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강제송풍식 냉동방식과 전자레인지 해동 조건에 따른 당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

        정경훈 ( Kyung Hun Jung ),조연지 ( Yeon Ji Jo ),황인국 ( In Guk Hwang ),유선미 ( Seon Mi Yoo ),최미정 ( Mi Jung Choi ),민상기 ( Sang Gi Mi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air blast freezing and microwave thawing on the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carrots. Carrots were cut into 0.5×0.5×5 cm cubes and then frozen at -40oC at various freezing rates (0.2, 0.4 or 1.6oC/min) until a -12oC central temperature in the carrot was reached by using an air blast freezer. Then, the frozen carrots were thawed by using natural air convection and microwaves at 200, 400, and 800 watts. After the thawing treatm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arrots such as pH, thawing loss, hardness, color, morphological images and changes in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also analyzed.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thawing loss and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freezing rate. In morphological observation, ice crystal pore sizes in frozen carrots were 0.7, 0.3 and 0.1 mm at 0.2, 0.4 and 1.6oC/min, respectively. The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freezing rate increased. For the nutritional characterizations, the vitamin C and organic acid content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freezing rate. The sucrose content was the highest at the 0.2oC/min freezing rate. Therefore, we suggest that a faster freezing rate is effective to maintain frozen food quality by minimizing tissue damage and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 KCI등재

        의당 박세화의 한시에 대한 일면모 - 용하동, 용하구곡을 중심으로 -

        정경훈 ( Jung Kyung-h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은 한말 인물인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1834~1910)의 한시 작품을 고찰한 것이다. 박세화는 함경도 고원 출신으로 존중화(尊中華), 양이적(攘夷狄)과 숭정학(崇正學), 벽이단(闢異端)을 주장한 위정척사 계열의 학자이다. 비교적 늦은 시기에 충북 사군 지역으로 본거지를 옮겨 의당학파의 학단을 구성하였고 화서학파와 간재학파의 학설을 절충적으로 취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박세화는 충북 제천지역에 위치한 월악산 인근의 용하동에 용하구곡을 설정하고 이 지역을 근거지 삼아 문인들의 강학과 학단을 결속시켰다. 용하동, 용하계곡, 용하구곡 등은 박세화에게 철학적 사유의 공간이면서 문학적 사유 공간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박세화의 사상적 기저를 완성시키고 내수(內修)에 힘쓸 수 있는 사유 공간이었고 박세화에게 다양한 시재(詩材)를 제공해준 곳이기도 하다. 박세화는 이곳을 빈번하게 왕래하며 조수초목과 자연산수에서 나오는 감흥과 다양한 느낌을 묘사한 한시 속에 투영하였다. 용하구곡의 산, 물, 바위를 소재로 이루어진 이들 작품들은 대규모 유람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 아닌 소소한 일상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감흥을 표현한 결과물들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Park Se-hwa's Chinese poems. Park Se-hwa was born from Hamhung, North Hamgyong Province, and he gradually becomes south and formed a school of thought. Park Se-hwa insisted on respect chinese culture(尊中華), denounce the foreign power(攘 夷狄), establish a correct study(崇正學) and reject heresy(闢異端). He is a scholar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 family. He fasted for 23 days in a shameful incident in 1910, killing himself. Park Se-hwa set up Yonghadong(用夏洞) near Wolaksan Mountain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Based on this area, he united the liberal arts and academia with the writers. Yonghadong(用夏洞) and Yonghagugok(用夏九曲) are special spaces for Park Se-hwa. This is where he created his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provided literature. Park Se-hwa visited this place frequently and left behind various poems. The city is home to birds and animals, flowers and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of Yonghadong(用夏洞). The mountains, water, and rocks in Yonghadong(用夏洞) were also beautiful materials. Park Se-hwa is a Confucian knowledge and an excellent writer.

