 (BTS) and Dy3+-doped BTS glass were prepared by aerodynamic levitation. The glass prepared by aerodynamic levitation demonstrated enhanced glass stability.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levitated sample was s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lt-quenched glass. 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lattice parameter, a, of the nanocrystalline BTS crystal formed in the glass decreased, but the lattice parameter, c, increased. This was mainly due to the crystallization-induced stress during the crystallization process. Nanocrystallized Dy3+-doped BTS glass exhibited yellow (575 nm), red (669 nm), and blue (484 nm) luminescence. The intensities of all emission peak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treatment temperature due to the increased crystallization of BTS crystals. Nanocrystallized BTS glass ceramic prepared by aerodynamic levitation is potentially useful for optical devices, such as visible semiconductor lasers, optical switches, and amplifiers.

      • KCI우수등재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를 통한 상호 의존적 관계 고찰 -『중론』 제8장 제12게와 제13게를 중심으로

        정상교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The meaning of “pratyayatā" (interdependence) is a very important concept that penetrates the whole Mūlamadhyamakakārikā (MMK). Particularly, Chapter 8 shows interdependence of Agent (kāraka) and Act (karman) extending to all beings, and the concrete example of this expansion is Action of “upādāna”. Therefore, a clear analysis of a structure of “Action of upādāna-Agent-Act” could be a useful model to understand “pratyayatā” of the MMK. As is known, however, because the word “karman” means not only Act but also an objec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aning of “karman” accurately through the verses of the MMK.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pratyayatā” in Chap. 8 should be begun with determining the meaning of “karman” through commentaries of the MMK. This determin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relationship of Agent-Act in Chap. 8 extends to “upādāna”,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upādāna” which has multiple meanings itself. In other words, since the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upādāna”, the precedence of this review mak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pratyayatā” more clear.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karman”, and seems to regard “upādāna” as a simple example of expansion. So they do not show a comprehension of both “karman” and “upādāna”. Therefore, I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pratyayatā" through the meaning analysis of "upādāna" and "karman" based on the commentary of Chap. 8 of the MMK. 상호 의존적 관계(相依性, pratyayatā)는 중론전체를 관통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자 중관 사상의 근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제8장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은 행위자(kāraka)와 행위(karman)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제법에 확장시켜 보여주고 있는데, 확장의 구체적인 예는 제13게의 ‘취(upādāna)의 작용’을 통해 제시된다. 따라서 ‘취의 작용-행위자-행위’ 관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은 중론이 주장하는 상의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하나의 유용하고 구체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그런데, 주지하듯이 ‘karman’이라는 단어는 ‘행위’뿐만 아니라 ‘행위 대상(결과)’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게송만을 통해서는 그 의미를 정확히 확정짓기 어렵다. 따라서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에 관한 고찰은 먼저 관련 주석서를 통해 ‘karman’의 의미를 확정짓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확정이 중요한 이유는, 제8장에서 ‘행위자-행위’의 관계는 상술하였듯이 ‘취(upādāna)’로 확장되기 때문에 ‘karman’의 의미 고찰은, 그 자체로 또한 여러 의미를 갖는 ‘upādāna’의 의미 분석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karman’의 의미 고찰이 선행됨에 의해 ‘upādāna’의 의미가 명확해지고, 이러한 분석이 기반되어야만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의 이론적 구조가 명확하게 보여질 것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의 부족과, 소수의 관련 연구들은 ‘karman’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있고, 또한 ‘upādāna’의 의미 파악과 연계한 이해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 파악에 주목하며 중론 제8장의 해당 게송을 분석하여 상의성을 고찰하려 한다.

