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소아 알레르기 환자에서 혈청 흉선과 활동화 조절 케모카인, 대식세포 유래 케모카인의 상승과 호산구 염증지표와의 연관성

        정보현 ( Bo Hyun Chung ),이해성 ( Hae Sung Lee ),서현석 ( Hyeon Seok Seo ),박하늘 ( Ha Neul Park ),지그프리드바우어 ( Siegfried Bauer ),서성철 ( Sung Chul Seo ),윤원석 ( Won Suck Yoon ),정지태 ( Ji Tae Choung ),유영 ( Young Yoo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2 천식 및 알레르기 Vol.32 No.4

        Background: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CCL17) and macrophage-derived chemokine (CCL22) are known as important mediators in allergic inflammation.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se mediators, but the role of the serum CCL17 and CCL22 in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are still controversial.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between children with different manifestation of allergic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to analyze relationship with blood eosinophil makers and to fi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markers. Methods: A total of 49 children (14 bronchial asthma, 13 allergic rhinitis and 13 atopic dermatitis) and the 9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chemokine (CCL17, CCL22) levels were analyzed. We examined whether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ould be related to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blood eosinophil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concentrations. Results: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than that in controls. Serum levels of CCL17 and CCL22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concentrations with different strength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Conclusion: Serum CCL17 and CCL22 may play a crucial role in the chronic allergic inflammatory process and can be used as inflammatory markers. These suggest that serum CCL17 and CCL22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 KCI등재

        『안드로메다 성운』과 이반 예프레모프의 유토피아

        정보라(Bo ra Ch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2

        이반 예프레모프는 유토피아 소설 『안드로메다 성운』(1957)에서 미래 인류 역사의 발전 단계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고 공산주의가 전 지구적으로 실현된 이상 사회를 인류 역사의 도착점으로 묘사한다. 예프레모프가 믿었던 미래 사회는 소비에트식 공산주의 사회가 아니라 생산 수단을 사회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잉여소득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유토피아였다. 예프레모프는 과학소설 작가이기 이전에 과학자이기도 했으므로, 이러한 공동생산, 공동소유와 평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과학과 기술이 극도로 발전하여 인간이 언제나 새로운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이상 사회를 꿈꾸었다. 바로 이 때문에 예프레모프는 당대 독자와 비평가들에게 소련 정권에 아첨하는 작가로 여겨져 비난받았고 당대 공산당으로부터는 “테크노크라시를 지향한다”며 비판당하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예프레모프의 대표작 『안드로메다 성운』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여 유토피아 작가로서 예프레모프를 재조명하며 나아가 현대 러시아 대중문학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소비에트 시기 과학소설의 한 흐름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ngagement with utopia in Andromeda Nebula by Ivan Yefremov and attempts to rediscover Yefremov as a classical utopian writer. In Andromeda Nebula, Yefremov depicts a humanitarian utopi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work, the protagonists are born and raised in a communist society where the entire planet Earth has become a single nation. The protagonists strive to gain new knowledge and new experience in order to broaden the horizon of perception for the entire human race. By focusing on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educational system in this utopian society, Yefremov successfully portrays one of the most unique utopias in Soviet-era literature.

      • KCI등재

        모바일 단말에서 외부 저장 매체로의 불법 데이터 유출 방지 기법

        정보흥(Bo-heung Chung),김정녀(Jung-nyu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1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1 No.1

        최근 들어, 모바일 단말의 폭발적인 보급 더불어 단말 내의 중요정보가 외부 저장 매체로 불법적으로 유출되는 보안 위협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말 내 중요정보의 외부 저장 매체로의 유출 방지 기법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 기법은 파일의 임의위치에서 시그니처를 샘플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출 탐지,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시그니처 샘플링 과정은 대상 파일을 일정 크기의 추출 윈도우로 구분한 후 이 영역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1개 이상의 시그너처를 추출한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샘플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체 샘플링, 이항분포 샘플링, 동적 샘플링의 다양한 추출 방식을 구현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 한다. 제안된 기법은 파일의 임의 위치에서 시그니처를 샘플링하여 공격자의 시그니처 예측성을 낮출 수 있고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변형 없이 유출 방지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중시되고 비교적 저 사양의 시스템인 모바일 단말에서 효과적으로 유출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 According to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security threa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such as illegal or unintentional file transmission of imponant data to an external mass-storage device. Therefore, we propose a protection method to prohibit an illegal outflow to this device and implement this method. This method extracts signatures from random locations of important file and uses them to detect and block illegal file transmission. To get signatures, a target tile is divided by extracting window size and more than one signatures are extracted in this area. To effective signature sampling, various extraction ways such as full, binomial distribution-based and dynamic sampling are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proposed method has some advantages. The one is that an attacker cannot easily predict the signature and its extraction location. The other is that it doesn't need to modify original data to protect it. With the help of these advantages, we can say that this method can increase efficiency of easy-to-use and it is a proper way leakage prevention in a mobile device.

