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과 후 돌봄교실 운영에서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의 의의

        정영모(Jeong, Yeong Mo),송지훈(Song, Ji Hun)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돌봄에서 지역사회 참여 사례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초등돌봄교실 운영형황을 살펴보았으며, 지역사회의 학부모가 중심이 되는 돌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초등돌봄교실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질 개선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질 개선을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로 지역사회의 학부모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아동을 함께 돌보는 공동육아 방식이 이미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공동육아방식은 부모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동, 아동중심의 인간적인 서비스,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부모교육, 민관의 협력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정부가 중심이 되어 학교라는 공간내에서 돌봄을 지원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돌봄 서비스 제공 공간을 지역사회로 확대하는 좋은 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에서 발견되는 의의를 도출하고 향후 지역사회 중심의 학부모 참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care service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Korea and looked at the case of care centered on parents 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up to now, and recently, interest for quality improvement of it is increasing. Specifically,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mentary care classroom of the community is centered on the parents of the community, and the co-parenting method of caring for the children of the community has already been practiced. Particularly, the co-parenting metho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parents, child-centered human services, parent education with mutual cooperation, cooperation method between civilian sector and public sector. This method is a good role model to expand the space to provide caring service to the community by moving away from the way that the government is now centered and supports the caring in the space of the school.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se features is derived and suggested that community centered parent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lassroom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 KCI등재

        정부 부처 ‘간’ 온종일 돌봄 정책 비교 및 시설 연계 강화 방안

        정영모(Jeong Yeongm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온종일 돌봄 정책을 시설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관련 법규와 정부 지침을 시설 설치 및 운영, 설치 장소, 서비스 제공공간, 시설안전관리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부 부처별로 법률과 지침이 서로 다르다는 점, 시설을 설치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특정하고 있는 점, 서비스 제공 면적에 대한 기준이 상이한 점, 시설안전관리 규정은 시설의 성격에 따라 상이하지만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법규도 있다는 점, 돌봄 시설 주변 유해환경에 대한규제내용과 방법이 상이한 점 등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부 부처 간에 돌봄 서비스 시설 연계 강화방안으로 표준화된 시설설치 및 운영 기준 마련, 서비스 제공공간 기준을 아동 1인당 면적으로 전환, 지방자치단체의책임을 강화하여 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험제도 신설, 각 부처에서 공통으로적용할 안전매뉴얼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all-day care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was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acilities. We compared and analyzed related laws and government guidelines in terms of facil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stallation location, service provision space, and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aws and guidelines are different for each government department, the space in which facilitie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is specified, the standards for the service area are different, and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facilit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laws and regulations that are commonly applicable and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gulation regarding the hazardous environment around care facilities are differ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andardized facil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ndards were established, service space standards were converted to per-child area, an insurance system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in all facilities, and safety manual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by each department are suggested.

      • UV 레이저를 이용한 다 층막의 선택적 직접가공 공정연구

        정영모(Y. M. Jeong),안중용(J. Y. An),김두영(D. Y. Kim),백광열(K. Y. Baek),김종원(J. W. Kim),강형식(H. S. Kang),홍순국(S. K. Hong)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07 한국레이저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

          A traditional SiNx pattern making processes require PR coating, exposure, develop, etching and PR strip. This causes high equipment cost, running cost and environment pollution. A selective layer direct patterning with mask projection method can be the good alternatives for those typical processes to overcome the above issues. The patterns on a small mask are projected onto a substrate by the almost homogenized beam of UV Excimer laser. This process can ablate only the selected layers clearly by the required depth.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re discussed for obtaining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 to ablate selectively the multiple layers in this paper.