      • KCI등재

        안분재(安分齋) 이준(李?)과 『안분재수창록(安分齋酬唱錄)』 연구(硏究)

        정경훈 ( Jung Kyung-hu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8

        This paper is Anbunjae Lee Jun, for research. And his first introduced by the excavation of the 『Anbunjaesuchangnok』 known as a book. Did not study at all about him in the academic world. He received good background from his father and grandfather, but he couldn``t enter the national politics. He was raised many possession of the great literary talent and studied literature. However, he always fell on the tests and they went low ranking position at a later age. He later moved the countryside for the base, Chungcheong region to move on Gongju. He nickname as the anbunjae. Laying the groundwork for building a small building in Gongju and new. He is a new indigenous knowledge in the community actively interaction with them. In particular exchanges with them using married. 『Anbunjaesuchangnok』 is with the type and a collection of works. In this book and poetry, literature and various works. This work is most important work that can understand him. This is the goals of his life. Sympathetic and exchanged and poetry, literature and these feelings. 『Anbunjaegi』 and interaction with much of his writers take a look into a very good literary. A few of his works can only take a look at the following results. The best understand his skills and self satisfied with life. The research also found his newly found the work. And could find a new a great literary author.

      • 명와(明窩) 정규해(鄭糺海)의 저술(著述)과 학문관(學問觀)

        鄭敬薰 ( Jung Kyung-hu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8 지역문화연구 Vol.7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Myungwa(明窩) Jung Gyu-hae(鄭糺海) and an aspect of his literary world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tudies. Jung Gyu-hae was disciples of Uidang(毅堂) Bak Se-hwa(朴世和). He has high personality and intellectuals in japanese colonial era. He was the regular Uidang school(毅堂學派). Uidang school was represent of Kiho school's(畿湖學派) in late Chosu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iho school notably started to differentiate into sub-schools. After mid-nineteenth century, the specification of Kiho school was accelerated and each sub-schools not only inherit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but also concretely differentiated their viewpoints on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 difference frequently induced disputes which were raised by other sub-school members. Uidang school was compromised with Hwaseo school's(華西學派) and Ganjae school's(艮齋學派). So Uidang school was express in doctrine. Jung Gyu-hae tried to practice morality with literature, so his view of literature did not deviate from the conservative, moral viewpoint. Jung Gyu-hae consistently adhered to despise of literature. He held the thought in common with the general Neo-Confucianist about literature. Concretely speaking, he had the posture of Dobon-Munmal(the basis of Neo-Confucianism and despise of literature) of Neo-Confucianist. Jung Gyu-hae emphasized that un ultimate aim of literature is improving the morality and literature is nothing but a means of serving the Neo-Confucianism.

