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GaAs/AlGaAs 양자세선의 전자기적 특성

        이주인,서정철,이창명,임재영 한국진공학회 2001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0 No.2

        GaAS/AlGaAS 이종접합구조 위에 Split gate로 양자세선을 제작하여 Shubnikov de Haas 진동 및 양자 Hall 효과 측정으로 1DEG의 전기적 특성을 관측하였다. Gate 전압이 증가할수록 채널폭이 좁아짐에 따라 ID 특성이 나타났다. Edge state 수송 이론인 Landauer-Butikker formula로부터 QHE plateau와 SdH 진동의 최소값이 나타나는 자기장 영역이 일치하지 않고 있는 현상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We have presente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quantum wire fabricated by split gate on GaAs/AlGaAs heterostructures by using the Shubnikov de Haas oscillation and quantum Hall effect measurements. We observed the 1D properties of the sample as increasing gate voltage. The misfit between quantum Hall plateau and minima in Shubnikov do Haas oscillations are interpreted as Landauer-B$"{u}$ tikker formula based on the edge state transport.port.

      • KCI우수등재

        InAs/GaAs 양자점의 단전자-정공 재결합 연구

        이주인,임재영,서정철 한국진공학회 2001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0 No.2

        InGaAs/GaAs 초격자 구조들 사이에 InAs/GaAs 양자점을 MBE로 성장하고 광특성을 측정한 결과 매우 균일한 양자점을 얻을 수 있었다. Self-consistent한 이론 계산으로부터 얻은 p-i-n 구조의 최적 조건으로 단일광자구조를 성장하고 단일광자소자를 e-beam lithography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전기적 특성인 I-V곡선에서 나타난 전기 이력현상으로부터 단일 전자와 단일 정공이 다른 전압에서 투과하여 단일 전자-정공 재결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As/GaAs quantum dots between InGaAs/GaAs superlattices were grown by MBE. The quantum dots size is shown to be very uniform by measuring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quantum dots. Single photon structures based on self-consistent calculation were grown and single photon devices were fabricated by e-beam lithography. The electrical hystereses of I-V curves for single Photon devices would result from single electron-hole recombination, where the resonant-tunneling voltages of electron and hole are different.

      • KCI등재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단모음 /기/를 중모음 /긔/로 발음하는 용례에 대한 연구

        이주인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In many cases of traditional vocal genres, the lyrics are sung in the way of pronouncing all the vowels and consonants composed of one syllable in a distinguishable way. When akjang (song lyrics in the form of a poem) of the jongmyo jeryeak (court music performed in the rites for royal ancestors) is sung, however, there is a tendency not to disjoint single vowels of a diphthong and final consonants of particular voiced consonants. This is speculated to be because the lyrics have a great meaning since they directly praise the virtues of the king. However, "gi" used in the lyrics of the jongmyo jeryeak's akjang is sung as a single vowel "gi" or a diphthong "gui" depending on the case. It is not depending on Chinese characters, but is pronounced in two ways even if the same Chinese character is used.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jongmyo jeryeak's akjang based on the Chinese dictionary Jeonun okpyeon in which diphthongs are written, four Chinese characters (其, 基, 幾, 機) to be corrected were found among eight Chinese characters of "gi" appeared 21 times in the lyrics of the akjang. When singing the Chinese lyrics "gi" of the jongmyo jeryeak's akjang, correctly pronouncing as a single vowel "gi" or a diphthong "gui" depending on the meaning would be the right way to inherit the tradition. 전통적인 성악 분야에서는 대부분 가사를 노래할 때 모음이나 종성인 받침을 풀어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종묘제례악 악장을 노래할 때는 중모음을 풀어서 발음하지 않는 경향과 종성에서 몇 개의 유성자음의 받침은 물어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선왕의 공덕을 직접적으로 찬양하므로 가사가 지닌 의미가 크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런데 종묘제례악 악장의 가사로 사용되는 /기/는 경우에 따라서 단모음인 /기/와 중모음인 /긔/로 노래하는데 한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한문을 쓰고 있어도 두 가지로 발음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중모음이 표기된 전운옥편에 근거하여 종묘제례악 악장의 뜻을 풀이하여 음을 맞추어 보았더니 악장의 가사로 사용된 /기/의 8개의 한문 21 가지 중 4개의 한문(其, 基, 幾, 機)에서 수정사항을 발견하였다. 종묘제례악 악장의 한문가사 /기/를 노래할 때 단모음/기/나 중모음 /긔/로 그 뜻에 맞추어 발음을 수정하는 것이 전통을 바르게 계승하는 방법일 것이다.

