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관점에서 바라본 아동·청소년의 그릇된 행동에 대한 대처 방안

        전종국(Chun, Chong-gouk)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문제행동과 도전행동이라는 그릇된 행동에 대처하기 위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아동의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현재의 관점과 그에 대한 대처 방안을 검토하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서 바라본 그릇된 행동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아이들의 그릇된 행동을 다루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대처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첫째,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아이의 그릇된 행동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탐색하는 일이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는 아이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생활양식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아 차려야 한다. 셋째, 아이의 사적 논리와 가공적 목표, 생활양식 신념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넷째, 교사나 부모는 아이의 목표를 드러내어 아이 스스로가 자신의 그릇된 목표를 알아차리고 교실이나 가족, 집단에서 더 유용한 행동을 선택하도록 격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dler s individual psychology to cope with problems and challenge behavior in children. This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view of children s problem behavior and how to deal with it and presented a view of misbehavior in Adler s individual psychology.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proposed to deal with children s misbehavior efficiently. First, rather than viewing a child s misbehavior as problematic, it should be a priority to investigate and explore the child s wrong purpose. Second, teachers/parents need to be aware of how their lifestyle works in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ird, it is to learn about the child s private logic, fictional goals, and lifestyle beliefs. Fourth, it is necessary for teachers/parents to reveal the child s goal and recognize his wrong goal and encourage them to choose more useful behaviors in classrooms, families, and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상담에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 방안에 대한 탐구

        전종국(Chong-gouk Chun),윤병수(Byung-soo Yoon) 한국명상학회 2020 한국명상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상담과 마음챙김 명상의 원리와의 관련성을 밝히고 개인심리학적 상담에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마음챙김 명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아들러 개인심리학에서 바라본 내담자에 대한 기본 가정, 상담의 원칙, 인간관 측면을 기술하고, 마음챙김 명상의 주요 원리와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실천적 측면에서의 유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과 아들러상담의 주요 접근은 1) 수련의 목적과 치료목표, 2) 고통의 원인, 3) 수련방법과 치료방법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요소가 있다는 발견하였다. 특히 마음챙김 명상이 아들러의 상담에서 다루어온 과제인 1) 현재 삶의 과제(life tasks)를 대처하면서 일어나는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에 활용되며, 2) 생활양식(life style)을 통찰하고 기본적 오류(fundamental error)를 발견하며, 3) 현상학적 경험((phenomenological experience)을 지금-여기에서 마음챙김할 수 있고, 4) 사회적 관심(social interest)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methodologies by comparing mindfulness meditation with Adler s personal psychological approach,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mindful meditation to Adler s counseling. First of all, we wan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meditation, describe the basic assumptions, principles and perspectives of human being on Adler s individual psychology, and find similarities between the main principle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Adler s individual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main approach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Adler counseling was found to have similar factors in terms of 1) the purpose of meditation practice and treatment goal of Adlerian counseling, 2) the cause of pain, 3) the methods of mediation practice and the treatment method of Adlerian counseling. In particular, mindfulness meditation is used 1) to recogniz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that occur while dealing with the current life task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Adler s counseling, 2) to gain insight into life styles and discover fundamental errors, and 3) to aware of current mental experiences (phenomenological-experience).

      • KCI등재

        아동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성인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허미정(Huh, Mi Jung),전종국(Chun, Chong Gouk)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성인여성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이 무엇인지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학대와 방임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하고자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아동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성인여성으로 2020년 04월부터 2021년 02월까지 주 1회, 약 50분씩 비구조화된 미술치료 방식으로 총 30회기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서를 받아 매회기 녹취, 관찰일지, 미술작품, 연구자와 참여자의 저널, 면접지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미술작품과 면담자료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동학대와 방임을 경험한 여성은 ‘버려진 아이’, ‘말 못하는 아이’, ‘자신을 위한 보상’, ‘용서하고 싶다’, ‘새로운 도전’의 5개 경험이야기를 발견하였다. 그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망각된 감정이 되살아나다’, ‘결핍이 만들어낸 공허함을 채우다’, ‘결핍 속에서 나를 발견하다’로 3개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애착외상이 남긴 흔적’, ‘방임도 심각한 학대’, ‘사회적 문제인 아동학대’로 함의를 확장시켜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what a female adult survivor of child abuse and neglect experienced during art therapy and what that experience means. In the study, a narrative inqui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liv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child abuse and neglect. The participant was a female adult who participated in unstructured personal art therapy once a week for nearly 50 minutes, for a total of 30 times from April 2020 to February 2021.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ritten consent form was received before executing art therapy, and at each therapy session, a recording, observation log, art work, the journal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and the interview log were collected. During the process, the participant created five experiential stories: “abandoned child,” “dumb child,” “reward for me,” “I would like to forgive”, and “new challenge.” The meanings behind these stories were as follows: “forgotten emotions are revived,” “filling up the empty space made by deficiency,” and “discovering myself within deficiency.” The implications of what was revealed through this inquiry can be expanded into “wounds from affection trauma,” “negligence is also severe abuse,” and “child abuse is a social issue.”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에서 미술치료 연계 경험을 가진 근무자의 미술치료 인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윤경(Kim, Yun-Kyoung),전종국(Chun, Chong-Gouk)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ocial workers perceive art therapy and what it means to conduct art therapy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used by purposeful sampling by three people with experience in art therapy as welfare workers who had worked more than 10years.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on three people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art therapy qualitatively. From January 2020 to April 2020, three research participant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pre-interviews, in-depth personal interviews, phone calls, e-mails, and social network service. In the process of the inquiry, the meaning of art therapy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revealed that “art therapy leads to empathy”, “art therapy is a collaborator towar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common goals”, and “a belief in art therapists”. This process of inquiry provid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s well as find the meaning of art therapy in clinical sites calle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rom this inquiry, I gained a guideline that redefines my role as an art therapist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provides better art therapy services.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에서 미술치료를 연계한 경험이 있는 근무자들이 미술치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사회복지기관에서 실시되는 미술치료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의 선발은 목적표집으로 10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서 미술치료사업을 담당하고 있거나 연계한 경험이 있는 3명을 선정하였다. 3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업무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3명의 연구 참여자와 2020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사전면담, 개인 심층면담, 전화와 메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탐구의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복지기관에서 미술치료의 의미는 ‘미술치료는 공감으로 이끈다’와 ‘미술치료는 사회복지실천과 공동의 목표를 향해가는 협력자이다’이며 ‘미술치료사를 믿는다’로 생성되었다. 이러한 탐구의 과정은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사회복지기관이라는 임상현장에서 미술치료가 갖는 의미를 찾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기관에서 미술치료사로 근무하는 나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좀 더 나은 미술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성교육으로서의 마음챙김 명상

