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軍) 초급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조직 몰입과 자율적 기능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전윤미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초급부사관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조직 몰입 및 자율적 기능을 향상시키 기 위한 마음챙김 기반의 인치지료(MBCT) 프로그램을 수정 후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총 8회기로 구성된 MBCT프로그램을 군(軍)이라는 특수 환경을 고 려하여 히타 요가를 제거 한 후 걷기명상을 추가하여 2회기 짧은 총 6회기로 새롭게 구성하여 진행하 였다. 연구 대상은 초급 부사관은 총 50명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은 23명, 1회로 진행되는 심리교육에 참여는 27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한주에 한번 120분씩, 총 6회기가 실 시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기반의 인지치료(MBCT)가 직무 스트레스와 정서적 조직몰입 및 자 율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통한 두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차이검증을 진행하고,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변인 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후 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변인별 사전-사후 대한 Cohen(1988)의 효과크기(d)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자기보고 측정 결과 자율적 기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통제에 대한 민감성이 유의미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고 또 효과성 크기 또한 통제에 대한 민감성은 아 주 높음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자율적 기능 또한 보통 수준의 효과성 크기가 나타났는데 직무스트레 스, 정서적 조직몰입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그리고 사후 자기보고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차이와 증가 폭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개입을 통해 다양한 외부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욕구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여 자율적 선택능력을 기여 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 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i to investigate A Study on the Effects of MBSR program designed based on cognitive therapy(MBCT) on Junior Officers of Armed forces for Job Stres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utonomous Functioning. MBCT were consisted of 6 sessions in which mindfulness were foc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fty Junior Officers of Armed forc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MBCT) or the control group(education). ANCOVA, Paired t-test, is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BCT.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increase in Autonomous Functioning and low susceptibility to control but not increase in Job Stres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junior Officers of Armed forces in experiment group showed conscious of one's desires and autonomous choice. This paper end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재배 황기의 Phenolic Compounds 함량의 변이

        전윤미,김은혜,임주진,김성협,김승현,임정대,최대성,최유순,유창연,정일민 한국약용작물학회 2012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0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astragalosid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etween the phenolic compound groups, flavonoids compounds (51.13%) had higher average concentrations than the phenolic acids groups. Among the 30 phenolic compounds, quercetin (353.11μg g-1) provid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cultivation year, 3-year-cultivated Astragalus (2612.57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days, 6/5 harvesting Astragalus (2615.80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acids. Comparison between the top and subterranean parts of harvested Astragalus plants cultivated for 2 years, 3 years, and 5 years showed big differenc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concentrations. Further, the top part had higher amou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than the subterranean part among all Astragalus. This tendency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op root and lateral root. The concentr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the top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eral root.

