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캡슐화-탈수화-유리화에 의한 국화 품종 '화이트 엔디' 신초의 초저온 동결보존

        전수민,김창길,Jeon, Su Min,Kim, Chang Kil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慶北大農學誌 Vol. No.

        본 실험은 국화의 바이로이드 제거에 이용되는 초저온처리 시 국화 품종 'White ND'을 적합한 처리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초저온처리의 단계별 요인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생장점의 크기는 1 mm(엽원기 2~3매 포함)에서 높은 생존율과 신초 재생율을 나타내었고, vitirification 처리시 PVS3가 효과적이었으며, 처리 시간은 60분 처리 하였을 때 높은 생존율 및 정 상 신초 재생율을 보였다. 또한 vitrification을 위한 전처리 조건은 sucrose 농도를 88 mM 24시간, sucrose 0.3 M 16시간, sucrose 0.5 M 6시간, sucrose 0.7 M 3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 초저온 처리 후 생존율 및 신초 재생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재생된 정상 식물체는 모본과 비교하여 ploidy level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식물체의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yopreserving Chrysanthemum morifolium cv. 'White ND' shoot tips for eliminating viroids. As a result, smaller shoot tips (2-3 LP, 1mm) showed a better survival and regrowth than larger shoot tips (4-5 LP, 1.5mm). The most effective vitrification solution for survival and regrowth was PVS3, which induced a high survival rate after 60 minutes of incubation. For a high efficiency, the best pre-treatment condition for vitrification was incubation in 88 mM sucrose for 24 h, 0.3M sucrose for 16 h, 0.5 M sucrose for 6 h, and 0.7 M sucrose for 3 h, in a descending order. The ploidy levels were the same in the mother plants and following cryopreservation, which confirmed the absence of any gene mutation.

      • KCI등재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AGV의 교착방지를 위한 주행영역 예약 표 작성방법

        전수민,김갑환,Jeon, Su-Min,Kim, Kap-Hwa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8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교착방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교착방지 알고리즘은 많은 계산시간을 소요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경로에 대해서 예약스케줄을 작성하여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예약 스케줄 표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예약 스케줄 표 방식은 그때그때의 주행경로에 대한 예약스케줄링을 위하여 계산시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AGV의 실시간 운영을 위하여 유용한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Automated Guided Vehicles (AGVs) are important equipment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To utilize AGV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from a position to another, the deadlock is a serious problem that must be solved before they are deployed to real operations. This study assumes that traveling area for AGVs are divided into a large number of grid-blocks and, as a method of traffic control, grid-blocks are reserved in advance during the travel of AGVs. The purposes of the reservation are to make the room between AGVs and to prevent deadlocks. Because the size of an AGV is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a grid-block on guide paths, this study assumes an AGV may occupy more than one grid-block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able of reservation schedules by using a simulation. A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eservation method in this study.

      • KCI등재

        수열합성법으로 성장된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특성 및 열처리 효과

        전수민,김민수,김군식,조민영,최현영,임광국,김형근,이동율,김진수,김종수,이주인,임재영,Jeon, Su-Min,Kim, Min-Su,Kim, Ghun-Sik,Cho, Min-Young,Choi, Hyun-Young,Yim, Kwang-Gug,Kim, Hyeoung-Geun,Lee, Dong-Yul,Kim, Jin-Soo,Kim, Jong-Su,Lee, Joo 한국진공학회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4

        수열합성법으로 실리콘 (111) 기판 위에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전, 실리콘 기판에 스핀코팅법으로 씨앗층을 성장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로 $140^{\circ}C$에서 6시간 동안 성장하였고, 아르곤 분위기에서 300, 500, $700^{\circ}C$의 온도로 2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X-ray diffraction (XR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photoluminescence (PL)를 이용하여 열처리한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산화아연 나노막대 시료에서 c-축 배향성을 나타내는 강한 ZnO (002) 회절 피크와 약한 ZnO (004) 회절 피크가 나타났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residual stress는 compressive에서 tensile로 변하였다. Hexagonal 형태의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관찰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PL 스펙트럼은 free-exciton recombination에 의해 3.2 eV에서 좁은 near-band-edge emission (NBE) 피크와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결함에 의해 2.12~1.96 eV에서 넓은 deep-level emission (DLE) 피크가 나타났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열처리함에 따라, NBE 피크의 세기는 감소하였고 DLE 피크는 열처리에 의해 발생한 산소 관련 결함에 의하여 적색편이 하였다. Vertically aligned ZnO nanorods on Si (111) substrate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The ZnO nanorods on spin-coated seed layer were synthesized at $140^{\circ}C$ for 6 hours in autoclave and were thermally annealed in argon atmosphere for 20 minutes at temperature of 300, 500, $700^{\circ}C$. The effects of the thermal annealing on the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grown on ZnO nanorods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photoluminescence (PL). All the ZnO nanorods show a strong ZnO (002) and weak (004) diffraction peak, indicating c-axis preferred orientation. The residual stress of the ZnO nanorods is changed from compressive to tensile by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The hexagonal shaped ZnO nanorods are observed. The PL spectra of the ZnO nanorods show a sharp near-band-edge emission (NBE) at 3.2 eV, which is generated by the free-exciton recombination and a broad deep-level emission (DLE) at about 2.12~1.96 eV, which is caused by the defects in the ZnO nanorods. The intensity of the NBE peak is decreased and the DLE peak is red-shifted due to oxygen-related defects by thermal annealing.