      • KCI등재

        율곡문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경훈 ( Jung Kyung Hu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지난 학계에 보고된 율곡 이이의 문학적 성과를 종합,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율곡 문학의 한계와 경계를 넘어 새로운 율곡 문학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2007년 『율곡학연구총서』를 통해 괄목할 만한 그간의 연구 성과가 보고되었다. 문학 분야에서는 30편의 논문이 소개되어 향후 율곡학의 세계화, 율곡학의 학제간 연구 등을 앞으로 과제로 남겼다. 이후 율곡 문학의 연구는 문도론, 주기론, 『정언묘선』, 한시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 졌다. 율곡 문학론 연구는 문도라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한유의 문이관도론과 연계하여 남송시대 주돈이 정이를 비롯한 주자의 문이재도, 도본문말의 문학관에서 시작된 문도론은 율곡의 문학관에도 영향 미쳤다. 율곡의 도본문말의 문학관은 문이형도라는 문학의 구체적 표현을 좀 더 강조된 면모도 있음을 밝히 연구들이 후속으로 보고되었다. 율곡 문학의 연구는 모두 「고산구곡가」, 『정언묘선』, 한시에 한정되어 있었다. 율곡의 200여 수의 시와 『정연묘선』에 선정된 400여 수의 중국 시를 통해 ‘문학가 율곡’을 규정하고 있다. 율곡 한시에 대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성정론을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많았고 점차적으로 두보 불교의 영향관계로 확대하며 율곡 한시를 다양한 각도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였다. 반면 율곡 산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율곡 산문에 대한 연구가 없다는 것은 율곡 문학 연구의 한시성과 한계성을 스스로 자인하고 있다. 나아가 율곡문학 연구의 현주소를 보여 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축적된 율곡 문학을 ‘도학가의 문학’ 규정에 공력을 쏟았다면 앞으로는 ‘율곡 문학의 공로’에 대해 위상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율곡전서』에 수록된 다수의 산문 작품은 율곡을 문장가로 규명하기에 충분한 자료이다. 기왕에 연구된 문학관을 바탕으로 율곡 산문의 글쓰기 작법과 영향 관계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가 율곡’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립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a thesis reviewing and synthesiz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Yulgok Yi-I, reported in the last academic circle. Based on this, a new research task for Yulgok literature was proposed beyond the limits and boundaries of Yulgok literature. Remarkable research achievements were reported through the 『Yulgok Research Districts』 published in 2007. In the field of literature, 30 papers have been published, leaving the future globalization of Yulgok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Yulgok Studies as future tasks. The study of Yulgok literary theory bega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Taohak. Mundolon(文道論) also influenced Yulgok's view of literature. Studies on Yulgok Chinese poetry generally tended to be understood based on the Seongjeonglon(性情論),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Dubo Buddhism, and efforts were made to clarify Yulgok Chinese poetry from various angles. “Literature Yulgok” is defined through 200 poems of Yulgok and 400 Chinese poems selected in 『Jeongyeonmyoseon(精言妙選)』. On the other hand, studies on Yulgok prose are very rare. The fact that there is no study on Yulgok prose is self-acknowledgment of the temporality and limitations of Yulgok literature research.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ross section that shows the current state of Yulgok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ly studied view of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newl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artist Yulgok' through research on the writing style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Yulgok prose.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추만정지운(秋巒鄭之雲)과 『추만실기(秋巒實記)』