      • KCI등재

        가야금 정악보의 기보와 음역에 대한 연구 - 20세기 이후 발행된 악보를 중심으로 -

        이주인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정악을 기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야금 정악보는 율자보를 주로 사용한다. 황종(黃鍾)을 예로 들면 율자의 높낮이는 청탁(淸濁)이라 하여 한 옥타브 높은 음역에서는 청성(淸聲)의 청에서 삼수변(氵)을 사용하여 潢으로 쓰고, 청황종이라 읽는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에서는 배성(倍聲)의 배에서 사람인변(亻)을 사용하여 僙으로 쓰고 탁황종이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배(倍)의 연원을 알 수 없었다.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더니 『세조실록』 권48에서 ‘하4(下四), 하5(下五)는 배탁성(倍濁聲)이다’라는 글귀와, 『악서』에서 율관을 반(半)으로 줄이면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이 되고 두 배(倍)로 늘이면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이 된다는 황종 율관의 제작방법에서 배(倍)의 연원을 찾을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 율자보로 발행된 가야금 정악보는 11종이 있는데 㣴-仲, 僙-㳞, 黃-㴢의 3가지 음역으로 기보 되어있다. 그리고 오선보 음역 기보는 4종이 있는데 2종에서 E♭2–A♭4에서 㣴-仲을, 1종에서 E♭3–A♭5에서 㣴-仲을, 1종은 E♭3–A♭5에서 僙-㳞으로 기보 되어있다. 1920년대에 정악을 오선보로 처음 채보하였고,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현재 아악은 황(黃)=C4, 향악은 황(黃)=E♭4로 기보한다. 합주음악인 정악의 주요 악기들(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의 실제 음역을 측정하였더니 정악가야금의 음역은 E♭2–A♭4이고, 율자기보는 㣴-仲이 적합하였다. 정악에서 사용하는 음역에 대한 용어의 정립과 실음에 맞는 기보를 한다면 가야금 정악보가 보다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mong various notation systems used to notate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yuljabo (music letter notation) is often used for gayageum. In yuljabo, the pitch range of yulja (music letter) is called cheongtak (淸濁). For instance, hwangjong (黃鍾) is written as 潢 and called cheonghwangjong (淸黃種) using the water radical (氵) derived from the character cheong from cheongseong (淸聲). On the other hand, when indicating the lower register, called baeseong (倍聲), it is written as 僙 using the person radical (亻), derived from the character bae from baeseong (倍聲), and called takhwangjong. However, it was unclear from where bae (倍) was derived. Through my research, I have found the origin of the character bae (倍). From the 48th Annals of King Sejo, I have located a written passage where it says “hasa (the fourth lower note, 下四) and hao (the fifth lower note, 下五) are baetakseong (倍濁聲).” Moreover, I have also found its origin from the process of making a pitch pipe for hwangjong: “When you cut a pitch pipe in half (半), you get an octave higher note, and when you make it twice (du bae, 2 倍) longer, you get an octave lower not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11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sheet music books for gayageum using yuljabo have been published and three different ranges are used to notate music: 㣴-仲, 僙-㳞, 黃-㴢. Among the four music books using a staff, two books use E♭2–A♭4 (㣴-仲), one book uses E♭3–A♭5 (㣴-仲), and another book uses E♭3–A♭5 (僙-㳞). After undergoing several changes since jeongak was first written on a staff in the 1920s, currently hwang (黃) = C4 in aak (ritual music) and hwang (黃) = E♭4 in hyangak (indigenous music). By measuring the actual pitch ranges of the major instruments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in playing jeongak, which is often played as an ensemble, I have found that the pitch range of the gayageum is E♭2–A♭4 and thus concluded that the proper written range for yuljabo is 㣴-仲. In conclusion, if we unify the terms related to jeongak and write music based on the actual pitch range of the instrument, the gayageum jeongak music books will be more logical and utilized more conveniently.

      • KCI등재

        Auger processes in InGaAs QDs grown by droplet method

        이주인,Il Ki Han,F. Minami,Nobuyuki Koguchi,T. Kuroda 한국물리학회 200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3 No.42

        We present the carrier dynamics of InGaAs quantum dots with and without cladding layers grown by heterogeneous droplet epitaxy. Time-resolve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showed double exponential decays for the rst excited states, including an initial fast decay, of highly excited quantum dots with cladding layers in contrast to the single exponential decay in quantum dots without cladding layers. Moreover, the GaAs barriers had slow rise times of about 220 ps, which corresponded to the initial fast decay time of the rst excited states of quantum dot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Auger processes between the carriers in the GaAs barriers and those in the rst-excited states of quantum dots.

      • KCI등재
      • KCI등재

        [우수학술상]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음절 ‘애’가 선택된 이유에 대한 고찰