      • SCOPUSKCI등재

        Infliximab으로 호전된 장관 증상없이 발생한 구강-안면 크론병

        정보용 ( Bo Yong Jung ),이석호 ( Suck Ho Lee ),정승규 ( Seung Kyu Chung ),이창균 ( Chang Kyun Lee1 ),이태훈 ( Tae Hoon Lee ),정일권 ( Il Kwun Chung ),김선주 ( Sun Joo Kim ),조현득 ( Hyun Deuk Cho )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6

        Crohn`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at can involve the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The orofacial manifestation of Crohn`s disease, which is rare, can develop irrespective of intestinal involvement. These orofacial lesions are often misdiagnosed as simple oral ulcers. Corticosteroids are the mainstay of therapy for orofacial Crohn`s disease. However, infliximab, the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to tumor necrosis factor-α, is now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because of the disease`s relatively high rate of steroid resistance. We present a case of deep oral ulcer and periorbital swelling in a 65-year-old woman. She was diagnosed with intestinal Crohn`s disease 7 years ago, which was in remission after treatment with an immunosuppressive agent (azathioprine). The patient was given the diagnosed with orofacial Crohn`s disease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infliximab. (Korean J Gastroenterol 2012;59:437-440)

      • KCI등재

        풍자의 변용 : 고골의 〈코〉와 야셴스키의 〈코〉

        정보라(Chung Bo R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고골의 단편 〈코〉는 1835년 첫 출간 이후 환상 소설, 꿈과 같은 이야기, 혹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적인 탐구 등 여러 측면에서 분석된 바 있다. 고골의 〈코〉 이후 백 년이 지나 러시아 소비에트 작가인 브루노 야셴스키 (1901-1938)가 같은 모티브를 차용하여 같은 제목으로 중편을 집필한다. 그러나 야셴스키의 작품은 나치 우생학자가 어느 날 전형적인 유대인의 코를 갖게 된다는 내용으로, 고골의 작품에 없었던 인종적이고 정치적인 색채를 분명하게 나타낸다. 고골의 〈코〉는 환상성과 인간에 대한 풍자 외에도 구조적으로 피카레스크 소설의 요소들을 차용한다. 꼬발료프 소령과 그의 코를 둘러싼 여러 가지 모험을 묘사하면서 작자는 일련의 부조리한 인물들을 소개한다. 주인공까지도 포함하여 이러한 인물들을 풍자하는 것이 작품의 주된 요점이며, 그 과정에서 작자는 현실과 비현실 혹은 초현실 사이의 경계를 능란하게 넘나든다. 야셴스키 또한 고골의 기법을 차용하여, 유대계의 매부리코로 인해 주인공이 여러 초현실적인 사건에 말려드는 이야기를 기본 줄거리로 삼는다. 고골의 꼬발료프 소령처럼 야셴스키의 주인공 칼렌브루크 박사도 베를린 시내를 헤매고 다니는데, 여기서 피카레스크의 요소들과 환상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칼렌브루크 박사 또한 여러 의심스러운 인물들과 맞닥뜨리고, 고골이 그랬듯이 야셴스키 또한 주인공을 포함한 등장인물들을 신랄하게 풍자한다. 여기서 차이점은 고골이 해학과 익살 그리고 꿈결 같은 환상성을 강조하는 데 비해서 야셴스키의 작품을 지배하는 것은 공포와 정치적인 음모론이라는 점이다. 고골이 가능한 한 많은 인간 유형을 작품 안에 받아들여 해학적인 관점에서 묘사하는 반면, 야셴스키는 대체로 유대인과 나치의 대립을 둘러싼 인종 문제에 집중한다. 고골의 〈코〉에 나타난 소재와 주제 그리고 기법들이 백 년 후 완전히 달라진 사회문화적 정황에서도 차용되고 변용되어 또 다른 문학 작품을 낳을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 고골 작품의 깊이와 다양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 Gogol's short story, “The Nose”, since its publication in 1835, has been an enigma of sorts. Critics have interpreted it as a tale of the fantastic, a dream-like story, or a satirical study of the human nature. A hundred years later, a Russian-Soviet author by the name of Bruno Iasenskii (1901-1938) writes another story by the same title. This time, however, Iasenskii's novella has strong racial and political connotations, as the story centers around a Nazi eugenics professor who one day finds out that he suddenly has a conspicuously Semitic nose. Iasenskii's intentions seem clear enough. The author himself is of Jewish ancestry, and in mid- to late-1930's when the story was written, the Nazi threat against the Jewish people could be felt all around Europe. In addition, Iasenskii was originally born in Poland and, after spending some time in France, emigrated to the Soviet Union in 1929. Considering this personal background, and also the Russian literary culture which values respect for tradition, one could safely assume that Iasenskii wrote this story by the same title as Gogol's in an attempt to pay homage to Gogol and, at the same time, to assert his own place in the Russian literary tradition as a Russian-Soviet writer. The comparison of the two “Noses,” by Gogol and by Iasenskii, reveals that Gogol's original text is a rich and complex one involving not only fantasy and satire but elements of the picaresque in its structure. While describing the adventures surrounding Major Kovalyov and his nose, the author depicts an array of absurd characters. Satirizing these characters is the main point of the story, and the author also seems to merge reality with unreality in the process. Iasenskii, following Gogol's steps, presents a main character who is involved in a number of surreal incidents surrounding his suddenly Semitic nose. Elements of the fantastic are clearly visible, as well as the elements of the picaresque, as Iasenskii's main character also roams the streets of Berlin. Just like Gogol's Major Kovalyov, Iasenskii's Dr. Kalenbruk encounters a number of dubious characters, and the author satirizes these characters, as does Gogol. The difference, however, is that while Gogol uses humor and benign fantasy, a darker atmosphere of terror and political conspiracy is more dominant in Iasenskii's novella. If Gogol attempts to encompass as many human types as possible and depict them in a comical light without any political connotation, Iasenskii focuses mostly on the racial issue and the threat posed by the Nazis in Western and Central Europe.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two “Noses” show the literary depth and breadth of Gogol's original text, as the same motif and the same techniques could nicely fit into a context that is so far removed both in terms of chronology, socio-political dynamics, and race or nationality.