        정경훈 ( Kyung Hun J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2 No.-

        이 논문은 『天命圖說』의 작자 秋巒鄭之雲(1509~1561)과 후대에 간행된 그에 대한 저서를 밝힌 것이다. 현재 정지운의 문집은 전해지지 않고 『천명도설』만 전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정지운이 처음 제작한 천명도는 『天命圖說』라는 題名으로 최초 간행되었고 정지운의 自序, 鄭秋巒先生天命圖, 圖解9節, 雜解와 河西金先生天命圖가 전반부에 수록되어 있다. 후반부에는 退溪李先生天命圖와 圖說10節과 退溪李滉의 後敍가 수록되어 있다. 이후 간행된 『天命圖說』은 정지운의 自序와 天命舊圖와 天命新圖, 圖說10節과 이황의 後敍와 澤堂李植의 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天命圖說』와 다른 점은 정지운의 천명도가 이황에 의해 수정되기 이전의 舊圖와 수정된 新圖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고 이식의 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천명도설』은 임병양란 이후 일본까지 전파되었다. 1651년 일본에서 간행된 『천명도설』은 조선의 『천명도설』과 큰 차이점은 없지만 마지막에 수록된 羅山人道春의 발문을 보면 이미 일본에서 학자들의 수요에 따라 상업적 목적으로 대량 출판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00년 대에 간행된 『貞肅公秋巒先生實紀』는 「貞夫人順興安氏語錄」·「慕先蹟有感」·「家狀」·「行狀」등 정지운의 宣揚과 家系를 부각시키기 위해 당시 후손들이 만든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이황의 「묘갈명」과 박순의 「묘지명」, 이식의 「천명도설발문」내용과 많은 부분에서 상이하게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정지운의 諡號와 贈職문제, 後嗣의 여부 문제가 상반되고 있는데, 『貞肅公秋巒先生實紀』에서는 뚜렷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993년에 간행된 『秋巒實記』는 『貞肅公秋巒先生實紀』와 비슷한 체계로 구성되어있지만 모두 5권으로 『貞肅公秋巒先生實紀』보다 풍부한 양이다. 이 책은 이황의 수정을 거치지 않은 『천명도해』의 초간본부터 정지운에 관련된 모든 기록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貞肅公秋巒先生實紀』에 수록된 2편의 「序文」과 「貞夫人順興安氏語錄」·「慕先蹟有感」·「家狀」·「行狀」·「神道碑銘」등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1에 수록된 정지운의 한편의 한시 작품은 주목을 요한다. 이 작품은 정지운의 현전하는 한편의 시로 그동안 소재가 불분명 하다가 『사재집』에서 찾아낸 것이다. 이 시를 살펴보면 道學詩風과 田園詩風을 느낄 수 있고 만물의 순행을 통해 철학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陰谷幽居의 전원적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어 정지운의 문학을 살필 수 있는 단서가 되었다. 이 시의 발견은 그동안 전무했던 정지운 작품의 소재 발견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 도학가 문학을 밝힐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This study is on Jung Jiwoon(1509~1561) who is the author of the book, ChunMeyngDoSul, presenting a basis for SaDanChilJung in Chosun Dynasty. He first explained the Neo-Confucianism principles of Heaven-man Unity through making ChunMeyngDo. His books were distributed when he was alive and his first book was not ChunMeyngDoSul but ChunMeyngDoHae. They were publish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ChunMeyngDoSul was commercially issued and distributed in Japan and recognized that it was better than GonJiGi of China. His books were not published until coming out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in about 1990 and ChuManSilGi in about 1993.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and previous publications, which is that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contains forgeries created by descendants. On the other hand, ChuManSilGi(1993) contains Jung Jiwoon`s Chinese peom which is originally contained in MoJaeGip. It is important that ChunMeyngDoSul is no long the only work of Jung Jiwoon.

      • KCI등재

        회덕지역 시인 송남수 연구

        정경훈 ( Jung Kyung-h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0 No.1

        松潭 宋柟壽(1537~1626)는 宋希甲(? ~ ?), 琴巖 宋夢寅(1586~1612), 四友堂 宋國澤(1597~1659) 등과 함께 회덕의 대표적 문인으로 알려졌고 특히 송희갑, 송몽인과 함께 회덕 3대 시인으로 불린다. 그리고 윤근수, 이정구, 권필, 김상용, 유근, 정온, 정구, 이호민, 이안눌, 신흠 등 조선 중기 최고의 문사들과 교유를 하며 300여 편의 한시를 남긴 인물이다. 송남수의 시는 『箕雅』에 수록될 정도로 세간에 널리 알려졌다. 송시열과 김창협은 송남수의 시적 특장을 조목조목 밝혔고, 특히 김창협은 송남수의 시를 ‘眞詩’라 지칭하기도 하였다. 송시열과 김창협이 지적한 송남수의 시적 경향은 아름다운 산수 기행을 통한 감흥과 관직 생활이후의 한거와 시주의 흥취, 회덕으로의 은거를 통한 회고와 감회였다. 송남수는 계룡산, 관동, 영동, 금강, 형강, 갑천 유람을 하며 감흥을 시로 표현하였고 60세에 관료 생활을 마치고 미련 없이 회덕 고향에 내려와 90세의 나이로 졸할 때까지 琴書와 詩酒를 즐기며 관료생활 때 못했던 흥취를 누렸다. 송남수는 졸수의 나이인 90세까지 생존한 인물로 관료 생활을 제외하고 70년 가까이를 회덕에서 생활했다. 그는 은퇴 이후 시주의 감흥을 잠시 즐기기도 했지만 마지막 인생을 송담의 작은 연못으로 옮겨 은거하면서 인생을 돌아보는 회고를 통해 여러 감회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비록 중앙 정계의 현달한 관료, 전국적인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시인의 명성을 떨친 인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충청도 회덕의 서인 본거지에서 송희갑, 송몽인과 함께 회덕 3대 시인으로 지칭되기에 충분한 성과는 보여주고 있다. Song Nam-soo is a representative poet in the Hoedok area. He is the third poet in Hoedeok, along with Song Hee-gap and Song Mong-in. In addition, Yoon Geun-soo, Lee Jeong-gu, Kwon Pil, Kim Sang-yong, Yoo Geun, Jeongon, Jeong-gu, Lee Ho-min, Ian Noul, Shin Heum, etc., cultivated with the best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and left over 300 poems. Song Nam-soo's poetry was included in the famous poem 『KIA』 and was widely known in the world. Song Si-yeol and Kim Chang-hyup revealed the poetic features of Song Nam-soo. In particular, Kim Chang-hyup referred to the poetry of Song Nam-soo as ‘A true poem(眞詩)’. Song Nam-soo's specialty is to write down beautiful landscapes. And after living in office, living leisurely and getting pleasure through poetry and alcohol. And remembering the past while staying in Hoedeok. Song Nam-soo toured Gyeryongsan, Kwandong, Yeongdong, Geumgang, Hyeonggang and Gapcheon and left them as poems. And after finishing his bureaucratic life at the age of 60, he came to Hoedok without regret and enjoyed lyre, books, poetry, and alcohol until he died at the age of 90. After retirement, he enjoyed poetry and alcohol, and transferred his last life to a small pond in Songdam. I looked back on my life here and expressed various feelings in a poem.