      • 학교 건축물 에너지성능의 건축설계 사양에 따른 학교급 조절효과 분석

        전수민(Sumin Jeon),최경석(Gyeong-seok Choi),강재식(Jae Sik Kang)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이 연구에서는 학교급(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따라 난방에너지요구량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설계 사양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을 취득한 학교건축물의 ECO2 평가 입출력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절차는 첫째, 학교급별 난방에너지요구량 분산 분석을 통해 건축설계와 관련된 에너지성능이 학교급에 따라 동일함을 증명하였다. 둘째, 건축설계 요인에 따른 학교급의 조절효과분석을 통해 에너지성능에 대한 학교급별 부위별 열관류율, 향별 창면적비, 부위별 평균열관류율의 설계 사양의 차이가 없으나 학교급에 따른 침기율의 사양의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연구는 근래의 신축 학교의 학교급별 건축설계 사양의 유사성을 통계적으로 증명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품질기준 변경 전후 사후관리 시험결과 비교

        전수민(Soo-Min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자가 처리하는 순환골재 중 국토교통부에서 정한 품질기준을 충족하는 특정 용도의 골재는 사업장심사 및 품질시험을 거쳐 품질인증 받을 수 있다. 품질인증용도는 도로보조기층용 골재, 콘크리트용 굵은골재,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아스팔트콘크리트용 골재 총 4종인데 이중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품질시험 합격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동 잔골재의 9가지 품질항목 가운데 밀도 또는 흡수율이 부적합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취약한 두 품질항목에 대하여 국토교통부는 2017년 12월 품질기준을 강화한 바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품질시험결과가 어느 정도 부적합한 지 실제 사후관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기 기준 강화 전후 품질시험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기준 강화 이후 두 품질항목에 대한 유의미한 품질향상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품질인증 받은 순환잔골재에 대한 기준 강화 전후 각 3년간의 사후관리 품질시험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기준 강화 이후 상향된 기준 적용에 따라 밀도 및 흡수율 항목의 합격률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밀도 및 흡수율 물성 자체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품질향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Among recycled aggregates treated with intermediate processors of construction waste, some are used for special purposes. These aggregates satisfy the quality standard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and can be certified through workplace inspections and quality testing. There are four types of aggregates for quality certification, i.e., aggregate for road auxiliary layers, aggregate for concrete, fine aggregate for concrete, and aggregate for asphalt concrete. Among them, fine aggregate for concrete has a relatively low passing rate of quality testing. It has been noted as inappropriate in terms of the density and absorption rate among the nine quality criteria. In response to this low-quality performanc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strengthened the quality standard since December 2017. This study entailed a detailed review of the actual post-operative care and quality testing results of the fine aggregate recycled for concrete. These tests measured the extent of the inappropriateness of density and absorption rate. The quality testing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aforementioned standard revision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criteria achieved significant quality improvement. A comparison of the post-operative quality tests over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each revision of the standard, showed that the passing rate for density and absorption rate had decreased slightly, owing to the increased standard. Nevertheless, significant quality improvement was achieved for the two material properties.

      • KCI등재

        양파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안면 마스크 팩의 주름 개선 효과

        전수민(Soo-Min Jeon),최문희(Moon-Hee Choi),이용조(Yong-Jo Lee),신현재(Hyun Jae Shin) 한국생물공학회 2013 KSBB Journal Vol.28 No.6

        In this study, the domestic onion skin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anti-wrinkle effect of the ethanolic extract. The onion skin has been known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antioxidant including quercetin. Solvent extraction by 80% ethanol was carried out of the onion skin. The high amount of quercetin have been identified using HPLC as a bioactive compound. The extraction yield of the quercetin increased according to temperature up to 80℃. Two different antioxidant assays (DPPH and AB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onion skin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EC50 of DPPH) of the vitamin C and the onion extracts were 2.2 and 5.09 μg/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BTS tests were 2.33 (of vitamin C) and 2.40 μg/mL (of the onion extracts), respectively. In a clinical study, a panel of 10 female volunteers between the ages of 30 and 40 (mean age: 42 years) was given a mask pack containing 1% of this extracts for 4 weeks. It was shown that a high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eep and moderate wrinkled was obtained with those treated with this onion extrac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duction in deep wrinkles increased with time. Eye wrinkle were re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application of the proper topical cream and mask pack containing onion skin extracts has therefore shown to be effective enhancing anti-wrinkle activities.

