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The Concrete Procedure of Housing Submarket Distinction with and without Heteroskedasticity

        정건섭(Chung Kyoun-Sup),이상엽(Lee Sang-Yup)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4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4 No.1

        This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homogeneity across a housing market. Studies often assume that the market is homogeneous within a given geographic boundary such as a metropolitan area or a city. Since such spatial units are drawn up for historical and political reasons, one may question whether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re is a single competitive market for housing. If there is segmentation. assuming homogeneity leads to uninformative estimates of housing price equations and public policy that lacks proper foundation.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s of this paper in terms of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edonic models of housing prices must be corrected for heteroskedasticity to ensure greater efficiency in the estimation of hedonic prices wherever the heteroskedasticity does exist: (2) There are significant submarket differences in hedonic prices of housing attributes, implying that great care should be take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geographic units for which hedonic models are estimated: and (3) After careful submarket specification, a combination OLS (Ordinary Least Squares) with WLS (Weighted Least Squares) estimates provides the greatest predictive power with respect to estimate of housing prices in the study area. In other words, if there has no evidence of heteroskedasticity. the OLS should be utilized; otherwise. the WLS must be utili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urban theory,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 is that markets are segmented: hedonic prices differ among market segments, reflecting differences in the bid and offer curves for housing. It is recommended the dimensions of this segmentation should be explored furth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주택하위시장 구분방법과 정책적 시사점

        정건섭(Chung Kyoung Sup),이상엽(Lee Sang Yup)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7 No.1

          When it usually comes to the heteroskedasticity, it will cause the estimated variance of the coefficient to influence both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In other words, the estimated of variance of the coefficient can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depends on the nature of causing factors in the model. If we persist in using the usual testing procedures despite heteroskedasticity, whatever conclusions we draw or inferences we make be very misleading. As a result, we can no longer rely on the conventionally computed confidence intervals and the conventionally employed t and F tests. Put it another way, if the proper method is not applied without knowing the exact causing nature of heteroskedasticity, its relevant housing policy can be dubious to achieve the planned goal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will be to the concrete procedure of the proper estimation when the heteroskedasticity does exist in the data; i.e., the estimated variance of the dependent variable can be improved by giving consideration to the issues of homogeneity and/or heteroskedasticity across research areas. The paper shows that by testing for heteroskedasticity, and by using robust methods in the presence of with and without heteroskedasticity, more efficient statistical inferences, including policy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Enrollment Elevation to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in Korea

        정건섭(Kyoun-Sup Chung),뢰송림(Songlin Lei),심문보(Moon-Bo S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8

        세계경제 단일화의 가속화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점차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서방 선진국들은 세계 각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호 국가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교육자원, 환경, 정책등 여러 문제로 각 지방 대학이 유학생 유치에 불리한 위치에 처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중국과 한국 양국의 문화 교류 증대와 양국 간의 지리적 접근성에 힘입어 많은 한국 학생의 중국 유학과 동시에, 중국 유학생 또한 한국 각 지방대학의 주요 입학자원이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중국 유학생 수는 신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유학생 교육제도 또한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지만, 유럽, 미국 등 선진 국가나 한국 수도권 대학의 교육 환경적 우세 조건에 비하면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제시해 본다면, 우선 한국 지방 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또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떻게 중국 유학생이 선호하는 특색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고, 중국 유학생의 학습과 발전에 적합한 “One-Stop (신속, 빠른, 편리한) 교육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가, 또 어떻게 유학생 교육의 관리 체계와 모델을 완성하여 중국 유학생과 지방대학이 다함께 Win-Win할 수 있는가? 이런 점들이야 말로 한국의 각 지방대학 중국 유학생 관리자들이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겠다. Since South Korea has problems existing in the respects of educational resources, environment, policies, etc., local universities of South Korea have been in an inferior position in the competition of overseas student enrollment. With increasingly deepe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due to geographic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 great number of South Korean students go to China for study; also, Chinese students have increasingly become the important target of recruitment by all loc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with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overseas student education system of South Korea has been progressed continuously. Compared with educational advantages of universities in European, America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lot of problems in Chinese student recruitment by local univers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exist not only some advantages but also some problems to be addressed urgently in Chinese student enrollment by South Korean local universities. How to build a distinctive recruitment environment suitable for Chinese students; and, how to develop a complete “one-stop” educational system suitable for study; and, how to make a strategy of development for Chinese students; and, how to perfect set up the overseas students' educ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are the remaining tasks to be solved for. To achieve a win-win for both overseas students and South Korean local universities, i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works to do for administrators of Chinese students in all local universities of South Korea.