      • KCI등재

        한말 유교지식인의 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 모습-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의 재래적 문명인식-

        정경훈 ( Jung Kyung-hun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1

        본고는 毅堂 朴世和(1834~1910)를 통해 國亡의 현실 상황에서 道의 滅亡을 겪으며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문학을 통해 고찰하였다. 나아가 國亡과 道亡의 현실을 대처했던 한말 전통 유교지식인의 고뇌와 대응 의식을 살펴보았다. 박세화는 함경남도 함흥 南關지역에서 출생하였고 이 지역에서 기호 유림에 학단을 구성한 독특한 이력을 소유한 저명한 재야 학자였다. 그리고 한말 서구 열강의 침탈과 신구사상의 갈등기에 전통적, 재래적 이념인 주자학을 통해 시대의 난관을 극복하고자 했던 유교지식인이었다. 그는 한말 혼돈기에 유입된 서양문물에 대해 『맹자』와 『춘추』 등 주자학 경전을 기반으로 衛正斥邪와 尊華攘夷 등을 주장하였다. 곧 물질문명을 무기로 한 열강의 침략에 대해 동양의 전통적 정신문명인 주자학을 바탕으로 우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開化와 開物의 입장 보다는 주자학적 사고에 바탕으로 斥攘, 斥邪 등 閉物의 관점을 유지하였다. 또 『格物入門』 등 서양문물을 이해할 수 있는 서적 등을 섭렵했지만 서양문물은 기교이며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인식하였다. 박세화는 조선의 문명을 오염시킨 주된 요인이 바로 외세의 문물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재래적 사상인 주자학을 통해 `우리의 도[吾道]`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그 수호의 방법으로는 主敬·去私·求仁을 제시하였고 문학작품을 통해 求仁의 방법과 立志·居敬·存心·窮理·力行 등 다섯 가지 공부법을 확인하였다. 그는 `비록 나라는 망할 수 있지만[國亡] 도는 망할 수 없다[道不可亡]`는 주자의 신념을 계승하며 道亡의 상황을 막기 위해 고분 분투하였다. 그러나 道亡의 현실을 맞이하자 道亡의 죄를 스스로에게 물으며 靖獻, 곧 自靖의 의지를 마지막으로 보였다. 박세화는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8월 28일, 絶粒斷食한지 23일째에 殉道의 길을 따르게 되었다. 박세화는 殉道의 순간에도 `禮義朝鮮`과 `中正仁義`의 절필유묵을 통해 조선의 정신은 예법과 의리, 性理가 결합된 도학정신임을 밝혔고 유교지식인의 마지막 소임을 표현하였다. This paper is writing about Park, sehwa of the traditional figures in his literature. Park, sehwa was born in Hamheung of North Korea and moved up the school to the south. At that time, tradition and enlighten coincided with each other. Park, sehwa rejected Western civilization and responded in conventional ways and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He read liberal books but did not accept them. He expressed Jugyeong(主敬), Guhsa(去私), Guin(求仁) ideas from 「Jagyeongnok(自警錄)」. All these assertions are based on Confucianism. Park, sehwa thought that the country could be destroyed, but the Confucian spirit could not be ruined. And he abandoned his life to protect Confucianism. So he devoted himself to his belief. Park, sehwa revealed that the spirit of Joseon dynasty was in Confucianism.