      • KCI등재

        <공각기동대>에 나타난 윤회의 의미 분석 - 융합으로서의 윤회 -

        정상교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2 불교학 리뷰 Vol.31 No.-

        오시이마모루 감독의 1995년작 <공각기동대 : Ghost in the Shell>는 인간이 방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두뇌[소위 전뇌(電腦)]를 탑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의 이동이 가능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전뇌가 해킹되어 정신활동의 대표적 기능 중 하나인 기억이 조 작된다면 자아의 정체성은 어떻게 담보될 수 있을까? 작품에서는 전산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인형사(人形師, Puppet Master)가 등장하는데 그는 방대한 정보를 획 득한 어느 시점에서 자아를 자각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은 생명체임을 주장한다. 이렇게 기술의 발달로 기억이라는 정보의 이동이 한계를 벗어날 때 개별 존재는 어떻게 정의 내릴 수 있을까? 감독은 이와 더불어 생명체의 필수요건 중 하나인 종족 번식의 의미에까지 질문을 던진다. 이에 대해 작품은 존재의 정체성을 고스트(Ghost)로 표현한 뒤, 개체의 특성을 물려주는 종족 번식은 고스트의 융합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융합을 통한 새로운 존재의 탄생은 불교를 포함한 인도철학의 중요 이론인 윤회론과 강한 접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품 속 고스트의 의미를 분석하여 고스트가 어떻게 윤회론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 고찰한다. 그 결과 고스트는 불멸의 영혼(ātman)보다 불교가 제시한 심적 작용에 가까워 보이는데, 특히 전생의 식(識), 혹은 중유(中有)의 작용과 유사성이 있음을 분석한다. 또한 고스트 간의 융합으로 발생한 존재는 융합 이전의 상태를 기억할 수 없다는 점 등을 통해 본 작품이 윤회론을 통해 해석될 수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푸드갈라 존재 양태의 다양성 II

        정상교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7 No.-

        The Madhyamakāvatāra (MABh) Chp. 6, Verse 126 demonstrates that the aggregates are the Pudgala or that consciousness is the Pudgala. However, the following Verse 146 presents that Pudgala cannot be expl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ggregates, nor does it exist apart from the aggregates. Here we can see that the two definitions of the Pudgala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a book by one writer. Interestingly, the Sāṃmitīyanikāyaśāstra (Sns) written by Pudgalavādin themselves criticizes the definition - that the aggregates are the Pudgala - as one of the wrong concepts of Self and, therefore, clearly clashes with the record of MABh Chp. 6, Verse 126. However, Tshong kha pa’s Byang chub Lam rim chung ba quotes the contents of MABh Chp. 6, Verse 126 as they are, and Jig med dbang po’s Grub mtha’ rnam bzhag pa rin chen phreng ba recorded that the Avantaka, one sect of the Pudgalavādin school, insisted that consciousness is the Pudgala.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Pudgala is understood totally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of Sns and MABh, and its related commentaries you trust. Based on the critical view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one hypothesis that the contradictory definition of Pudgala could be understood as a theory of each different sect within Pudgalavādin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patibility. This interpretation will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why Pudgalavādin could become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school in ancient Indian Buddhism, while it was criticized as being a similar Ātma-vādin. 『입중론』 제6장 제126게는 정량부가 ‘오온이 곧 푸드갈라’(소위, 온즉아 蘊卽我)와, ‘마음이 곧 푸드갈라’(소위, 심즉아 心卽我)를 주장하였음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어지는 제146게는 푸드갈라의 존재 양태로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는 ‘오온과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 푸드갈라’ 역시 정량부의 주장으로 소개하고 있다. 즉, 동일한 저자의 동일한 논서안에서 푸드갈라에 관한 규정은 서로 양립되기 어려운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다.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푸드갈라론자 내부의 논서인 『삼미저부론』(三彌底部論)은 분명히 ‘온즉아’를 잘못된 아견(我見)의 하나로 비판하고 있으므로 『입중론』 기록과 충돌된다. 그러나, 총카파의 『보리도차제약론』(菩提道次第略論)은 『입중론』제6장 제126게를 그대로 인용하고 있고, 티벳 종의서(宗義書, Grub mtha')중 하나인 직메왕뽀의 『종의보만론』(宗義寶鬘論)은 ‘심즉아’를 주장한 부파를 정량부의 일부인 수호부(守護部)로 적시하고 있다. 적어도 후대 티벳 논사들에게 ‘온즉아’와 ‘심즉아’는 구체적으로 정량부 내부 분파의 견해로 이해되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삼미저부론』, 그리고 『입중론』 및 관련 주석서들 중 어느 쪽 기록을 신뢰하느냐에 따라 푸드갈라 존재 양태의 규정은 전혀 다르게 이해되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찰한 결과, 『삼미저부론』의 기록만을 준거로 삼기에도 어려움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반면, 『입중론』 및 티벳 논서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면 상호 모순적인 푸드갈라론이 정량부 내부의 각기 다른 부파들의 학설로 이해할 수 있고, 그렇다면 양립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유사 아트만론자’로 비판받는 푸드갈라론자가 왜 한편으로는 고대 인도 불교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부파’가 되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 KCI우수등재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를 통한 상호 의존적 관계 고찰 : 중론 제8장 제12게와 제13게를 중심으로