        이주인(LEE Ju-in) 국립국악원 2022 국악원논문집 Vol.45 No.-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묘제례악에서 선왕들의 공덕에 대한 찬양을 직접적으로 노래하는 악장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종묘제례악 악장에서는 가사 외에 음절 ‘애’가 첨가되어 있는데, 왜 하나의 모음 음절인 ‘애’만이 선택되어 종묘제례악 악장에 첨가되었는지 본 논문에서 고찰해 보았다.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가사외에 첨가될 음절이 필요하였다면 가사전달에 방해가 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였을 것이다. 자음은 단어의 의미가 발생할 수 있고, 허밍과 이중모음은 조음상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외하고 악장의 가사에 사용 되지 않은 단모음 2가지 중 음절 ‘에’가 악장의 가사에서 사용되지 않아 첨가되기에 적절하여 보였다. 음절 ‘에’는 음절 ‘애’와 매우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절로 현대 국어에서는 음절 ‘에’와 음절 ‘애’가 통합되었고, 풍안지악에서 음절 ‘애’ 다음에 음절 ‘헤’로 기보된점, 전통음악의 입타령에서 자주 음절 ‘에’가 등장하는 것을 바탕으로 두 음절의 혼동으로 음절 ‘애’가 기보되었을 수 있다는 가설에 따라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한글의 생성원리와 종묘제례악의 보태평과 정대업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무무의 음을 나타내는 정대업에는 음의 음절인 ‘에’를, 문덕의 양을 나타내는 보태평에는 양의 음절인 ‘애’를 선택하는 것이 종묘 제례악이 지니는 의미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진찬계의 음악에는 적합한 음절을 제시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음절 ‘에’는 ‘아, 에, 이, 오, 우’ 5모음 중에 가장 발성하기 힘든 모음이지만 고음 이행시에는 특히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었는데, 종묘제례악 악장에서는 고음으로 이행하는 선율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에’[e] < ‘에’[ɛ] <‘애’[æ] 순으로 개구도와 공명도가 커진다는 것을 모음사각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같은 음절 ‘에’이지만 개구도나 공명도가 더 큰 음절 ‘에[ɛ]’가 종묘제례악 음역에 적합하였고, 엑스레이로 확인해 봤을 때 조음시 혀의 위치가 비교적입 중앙에 있어 다른 음절과의 연결이 좋다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절 ‘애’[æ]는 들을이의 귀에 도달하는 에너지의 양인 소리의 전달력을 말하는 울림도가 가장 큰 음절이었고, 가창 시에는 음절 ‘에’보다 음절 ‘애’가 더 적합하며, 발성학적으로 다른 모음과 직결도 쉽게 될 수 있고, 두부공명을 얻기에도 매우 좋다는 점이 있었다. 실제 악장에서 가사로 사용되는 ‘애’는 ‘아 + ㅡ + ㅣ’로 나누어 발음하여 가사 외에 첨가 된 음절 ‘애’와 구분되고 있었고, 무엇보다 현대 국어에서는 음절 ‘에’와 음절 ‘애’가 통합되었지만 20세기 초반에는 두 음절이 구분되어 조음하고 있었다는 점은 종묘제례악 악장 악보가 기보될 당시 현행 종묘제례악 악장에서 가사 외에 첨가된 음절 ‘애’는 단순한 착오가 아니라 이유있는 선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kjang, songs that praise for the merits of the previous king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jongmyo jeryeak (court music for royal ancestral rites),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in the current akjang of jongmyo jeryeak , the syllable ‘ae’ is added in addition to the lyrics. This paper examines why only one vowel syllable, ae , was selected and added to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If a syllable to be added other than the lyrics was needed in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a method that would not interfere with the delivery of the lyrics would have been chosen. Since consonants can have meaning in words and humming and diphthongs have difficulties in articulation, it see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dd the syllable e , one of the two short vowels not used in the lyrics of the akjang.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syllable ae , which sounds very similar to the syllable e , may have been notated due to the confusion of the two syllables, based on the facts that the syllable e and the syllable ae are integrated in terms of pronunciation in modern Korean, that the syllable e is transcribed as the syllable ‘he’ , and that the syllable e is frequently occurred iptaryeong (meaningless vocable imitating vocal or instrument’s melody) of traditional music.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ages that the yin syllable e is used in Jeongdaeeop that represents ‘yin’ of mumu (court dance symbolizing knightliness) and the yang syllable ‘e’ is used in Botaepyeong that represents ‘yang’ of mundeok (civilian moral influence) are suitable for the meaning of jongmyo jeryeak , based on the creation principle of hangeul (Korean letters) and the yin-yang theory inherent in Botaepyeong and Jeongdaeeop of jongmyo jeryeak . However, there is a lack that it was not able to present suitable syllables for jinchan’gye music (music involving food offered at royal ancestral rites). The syllable e is the most difficult to pronounce among the five vowels of a, e, i, o, u,’ b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when making a transition to a high note; the melody that makes a transition to high notes was not used much in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ing degree and resonance increase in the order of e [e] < e [ɛ] < ae [æ]. The syllable e [ɛ], which is larger in terms of opening degree and resonance, was suitable for the jongmyo jeryeak range, and when checked by X-rays, it was found th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during articulation was relatively in the center of the mouth, which could serve as an advantage in terms of good connection with other syllables. The syllable ae was the one with the greatest resonance, which refers to the amount of energy that reaches the listener s ear, and is more suitable for singing than the syllable e .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other vowels, and it is also very good for obtaining head resonance. The syllable ae , used as lyrics in the actual akjang , was pronounced by dividing it into a + eu + i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yllable ae added to the lyrics. The fact that the two syllables were articulated separatel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even though they were integrated in modern Korean, indicates that the syllable ae added to the lyrics in addition to the lyrics in the current akjang of jongmyo jeryeak was not a simple mistake but a rational choice when the music score for the akjang of jongmyo jeryeak was not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