      • KCI등재

        콘크리트용 순환굵은골재 품질인증에 대한 사후관리심사와 품질시험 결과 고찰

        전수민 ( Soomin Je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8 No.6

        The recycled coarse aggregates for concretes that meet the quality standards se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re certified based on the audit and test results. After certification, follow-up management which includes audits and tests are conducted every year. In this pap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t and the test results was examined. Specifical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 audit of coarse aggregates conducted in 2020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uitability of each inspection item and the quality test result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audit results and the test results.

      • KCI우수등재

        BIM 모델상세수준 및 개발수준(LOD)에 따른 에너지성능지표(EPI) 평가가능항목 도출 연구

        전수민(Sumin Jeon),최경석(Gyeong-seok Choi) 대한설비공학회 2021 설비공학 논문집 Vol.33 No.1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in terms of Level of Detail and Level of Development i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o that EPI (Energy Performance Index) scoring could be estimat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using BIM. First, a flow chart to check EPI scoring standards and mandatory criteria by building types was drawn based on current regulations. Second, requirements for users (input information) and systems (information and points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Level of Detail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coring requirements of architectural items on EPI. Third, a checklist to check the timing for adopting and scoring of architectural items in EPI by Level of Development were deduced using results from the previous step. This study provides ways to optionally adopt method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i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t can be used as a basic knowledge of system requirements to introduce rule checking of EPI in BIM.

      • KCI등재

        한국의 기능적 소득분배와 총수요:

        전수민(Jeon, Su-Min),주상영(Joo, Sang-Yo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6 사회경제평론 Vol.29 No.3

        한국경제는 임금주도체제인가 이윤주도체제인가. 이에 대한 판정 여부도 중요하지만 그 정도를 가늠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성장체제의 전환 가능성을 고민하는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바 있는 Hein and Vogel(2008)의 단일 방정식 접근에 따라 한국경제의 임금주도성 여부를 재검토해 보았다. 보정 된 분기별 노동소득분배율을 이용하여 외환위기 전후를 분석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1%p 상승이 위기 이전에는 총수요를 0.08%p 증가시키지만, 위기 이후에는 0.26%p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이전과 이후 모두임금주도성을 보이지만, 고도성장을 감안하면 위기 이전에는 임금주도성이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잠재성장률의 하락 등 저성장 기조로 접 어든 위기 이후의 기간에 대한 해석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 전에 비해 임금주도성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화된 것이다 Is the Korean economy wage-led or profit-led? Judging about that is important, but it is also important as well to gauge the extent. It is especially so when pondering upon the desirability of growth regime switches. In this point of view, we reinvestigated the wage-led property of Korean economy based on the single equation approach of Hein and Fogel (2008)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previous literatures at home and abroad. We modified quarterly labor income shares to see whether the economy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1997-1998 currency crisis. We found the 1%p rise in labor share increased the aggregate demand by 0.08%p during the pre-crisis period, and by 0.26%p during the post-crisis period. However, considering remarkably rapid growth before the crisis, we can hardly say that the economy was wage-led in those days. By contrast, the demand effects of labor share seem significantly large in recent economic environment of much slower growth.