      • KCI등재

        The Distinction of Housing Submarket Using the Efficient Estimator

        정건섭(Chung,Kyoun-Sup),이상엽(Lee,Sang-Yup)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1

        주택하위시장은 다른 하위시장과는 이질적이면서도 동일 하위시장 내에서는 대체적인 주택시장의성격을 띄고 있다. 따라서 지역시장에 대한 주택정책 수립 시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시장을 파악할 수있다면 주택공급에 따라 각 하위시장별 파급효과를 평가할 수 있어서 주택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주택하위시장이 존재한다면 그 가격 추정도 그 주택하위시장의지역특성에 맞는 가격예측이 필요로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지역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한 또는 논리적 방법으로 근거한 주택가격 추정을 기본 토대로 하여지역에 맞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함축한다. 주택하위시장 구분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목적은 유사하나 그 방법에 있어 많은 차이들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또는 행정구역별로의 통합보다는 공고한 통계적 방법으로서의 하위시장 구분이 더욱더 정확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분산 점검을 실시를 통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다른 검정방법을(Chow 또는 Wald 검정) 적용하였다. 모수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행정단위의 지역구분 또는 인위적인 결합은 그 모수 추정에 편기 및 비효율을 초래함으로써 여기에서 유추되는 T-검정 및 F-검정도 그 신뢰성을 믿기 어렵다. 그 모수 추정에 대한 편기 및 비효율의 방향도 변수들의 상관관계에 따라 모수의 추정값 및 분산값이 과대평가 되었는지과소평가 되었는지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연구지역에서 최소단위지역의 자료가 동질성을 갖고있지 않다면 여기서 이루어지는 공간적 병합 및 분할은 잘못된 추론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지역적 이분성 및 공간적 모수의 불안정성을 모형에 적절하게 통제하지 않으면 여기에서 도출된 어떠한 추론 및 예측도 신뢰의 정도가 약하거나 의심스럽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였다.

      • KCI등재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 비교연구

        정건섭 ( Kyoun Sup Chung ),김성우 ( Sung Woo Kim ),이양원 ( Yang Won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1

        주택시장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헤도닉 방법은 OLS(ordinary least squares) 모형을 이용하는데, 이는 오차가 독립적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그러나 공간자기상관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가정에 위배되며, 공간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왜곡된 추정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계량모형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OLS 모형과 공간계량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평가하고자 한다.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OLS를 이용한 기존의 헤도닉 모형보다는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공간계량모형들이 보다 설명력이 높았다. Dubin이 제시한 기준과 Log Likelihood 기준을 통해 볼 때 공간계량모형 중에서는 공간자기회귀모형(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택가격에 있어서의 공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건축 추진여부가 아파트 매매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공간계량모형의 선택은 정부의 주택정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OLS(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is widely used in hedonic housing models. One of the assumptions of the OLS is an independent and uniform distribution of the disturbance term. This assumption can be violated whe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s, which in turn leads to undesirable estimate results. An alterative to this, spatial econometric models have been introduced in housing price studies. This paper describes the comparisons between OLS and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Owing to the approaches reflecting spatial autocorrelation,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s showed some superiority to the traditional OLS in terms of log likelihood and sigma square(σ2). Among the spatial models, the SAR(Spatial Autoregressive Models) seemed more appropriate than the SAC(General Spatial Models) and the SEM(Spatial Errors Models) for Busan housing markets. We can make sure the spatial effects on housing prices, and the reconstruction plans have strong impacts on the transaction prices. Selecting a suitable spatial model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ousing policy of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