      • 차량 통신 및 ITS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이상우(Sang-Woo Lee),정보흥(Chung Bo-Heung),나중찬(Jung Chan Na) 한국정보보호학회 2019 情報保護學會誌 Vol.29 No.1

        최근 자율주행차량, 차량통신기술 등의 상용화가 임박함에 따라, 대두되는 여러 가지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이 활발히 연구 개발 추진 중이며, 국제표준화의 필요성도 부각되어 활발히 추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ITU-T SG17 정보보호 표준화 기구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보안 연구반에서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 과제 내용과, 지난 2018년 8월 회의에서 신규로 채택된 표준화 과제의 내용을 소개한다.

      • ITU-T SG17에서의 차량 통신 및 ITS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이상우(Sang-Woo Lee),정보흥(Chung Bo-Heu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情報保護學會誌 Vol.30 No.4

        최근 자율주행차량, 차량통신기술 등의 상용화가 임박함에 따라, 대두되는 여러 가지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이 활발히 연구 개발 추진 중이며, 국제표준화의 필요성도 부각되어 활발히 추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ITU-T SG17 정보보호 표준화 기구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보안 연구반에서 최근 회의에서 신규로 채택된 표준화 과제의 내용과 향후 표준화 진행 계획을 소개한다.

      • KCI등재

        타데우슈 보롭스키의 홀로코스트 소설과 정체성의 문제

        정보라 ( Bo Ra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1

        본 논문은 폴란드 작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타데우슈 보롭스키(Tadeusz Borowski)의 전쟁 소설들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공간적 위치 변화와 이에 따른 화자의 정체성 변화를 추적한다. 작품 안에서 화자의 정체성은 극한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전쟁이 작품 속 화자에게 홀로코스트 생존자라는 역사적 정체성만을 남기고 개인적 정체성을 모두 파괴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보롭스키는 허구적 영웅주의나 인본주의를 배제하고 이 과정을 건조하게 묘사하지만, 그의 작품 안에는 전쟁으로 파괴된 인간의 실존적인 절망이 솔직하고도 생생하게 드러난다. The concept of identity is mainly based on one`s relation to one`s surroundings and the perception of oneself. These are all important topics when reading Borowski`s stories. In his stories, the narrator is forced to change locations several times as a victim of war and a political prisoner. His physical surroundings as well as hi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ound him are extremely important because his very survival depends on them. In Borowski`s stories one can see that the narrator`s identity evolves quite fluidly as he moves around from the streets of Warsaw to Pawiak prison, to Auschwitz and to different sub-camps of Auschwitz and to Dachau. When discussing personal identity and changing locations, one may say that Borowski`s wartime and Holocaust stories chronicle the destruction of a person in all aspects of existence: physical, psychological, moral and even spiritual. In Borowski`s stories, the narrator gradually changes from a young adult with hopes for a better future to a hardened concentration camp prisoner who does not hesitate to laugh at other people`s sufferings and death. The narrator`s survival after all the atrocities is itself a tragic one, because he survived not to be free but only to become a prisoner to the core of his heart and soul. And since these stories are also testimonies of one of the greatest tragedies of human history, one may also see it as a testimony of the inner devastation of a generation as well as that of an entire nation and its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