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안전벨트 착용과 음주운전의 관계

        장하은 ( Ha-eun Jang ),장지민 ( Ji-min Jang ),허민희 ( Min-hee Heo ),노진원 ( Jin-won Noh ),김장묵 ( Jang-mook Kim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여 안전벨트 착용에 따른 음주운전 경험 여부의 관계를 파악하고,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음주운전 경험 여부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인 설문응답자 중 음주운전과 안전벨트 관련 문항에 응답한 3,31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평상시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최근 1년 내 음주운전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평상시에 안전벨트를 항상 착용하는 사람에 비해 그렇지 않은 사람의 음주운전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음주운전의 영향요인은 성별,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상태, 거주지역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안전벨트의 착용이 자동차 음주운전과 유의한 관계를 지녔음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차량 운전자의 안전의식 향상 및 교통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drunk driving and seatbelt usage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Methods :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3,312 participants among those who answered the data of the third year of the 7th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Results : It was identified participants with lower seatbelt usage were more likely to have a drunk driving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higher seatbelt usage. Conclusion : We revealed that seatbelt usag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runk driv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improving safety consciousness of drivers and establishing traffic safety policies.

      • KCI등재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장하은(Ha Eun Jang),김효정(Hyo Jung Kim)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진로와 미래를 주체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후기 청소년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학교 현장에서의 수업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과 자아정체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수업 도구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5명을 선정하여 총 8차시의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고 수업의 효과 검증을 위해 박아청(2003b)의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참고한 사전 ㆍ사후 자아정체감 설문지의 통계처리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수업 만족도 조사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은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아정체감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아정체감에 대해 학습하고, 자신을 고찰하는 데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의의를 함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자아정체감 뿐 아니라 주체적인 작품 계획 능력,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인적 인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 청소년들이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퍼스널 브랜딩 활용 디자인 수업이 학교 현장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on the self-identity of first-year high school learners.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as important to know oneself and plan independently in a society where individual diversity was respected and rapidly changing, and it was considered essential education, especially for learners in later adolescence. Accordingly, under the theme of "the impact of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on high school students' self-identity," we will conduct classes at the school site to confirm th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 school learners' self-identity. Second, it was found that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can cultivate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self-identity. Third, through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learn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self-identity, but also independent work planning ability,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formation of a whole personali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draw the conclusion that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cultivating a sense of self-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cultivation of learners' self-identity through design classes using personal branding,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rough statistics. It is hoped that the design class using personal branding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school field about the attitudes that later-stage adolescents should have today, when it is essential to subdivide individual diversity and reflect on what kind of person they are and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 KCI등재

        영어 초보자의 영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가상 튜터 프로그램

        주재성(Jae-Seong Ju),홍우진(Woo-Jin Hong),문우혁(Woo-Hyeok Moon),유사라(Sa-Ra Yu),고경수(Kyeong-Soo Ko),고영서(Yeong-Seo Go),장하은(Ha-Eun Jang),김시현(Si-Hyeon Kim),신정훈(Jeong-Hoon Shin),최승호(Seoung-Ho Choi)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In learning English, it can be challenging to have conversations with others, even for those who are familiar with the pronunciation. Practicing communication with a real person is not easy for those who are just starting out.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virtual tutor program for English beginners to practice speaking English on their own. The program uses 13 scenarios to simulate conversations, producing direct data. We used deepfake technology to create a virtual human who accurately mimics speech and facial expressions. We also applied a lip mouse model to enhance speech accuracy.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virtual human’s pronunciation closely resembles that of a real person, and the lip mouse model improves speech accuracy compared to when the deepfake model is used alone. Therefore, English beginners can improve their pronunciation and conversation skills in English using ou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