      • KCI등재

        심리사회적 성숙과 대학생활 적응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전윤미,정봉교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study was explore how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maturity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The analyses were conducted from 487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self-regulation was an important concept in college student adjustment. The analyses also revealed that psycho-social maturity interacted with college student Adjustment and volitional inhibition mode was an important concept in college student adjustment. Specifically, college student adjustment by improving volitional inhibition mode. Lastly, some implications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성숙과 대학생활 적응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신입생 전원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 이공계 계열 대학생으로 487명(남자 346명, 여자 141명)이 참여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심리사회적 성숙도, 대학생활 적응도, 자기조절능력 검사로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심리사회적 성숙도, 대학생활 적응도, 자기조절능력은 서로 신뢰하고 상호작용에 유의미 하였으며, 기존연구인 심리사회적 성숙과 대학생활 적응에 자기조절능력을 추가하면 설명량이 증가해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조절 중 외부 통제와 타인으로부터 발생되는 목표설정, 감정 등을 조절하는 의지적 억제 하위요인만 유의미한 설명량을 나타내었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조절하는 자기조절 양식은 유의미한 설명량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의지적 억제 향상이 대학생활의 적응을 시사해 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목표유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목표중심자기조절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전윤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study was explore how the mediating effects of Goal-Focused self-regulation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Goal Types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The Self-determination scale, Goal Types scale, college student adjustment scale, Goal-Focused self-regulation scale, completed by 299. In correlation analysis, self-determination, Goal Typ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erification, the study model performs in terms of fit. Unexpectedly, when Goal-Focused self-regulation is entered as mediating variables, Goal Types positively predicted impaired college student adjustment. However, the former negatively predicted the latter through impulsivity and Self-determination. Consequently, the results support that Self-determination, Goal Types as well as Goal-Focused self-regulation are necessary to predict impaired college student adjustment. Hence, intervention to promote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increase Self-determination, Goal Types should be implemented to college student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목표유형과, 자기결정성 간의 관계에 목표중심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9명(남자 69명, 여자 260명) 대상으로 목표유형 척도, 자기결정성 척도, 대학생활 적응도, 목표중심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검사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진행하였다. 우선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한 뒤 마지막으로 직·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변인 간의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활 적응 중 학업적 적응만이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모형의 모델 적합도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셋째, 목표중심자기조절이 매개변인으로 투입되자 목표유형과 자기결정성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및 부적 예측을 나타내어 부분 및 완전 매개효과를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 자기결정성, 목표유형, 목표중심자기조절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즉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목표달성을 위한 정서조절과 긍정적 사고가 포함된 목표중심자기조절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정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적응 대학생의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전윤미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9 교정상담학연구 Vol.4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goal-focused self-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tudy uses the mediation effect test procedure by Baron and Kenny(1986) to self-determination affect well-being. Also based upon the result, it verifies its path model.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4 college students(male 74; female 203) in Busan and Daegu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k their goal-focused self-regulation(GF-SRS)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self-determination theory(SDT). The survey found following: First, in correlation analysis,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econd, goal-focused self-regul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by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affect. Third,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erification, the study model performs in terms of fit. Unexpectedly, when self-determination is entered as mediating variables, goal-focused self- regul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were lowered and part mediation was found. Consequently, the results support that goal-focused self-regulation as well as self-determination are necessary to predict impaire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Hence, intervention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and increase goal-focused self-reg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부적응 학생이 목표중심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 관계에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은 부산과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재학생 중 대학생활 부적응척도를 통해 학교생활부적응자를 선별하였고, 총 304명(남학생 74명, 여학생 203명)이 참여하였다. 질문지는 목표중심 자기조절척도(Gf-SRS), 자기결정성이론 척도, 삶의 만족도척도(SWLS)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목표중심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관계에 자기결정성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적으로목표중심 자기조절과 삶의 만족의 상관관계를 실시 한, Baron과 Kenny (1986)의 매개회귀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중심 자기조절, 자기결정성 및 삶의 만족도는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목표중심 자기조절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연구모형의 모델 적합도는 적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부적응 학생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해 스스로 결정하고선택하는 자기결정성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을 모두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관한시사점과 제언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자존감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전윤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과 역랑강화를 위해 자아존중감과 메타인지를 향상시키고자 온라인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4회, 문제해결 능력 4회 총 8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1∼2회 진행되었고 회기당 90분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일부 지역 성인학습자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총 30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류는 무선배치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이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집단 간 t-test를 실시하고 혼합설계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변인 내 변화를 살펴보았다. 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paired t-test를 실시한 후 Cohen(1988)의 효과크기(d)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은 사후검증의 평균과 표준편차에서 자아존중감과 메타인지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자아존중감은 사전-사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메타인지는 메타인지 모니터링, 메타인지 기술, 메타인지 기술만이 사전-사후 유의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학습자가 온라인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메타인지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프로그램 참여가 앞으로 성인학습자의 진로설정과 전공능력 향상 및 재취업에 긍정적 영향 미침을 시사한다. 또 문제해결방안, 자기조절 능력도 향상되어 안정적인 대학생활 적응과 역량 강화에 기여됨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한다.

