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방과후학교 연구동향 분석

        장창성(Jang, Chang Sung),배상훈(Bae, Sang Hoon),정영모(Jeong, Yeong Mo),김재형(Kim, Jae H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16년 까지 방과후학교를 주제어로 하는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빈도분석하고, NetMiner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어 분석은 정책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양적연구, 서술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확산기(2004~2007)에 초등 돌봄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조정기(2008~2010)에 사교육관련 주제의 연구가 많았다. 내실화기(2011년 이후)에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참여, 운영실태, 사교육, 학업성취 등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방과후학교 관련 연구가 연구 주제, 내용, 방법 측면에서 점차 다양해지고 활발해지고 있었다.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2008년 이후 방과후학교 정책 사업이 시도교육청으로 이양된 이후 학교 현장에 나타난 변화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한 연구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after school resear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we analyzed the academic papers with after school from 2004 to 2016.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frequency and network texts analysis of the keywords using NetMiner 5.0 program. Key word analysis is divided by period according to policy change. As a result of frequent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focusing on primary care topics in the diffusion periods(2004~2007) and many researches on private education subjects in the adjustment periods(2008~2010).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subjects such as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participation, operation, private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rengthening period(since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school researches have been increasingly diversifi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hange of school after the after-school policy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chool site since 2008. Also,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quality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

      • KCI우수등재

        대학 학생성공 해외 연구동향 분석: 상세 서지정보 분석

        장창성(Chang Sung Jang),곽은주(Eunju Kwak),조성범(Sungbum Ch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학생성공 관련 해외 연구동향과 주요 이슈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고등교육 연구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larivate Analytics의 웹 데이터베이스 Web of Science에 등재된 SSCI 및 Scopus급 학술지 615건을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상세 서지정보 분석을 적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RStudio의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상세 서지정보 분석결과,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2000년대 후반 발행 추이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2010년대 중반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미국 등 주로 서구권 국가에서 대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가 간 공동연구의 비중은 낮았다. 분석대상 논문의 인용정보 및 저자・키워드 등에 대한 빈도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학생유지 및 학생 몰입과 같은 개념적 토대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도입・확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성공 관련 키워드 공동출현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5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1)온라인 환경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 (2)학생유지 관련 기관수준의 학생지원 및 실증적 접근, (3)대학위기에 대응하는 처방으로써 학생 심리적・정서적 측면, (4)학생 몰입 및 경험 기반 학생지향 관점, (5)community college 중심 경력개발 및 성인교육과의 연계.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주제구조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타학문 분야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경험적・실증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고등교육 맥락에서 학생성공 개념의 확장 및 적용을 위한 학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with respect to student succes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study’s purpose, we collected scholarly articles that addressed issues and topics concerning student success published between 1974 and 2023. This study employed bibliometric analysis targeted towards bibliometric information of a total of 615 articles housed in SSCI- and Scopus-indexed journals. The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Web of Science, a web database powered by Clarivate Analytics. For data analysis, we utilized the bibliometrix package in RStudio.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quantity of articles on student success has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especially surging since the mid-2010s. The majority of thes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predominantly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as scarc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co-citation data, author, and key terms, it was revealed that the foundational underpinnings of student success have been rooted in the concepts of student retention and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e categorized sub-themes into five clusters: (a)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s within online environments, (b) institutional support and empirical approaches for student retention, (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responding to student crisis, (d) student engagement and experience-based student-oriented perspectives, and (e) associations with adult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in community colleges. Finally, the study’s findings from thematic analysis demonstrate that research on student success has emerged based on inter- and intra-collaborations within and across various domains of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context.

      • KCI등재

        국민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유형에 따른 개인 소득 및 삶의 만족도 차이 비교

        홍소정 ( Hong Sojung ),주재홍 ( Joo Jaehong ),주라헬 ( Ju Rachel ),장창성 ( Jang Chang S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4 사회보장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추이에 따른 집단을 유형화 하고, 예측 및 결과 요인을 통해 각 집단의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종 식별된 집단의 분류 및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령연금 외 소득 유무를 적용하였으며, 결과 요인으로는 삶의 만족도를 건강 상태, 경제 상태, 사회적 관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삶의 만족도 차이의 유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2013)~9차(2021)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궤적은 비선형 성장모형이 가장 적합했으며, 연구 모형 분석을 통해 관찰 변수에 따른 이질적인 하위 집단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연금소득 만족도 변화 추세에 따라 (1)만족도 감소후증가형, (2)만족도 유지형, (3)만족도 증가후감소형의 총 3개 집단을 식별하였다. 각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전 근로 소득과 부동산 소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은 건강 상태를 제외하고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연금제도의 효과성 제고와 성숙 단계로 발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노년층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national pension satisfaction among beneficiaries, and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rough predictor and outcome factors. To identify and compose these groups, we applied the presence of income other than the old-age pension as a predictor factor. As outcome factors, we compare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groups, categorized into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utilized data from the 5th (2013) to 9th (2021) waves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provid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non-linear growth model was most suitable for satisfaction with national pension benefits, an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confirmed the existence of heterogeneous subgroups based on the observ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pension satisfaction among national pension beneficiaries, we identified three groups: (1) Decrease-Increase Group, (2) Maintenance Group, and (3) Increase-Decrease Group. Previous earned income and real estate incom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group.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the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except for health statu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advancing it to a mature stage, as well as policy recommendations for ensuring a stable retirement life for the elderly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