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M Zirconia 완전도재 구조물의 정밀 적합도에 관한 연구

        전미현,전영찬,정창모,임장섭,정희찬,Jeon Mi-Hyeon,Jeon Young-Chan,Jeong Chang-Mo,Lim Jang-Seop,Jeong Hee-C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5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3 No.5

        State of proble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 fabricated with CAM system is on an increasing trend in dentistry. However, evaluation of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of zirconia bridge seldomly have been reported.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t of margin and internal surface in posterior 3-unit zirconia bridge framework fabricated with CAM system(DeguDent, Germany). Material and Method: Preparations of secondary premolar and secondary molar on artificial resin model were performed for fabrication of 3-unit posterior bridge framework. Fits of 5 zirconia bridge framework were compared with 5 precious ceramo-metal alloy framework(V-GnathosPlus, Metalor, Switzerland), and prepared margins were designed to chamfer and shoulder finishing line. Each framework was cemented to epoxy resin model with reinforced glass ionomer(FujiCEM, GC Co., Japan),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sectioned in two planes,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Samples were divided into six pieces by sectioning and had two pieces of each surface(i.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urface) per abutment, so there were eight measuring points in each abutment. External gap was measured at the margin and internal gaps were measured at the margin, axial and occlusal surface. Gaps were observed under the measuring microscope(Compact measuring microscope STM5; Olympus, Japan) at a magnification of $\times100$. T-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 significance of the different gaps between zirconia and metal framework. Results and Conclusion: 1. External and internal marginal gaps of zirconia and metal framework were 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 External marginal gap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zirconia$(81.9{\mu}m)$ and metal $(81.3{\mu}m)$ framework and internal marginal gaps of zirconia $(44.6{\mu}m)$ were small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 $(58.6{\mu}m)$. 2. Internal axial gaps of zirconia framework$(96.7{\mu}m)$ were larg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78.1{\mu}m)$ significantly and adversely, internal occlusal gaps of zirconia frame-work$(89.4{\mu}m)$ were small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 $(104.9{\mu}m)$ significantly.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ternal and internal marginal gaps between chamfer and shoulder finish line when zirconia frameworks were fabricated.

      • 소통 교육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전미현(Mi hyeon Jeon),장정아(Jeong Ah Jang),김규태(Gyu Tae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This paper discusses what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is and the needs & usability of the LM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In order for the detailed discussion, we explores the standards of the global communication, and roles & functions of the LMS as a function of communication. The functions are compared for the cases of the pre-existing LMS at Korea University, the Blackboard and the Moodle (two world-lead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by assessing and comparing their availabilit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gather the comments on the LMS designed for the learners at engineering department.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utilization and the support of the LM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 온라인 활용 교육 운영 방안

        전미현(Mi hyeon Jeon),장정아(Jeong Ah Jang),최지예(Choi Ji Yee)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6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수학습 환경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의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에 있어서의 강의 공개와 교육역량 강화로 MOOC와 Flipped Learning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온라인 활용 교육의 국제적 확산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대학에서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교에서도 강의 공개와 교수학습에 있어 교육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온라인 활용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에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활용 교육 운영 방안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자 교수학습방법의 혁신을 위한 지속 가능한 온라

      • 소통 교육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전미현(Mi Hyeon Jeon),장정아(Jeong Ah Jang),김규태(Gyu Tae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6

        이 논문에서는 LMS가 무엇이며, ‘소통 교육’의 도구로서 LMS의 필요성과 활용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제적 소통의 기준이 무엇이며, 소통의 기능으로서의 LMS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해 탐색하였고, 고려대학교의 기존 LMS와 세계 LMS 시장의 양 축인 Blackboard 및 Moodle의 기능을 비교하여 소통의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LMS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활용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what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is and the needs & usability of the LM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In order for the detailed discussion, we explores the standards of the global communication, and roles & functions of the LMS as a function of communication. The functions are compared for the cases of the pre-existing LMS at Korea University, the Blackboard and the Moodle (two world-lead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by assessing and comparing their availabilit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gather the comments on the LMS designed for the learners at engineering department.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utilization and the support of the LM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 KCI등재

        재구성된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탈중앙형 자기 주권 신원의 안전한 비식별화 및 데이터 주권 관리

        조강우,전미현,신상욱,Cho, Kang-Woo,Jeon, Mi-Hyeon,Shin, Sang U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탈중앙형 SSI(Self Sovereign Identity)가 새로운 디지털 신원 식별 기술의 대안으로 등장하였으나 이는 데이터 거래의 고유 알고리즘 특성으로 인해 효율적인 비식별화 기법이 제안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SSI의 탈중앙형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ZKP(Zero Knowledge Proof)의 검증 결과를 검증인 측에서 외부에 제공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식별자를 제거하지 않는 비식별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이는 검증 참여 각 개체에 대한 차등 주권 관리 개념을 제안하는 것으로 재구성된 비식별 데이터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 모델은 탈중앙형 SSI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을 만족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비식별 처리 및 주권 관리를 제공한다. Decentralized SSI(Self Sovereign Identity) has become an alternative to a new digital identity solution, but an efficient de-identification technique has not been proposed due to the unique algorithmic characteristics of data transactions. In this study, to ensure the decentralized operation of SSI, we propose a de-identification technique that does not remove identifiers by restructuring the verification results of ZKP (Zero Knowledge Proof) into a form that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by the verifi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restructured de-identification data without the consent of data subject by proposing the concept of differential sovereignty management for each entity participating in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satisfies the domestic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n a decnetralized SSI, in addition provides secure and efficient de-identification processing and sovereignty management.

      • 교육용 콘텐츠 관리 및 활용 방향

        장정아(Jeong Ah Jang),전미현(Mi Hyeon Jeon),김규태(Gyu Tae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6

        우리나라는 국가 주도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및 저작도구 보급으로 인해 교육용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인터넷 서비스의 빠른 성장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교육용 콘텐츠 양산에 이바지하고 있다. 2000 년대 후반 교육용 콘텐츠 공유 운동이 전개된 이후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자들이 교육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용 콘텐츠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분포를 알 수 있고 교육용 콘텐트 관리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 네트워크 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에게는 학습 목표와 학습 과정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제공하고, 교수자에게는 체계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며, 관리자에게는 교육용 콘텐츠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효율적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y providing educational software such as authoring tools.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servic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ardware and software industry enabled the mass pro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the initiation of the shar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late 2000s, it has become crucial to fulfill the ne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o resolve the issue that a learner spends much time and effort o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we propose an educational contents network map, which is designed for managing the educational resources. This map is expected to serve the followings: 1) for learners, providing visual comprehension about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process; 2) for instructors,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organized curriculum; and 3) for administrators, suggesting effective methods for the control of supply and demand.

      • IoT 센서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식품 공급망 개발

        심재익 ( Jae-ik Sim ),김왕록 ( Wang-rok Kim ),전미현 ( Mi-hyeon Jeon ),오동의 ( Dong-eui Oh ),정병규 ( Byeong-gyu Jeong ),신상욱 ( Sang Uk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현 식품 공급망은 중앙 집중화되어 있고, 투명하지 않으며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판매자는 싼값에 팔고 소비자는 비싼 값에 구매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유통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에 대한 책임 추적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각 유통 단계에서 생성되는 IoT 센서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에 적용하며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 모델을 통해 유동 과정과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원산지, 배송 과정, 보관 상태를 비롯한 유통 정보들을 추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