      • KCI등재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 변화에 관한 실행연구

        전윤미,이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1

        Us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explores changes in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rough story sharing activities. After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implementing story sharing activities with seven four-year-old children, we found the following. Firs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elped the children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who were different from them. The children showed a decrease in prejudice toward other cultures after reading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econd, in the early stage of book reading and sharing, the children showed ethnocentric cultural attitude, being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culture and others' with defensive mechanism against differences. Third, as the activities progressed, the children came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s a culture like their own, and reached to the stage of accepting differences. They also showed the stage of adaptation to differe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seeing events from perspectives of different cultures. Toward the end of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the children showed the integration of difference, being able to incorporate themselves and others together into a world of coexistence. Therefore, the multicultural story reading and sharing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lticultural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ed by Bennett and Bennett (2004). 본 연구는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만 4세 유아 7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그림책은 유아들에게 나와 다른 사람을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매체였다. 유아들은 다문화그림책을 읽음으로 인해 기존에 다른 문화에 가졌던 편견이 자연스럽게 감소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초기에는 문화를 보는 관점이 자문화 중심적이었으며, 타문화에 대한 문화적인 차이는 인식할 수 있지만 타문화에 대해 방어 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타문화도 자신의 문화와 같은 맥락의 문화이고 자문화 역시 여러 문화들 중에 하나라는 것을 인정하는 수용의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 후 감정이입을 통해 타문화를 이해하고 타문화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적응의 단계도 보였다.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활동이 끝날 무렵에는 자신을 포함한 타인도 세계 안에 속한 ‘나’이자 ‘우리’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통합의 단계까지 도달함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Bennett와 Bennett(2004)가 제시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소도시 1학년 여자중학생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전윤미,이용주 한국취업진로학회 2022 취업진로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중소도시 1학년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에 따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진로탐색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교육 향상을 위해 자아정체감과 가치관 명료화 3회, 진로탐색을 위해 진로 유형 탐색, 진로 찾기 및 진로준비 등 6회로 총 9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9회기로 진행되었고 회기 당 45분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여자중학교 1학년 총 36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9명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집단의 사전 동일성 여부를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paired t-test를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Cohen(1988)의 효과크기(d)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사후검증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정체감 전체, 독특성, 자기주장, 자기존재인식에서도 유의마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수준의 경우 진로 및 전공선택 확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중1 여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자신감과 자아정체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에 기여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무소진과 자율성 및 직무몰입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 효과 연구: 군 초급간부 대상으로

        전윤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si to investigate a study on the effects of MBSR program designed based on cognitive therapy (MBCT) on military junior officers for job burnout, job engagment and autonomous functioning. MBCT were consisted of 6 sessions in which mindfulness were foc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fty military junior officer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MBCT) or the control group (education). ANCOVA, Paired t-test, is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BCT on the,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increase in job burnout, autonomous functioning and low susceptibility to control but not increase in Job Engag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military junior officers in experiment group showed conscious of one's desires and autonomous choice. This paper end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본 연구는 군 초급간부 대상의 직무소진 감소와 자율성 및 정서적 직무 몰입을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의 인지치료(MBCT)프로그램 재개발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8회기로 구성된 MBCT프로그램을 군(軍)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총 6회기로 구성하며 히타요가를 제거하고 걷기명상을 추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급간부 총 44명으로 프로그램 참여자인 실험집단 25명과 통제집단 21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1회, 120분씩 진행되었고, 마음챙김 기반의 인지치료(MBCT)가 직무소진과 자율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t-test를 통한 두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차이 검증을 진행하였다. 또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변인 내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후 효과의 유의함을 살펴보고자 변인별 사전-사후에 대한 Cohen(1988)의 효과크기(d)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직무소진의 감소를 나타냈고 자율성은 향상되었다. 또 직무소진에서는 정서적인 자원고갈과 조직관계에서는 비인격화의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자율성은 통제에 대한 민감성만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나타냈으나 정서적 직무몰입은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그리고 사후 자기 보고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차이와 증가 폭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개입을 통해 지속적인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및 예방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