      • KCI등재

        산업구조변화가 고용 및 생산에 미치는 영향

        전수민 ( Su-min Je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산업구조의 변화는 경제 전체의 생산성 정체와 경제성장률 둔화의 요인이 된다. 통상 한 국가의 경제발전이 성숙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제조업의 비중이 서비스업의 비중으로 이행하는 탈공업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우리나라도 1990년대 이후 고용 부문에서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증가율의 격차로 연결된다. 최근 2010년대 들어 노동생산성 증가율과 경제성장률의 하락으로 산업 간 자원배분이 원활하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벗어나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산업 간 생산성 제고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노동생산성의 추이와 관련된 생산성의 변화를 요인분해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산업구조변화가 고용 및 생산 비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패널분석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노동생산성 요인분해의 결과는 전산업과 제조업, 서비스업 모두 산업 내 생산성 효과(Intrabranch effect)가 정태적 효과(static shift effect)와 동태적 효과(dynamic shift effect)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1993년~2019년까지 고용 이동이나 부문간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보다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개선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여 전체 노동생산성의 상승을 유도한 결과이다. 또한 정태적 효과와 동태적 효과의 부호는 산업별로 다른 결과를 보였지만 동태적 효과의 음(-)의 부호가 더 크게 나타나 생산성이 높은 산업에서 낮은 산업으로 고용의 이동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Baumol의 구조적 부담가설이 성립한다는 결과이다. 한편, 제조업은 세부 업종 간에 정태적 효과와 동태적 효과의 결과로 생산성이 낮은 업종에서 높은 업종으로 고용의 재배분이 이루어졌으나 효과의 크기는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정태적 효과(+)와 동태적 효과(-)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생산성이 높은 업종으로 고용 이동이 빠르게 진행됨과 동시에 노동생산성의 증가세가 빠른 업종에서 느린 업종으로 고용이 이동되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패널분석 결과, 산업별 고용 비중과 생산 비중은 노동생산성과 노동소득분배율, 자본집약도,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생산성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생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노동생산성과 고용은 노동생산성이 높은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이는 패널분석에서도 Baumol의 가설이 성립한다는 결과이다. 또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은 가계소득의 증대로 이어져 총수요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본집약도는 자본과 노동이 대체관계인지 보완 관계인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는데, 전산업과 제조업은 자본과 노동이 대체관계로 작용하여 고용 및 생산에 역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업은 보완관계로 작용해 고용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였다. 해외직접투자는 국내 생산과 수출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어 고용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만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업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차 산업의 확산이나 기술혁신,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융복합화 등 국내 산업의 질적 변화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수출의존도가 높을수록, 수입의존도가 낮을수록 고용과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질실효환율의 하락(원화가치 하락)은 전산업과 제조업에서만 고용 비중을 줄이고, 생산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끝으로, 부가가치는 고용 비중의 증가에 강하게 작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생산성이 낮은 산업에서 높은 산업으로 자원배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노동생산성 향상이 생산증가를 통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지만 고용 비중을 줄이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산업별 고용 비중은 노동생산성과 같은 공급측 요인보다는 부가가치와 같은 수요측 요인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원의 재배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산업정책이 필요하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 및 성장을 위해서는 수요 기반의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contribute to stagnant productivity of the entire economy and slowing economic growth. Usually, when a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enters a mature stage, there is a deindustrializ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share of manufacturing is transferred to the share of the service industries, and Korea has been fast in the employment sector since the 1990s. This phenomenon leads to a gap in productivity growth rates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Recently,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among industries is not smooth due to the decline in lab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n the 2010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roductivity related to the trend of labor productivity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conomy, recognizing that it needs to increase productivity between industries and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in order for it to leap out of its low growth trend. In addition, panel analysis was conducted on how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ffect the share of employment and production. The main results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ffects of labor productivity factor decomposition were greater than static and dynamic effects in all industr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is led to a rise in overall labor productivity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being more effective than by employment movement or inter-sector interactions from 1993 to 2019. In addition, the signs of static and dynamic effect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industry to industry, but the negative signs of dynamic effects showed a greater shift in employment from a highly productive industry to a lower industry. This is the result of Baumol’s structural burden assumption on the Korean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been redistributed from less productive to higher industries as a result of static and dynamic effects among detailed industries, but the effectiveness has been low. The service industry had different results in static and dynamic effects. These results mean that employment shifts rapidly to highly productive industries, while employment shifts from fast-growing to slow industries. Next, according to panel analysis, the share of employment and production by industry are affected by labor productivity, labor income share, capital intensity, export dependence and import dependence. Labor productivity has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but it has a positive impact on production. In general, labor productivity and employment may be expected to increase employment in industries with high labor productivity, but in practice, the consequences of the share of employment were not. This is the result of Baumol's hypothesis in panel analysis. The increase in labor income share also led to an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driving aggregate demand or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capital intensity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capital and labor are alternatives or complementary, in which all industries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shown to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production as capital and labor are alternatives.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industry acte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o attract employment.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and production as it replaces domestic production and exports, but only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These results may vary slightly by industry, but they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changes in domestic industries, such as the spread of the fourth industry, technological innovation, advancement and convergence of major industri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exports, the lower the dependence on imports, the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d production, and the decrease in the real effectiveness exchange rate (decrease in won value) on all industries and manufacturing alone, an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roduction. Finally, value added has played a strong role in increasing the share of employ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from low-productivity industries to high industries should be done smoothly, but not in practice. Improving labor productivity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economic growth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but it was also a factor that reduced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The share of employment by industry has been shown to play a greater role in supply-side factors such as labor productivity, than in demand-side factors such as added value. Accordingly, sophisticated industrial policies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resource redistribution, and demand-based growth strategies are needed for employment and growth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