        정상교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상호 의존적 관계(相依性, pratyayatā)는 중론전체를 관통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자 중관 사상의 근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제8장 「행위와 행위자의 고찰」은 행위자(kāraka)와 행위(karman)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제법에 확장시켜 보여주고 있는데, 확장의 구체적인 예는 제13게의 ‘취(upādāna)의 작용’을 통해 제시된다. 따라서 ‘취의 작용-행위자-행위’ 관계에 대한 명확한 분석은 중론이 주장하는 상의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하나의 유용하고 구체적인 모델이 될 것이다. 그런데, 주지하듯이 ‘karman’이라는 단어는 ‘행위’뿐만 아니라 ‘행위 대상(결과)’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게송만을 통해서는 그 의미를 정확히 확정짓기 어렵다. 따라서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에 관한 고찰은 먼저 관련 주석서를 통해 ‘karman’의 의미를 확정짓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확정이 중요한 이유는, 제8장에서 ‘행위자-행위’의 관계는 상술하였듯이 ‘취(upādāna)’로 확장되기 때문에 ‘karman’의 의미 고찰은, 그 자체로 또한 여러 의미를 갖는 ‘upādāna’의 의미 분석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karman’의 의미 고찰이 선행됨에 의해 ‘upādāna’의 의미가 명확해지고, 이러한 분석이 기반되어야만 제8장이 제시하는 상의성의 이론적 구조가 명확하게 보여질 것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의 부족과, 소수의 관련 연구들은 ‘karman’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있고, 또한 ‘upādāna’의 의미 파악과 연계한 이해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upādāna’와 ‘karman’의 의미 파악에 주목하며 중론 제8장의 해당 게송을 분석하여 상의성을 고찰하려 한다. The meaning of “pratyayatā" (interdependence) is a very important concept that penetrates the whole Mūlamadhyamakakārikā (MMK). Particularly, Chapter 8 shows interdependence of Agent (kāraka) and Act (karman) extending to all beings, and the concrete example of this expansion is Action of “upādāna”. Therefore, a clear analysis of a structure of “Action of upādāna-Agent-Act” could be a useful model to understand “pratyayatā” of the MMK. As is known, however, because the word “karman” means not only Act but also an objec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aning of “karman” accurately through the verses of the MMK.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pratyayatā” in Chap. 8 should be begun with determining the meaning of “karman” through commentaries of the MMK. This determin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relationship of Agent-Act in Chap. 8 extends to “upādāna”,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upādāna” which has multiple meanings itself. In other words, since the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karman” leads to the analysis of “upādāna”, the precedence of this review mak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pratyayatā” more clear.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karman”, and seems to regard “upādāna” as a simple example of expansion. So they do not show a comprehension of both “karman” and “upādāna”. Therefore, I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pratyayatā" through the meaning analysis of "upādāna" and "karman" based on the commentary of Chap. 8 of the MM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