      • KCI등재

        직당(直堂) 신현국(申鉉國)의 생애와 사상

        정경훈 ( Jung Kyung-hun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2

        본고는 直堂 申鉉國(1869~1949)의 생애와 사상을 전반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신현국은 구한말 충북 四郡지역을 중심으로 자생한 의당학파의 문인으로 알려진 인물로 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그러므로 본고는 신현국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로 그의 생애와 사상을 하나씩 규명해가는 초탐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신현국은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였고 이곳을 중심으로 말년까지 강학과 저술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28세에 박세화를 평생의 스승으로 삼아 의당학파의 3대 학문정신인 主敬, 去私, 求仁과 春秋義理에 기반을 둔 尊王攘夷와 衛正斥邪 사상을 계승하며 의당학파의 중요 제자가 되었다. 신현국은 박세화가 1910년 絶粒 殉國하자 晦堂 尹應善(1854~1924)을 스승으로 모시며 의당학파의 결속과 학문 전승에 힘을 쏟았다. 윤응선 사후를 전후하여 고향 여주에 돌아와 지역 인재들을 육성하기 위해 강학활동을 전개하였다. 삼강오륜을 강조한 예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學禮遺範』과 같은 저술을 집필하였다. 그가 평생 강조한 禮의 중요성은 문집 곳곳에서 발견되지만 고전적 성리학을 바탕으로 서양문명을 바라본 시각이 대부분이다. 신현국은 『학례유범』에서 고대의 예절과 규범을 통해 서양문물의 무분별한 유입과 전통 예절의 상호 모순적 관례를 넘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를 결속시키기 위한 노력을 후속세대에게 설명하였다. 그는 비록 성리학의 기능적 역할을 소진한 근현대에 살면서 難苦한 삶을 고수한 재야학자였지만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올곧게 유지한 최후의 유교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 paper that studied Shin, hyeonguk's lifetime and thought. Shin, hyeonguk research has not been reported to academic circles so far. Therefore, this paper is the first full-scale research paper by Shin, hyeonguk. Shin, hyeonguk is a literary writer of the Widang school formed around the Jungcheon North Ro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in, hyeonguk was born in Yeoju, Gyeonggi-do, and continued his lecture and writing work centered on this place. At the age of 28, Shin, hyeonguk met his mentor Park, Sehwa. And, the spiritual masterpiece of the three major scholarship of the Uidang school. Shin, hyeonguk focused on unity and academic transfer of his Uidang school sect where his master died in 1910. Shin, hyeonguk stressed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volution, I wrote a sentence like < Hangnyeyubeom >. Through this book, Shin, hyeonguk tried to overcome the indiscriminat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s that tried to keep ancient patrons and norms. And we tried to unite school, family, community. He was a scholar in the field who adhered to difficult living difficulties in the modern era when he discharged the role of the function of sexual science. However, I am showing the final Confucian intellectual who lasted my beliefs to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