        윤병수 ( Yoon Byung Soo ),전종국 ( Chun Chong Gou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전인격적인 접근 필요성을 인식하고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마음챙김 명상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마음챙김 명상이 인성 요소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조사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연구들을 확인했다. 마음챙김 명상 효과는 인성과 관련성이 높은 주의조절효과, 정서조절 효과, 정서반응성 및 인지적 유연성 효과, 대인관계 증진 효과, 공감력 효과, 및 자기연민 효과 기반에서 확인했다. 청소년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 적용의 효과는 학교에 기반을 둔 연구와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구분하여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는 인성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했고 마음챙김 명상이 인성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그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논의에서는 마음챙김의 특징과 인성 요소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인성교육의 방법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하는데 현실적인 한계를 제시하고 적용 방안을 제안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mindfulness meditation as a part of personality education by the necessity of a holistic approach to adolescent mental health. In order to confirm the releva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o the personality factor, confirmed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studies that applied mindfulness meditation to adolescents.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was confirmed on the basis of attention control effect, emotion control effect,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e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motion effect, empathy effect, and self-compassion effect, which are highly related to personality. The effect of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to adolescents was confirmed by dividing the results of a school-based study and a study without school-bas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element of personality, and the possibility of mindfulness meditation as a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was confirmed. In the discu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and personality elements was explained, and practical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as a method of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전종국,박중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再活科學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적응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적응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학교부적응 중고생 19명을 대상으로 5일간 집단상담 형식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과 사후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와 부모가 실시하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사후 비교 결과,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에서 총점과 공격성 하위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에 의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에서는 사회성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기간의 집중적 개입을 통해 참가자의 자기행동 평정에서 감소된 문제행동 및 보호자 평정에서의 사회성 증진 결과는 개입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t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upport-based group counseling on decreasing problematic behaviors of juvenile delinquency. The participants were 19 students(male=6 and female=13) who were treated as juvenile delinquency. The program is consisted of scoiodram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sex education, career exploring, parental training, and mentoring. The length of program is 35 hours in the five-days workshop. Measures are K-YSR(Korean version of Youth Self Report, Achenbach, 1991) and K-CBCL(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Achenbach & Edelbrock, 1983).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overall scores of K-YSR particularly on aggression subscal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n sociality in K-CBCL. In conclusion, this program showed partial effects of decreasing problematic behaviors of juvenile delinquency.

      • KCI등재

        동성애자의 인물화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경희,최은영,전종국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rtrait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sexes in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and between gays and lesbians. There were 33 gays and 34 lesbians in a experimental group, and 29 heterosexual men and 34 heterosexual women who lived same area and were in similar age groups in a comparison group. The assessment methods was the Portrait Drawing Test (Urban, 1963) with 353 characteristic items.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the image characteristics in the portrait test were calculated and listed by number, and also, x²(chi-squares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differences in 'drawing opposite sex first' between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male portrait between gays and heterosexual men, gays expressed more difficulty and stress in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contact, sex role confusion than heterosexual men. In female portrait, gays showed more difficulty and stress in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contact, sexual expression of female body, and big and prominent eyes known as homosexual characteristic than heterosexuals. Second, in male portrait between lesbians and heterosexual women, lesbians had more omissions of ears than heterosexual women. Heterosexual women expressed more passive, dependable, sexual control characteristics, and the others had more nose omission which was symbolized as female sex role conflict and homosexual tendency in female portrait. Third, in male portrait between gays and lesbians, gays had more expressions on stress about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contact and desire for control than lesbians. On the contrary, lesbians expressed more identification with male image or sexual role confusion or conflict. In female portrait, lesbians had more sexual role confusion or conflict than gays. Fourth, in‘drawing opposite sex first’among homosex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