      • KCI등재

        사립유치원 규모에 따른 K-에듀파인 세입 세출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정영모(Jeong Yeongmo),백선희(Baek S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관내 사립유치원의 규모와 세입 세출 회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의 모든 사립유치원에서 작성하여 공시하고 있는 2020학년도 세입 세출회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유치원 규모’와 세입에 해당하는 ‘보조금과 지원금’, ‘수익자 부담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치원 규모’와 세출에 해당하는 ‘인건비’, ‘교육활동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치원 규모가 커질수록 유아 1인당 ‘보조금 및 지원금’은 감소하고, 유아 1인당 ‘수익자 부담금’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치원 규모가 커질수록 유아 1인당 ‘인건비’는 감소하고 유아 1인당 ‘교육활동비’는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건비 항목에서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것을 시사한다. 소규모 유치원의 1인당 ‘보조금 및 지원금’이 더 많은 것은 서울시교육청의 지원효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준유아교육비 수준의 정상화 필요성,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치원에 추가로 지원하는 지원금의 적정성 검토, 유아교육과 돌봄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수익자 부담금의 형평성 문제를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accounting for revenue and expenditu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scal year 2020 revenue and expenditure accounting data prepared and published by all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size’ and ‘subsidies and subsidies’ and ‘parent’s expenses’ corresponding to revenue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size’ and ‘labor cost’ and ‘educational activity expenses’ corresponding to appropriation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ize of the kindergarten increases, the ‘subsidy and subsidy’ per child tends to decrease, and the ‘parent’s cost’ per child tends to increase. 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kindergarten increases, the ‘labor cost’ per child decreases, the ‘education activity cost’ per child tends to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onomies of scale occur in labor cos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normalizing the level of standar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nses,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of additional subsidies provid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for kindergarten, and the issue of equity in ‘parent expenses’ that can guarante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esented as a starting point.

      • KCI등재후보

        초등 돌봄 서비스 질 측정방법 탐색 : SERVQUAL모형을 중심으로

        정영모(Jeong, Yeong Mo)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초등 돌봄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SERVQUAL 모형을 중심으로 서비스 질 측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2004년 초등 돌봄 서비스가 초등학교 내에서 실시된 이후 초등돌봄교실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거듭해 왔다. 반면에 서비스 질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노력은 부족했다. 그동안 초등돌봄교실 정책 효과는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과, 여성 경제활동인구 비율 등 결과적인 변수를 통해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아이 돌봄 문제로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의 비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기존의 정책효과 분석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SERVQUAL모형에 의한 서비스 질 측정은 서비스 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서비스 질의 추이를 분석할 수 있고, 타 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 어떤 영역을 보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실증적 연구를 통해 SERVQUAL모형 적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measuring method for quality of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For this, we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suggested a concrete measures for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based on SERVQUAL model. Since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started in 2004, it has been experienced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However, the efforts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were insufficient. So far, policy effect of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tended to be evaluated by overall satisfaction levels of parents and resultant variables such as femal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io. But recently, the uppermost limit of analysis on existing policy effect has revealed that overall satisfaction of parents about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has steadily in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women quit their job as a child care issue has rather increased.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according to SERVQUAL model is able to access to service quality more systematically, to analyze the progress of service quality through periodic inquiry, and to grasp the information that which part should be complemented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through comparison analysis with other agencies. So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can complement such issues more effectively. However this study is exploratory research, so review for feasibility of SERVQUAL model and its complement through further objective research are required.

      • KCI등재

        방과후학교 근거법 마련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김민경(Kim Min kyoung),정영모(Jeong Yeong m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17대 국회에서부터 20대 국회에 이르기까지 방과후학교 근거법안이 국회에 다수 제출되었음에도 현재까지 가결되지 않은 이유를 분석하고 향후 입법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정책 행위자들의 상호작용 관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 학교자율화 조치 이후 교육부의 정책 결정권한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다수의 이해관계자는 갈등관계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갈등관계는 상임위원회에서 수정‧가결된 법안을 무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후 방과후학교 민간위탁 허용 문제, 강사의 지위 문제 등을 계기로 정책 행위자들의 갈등관계가 지속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정책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다수의 연구들은 다원화된 사회에서 정책 행위자들의 상호작용 유형이 갈등관계에 놓여 있을 때 정책은 표류하기 쉬우며, 협력관계로 전환될 때 행위자들의 이해관계가 수렴되고 정책 실현 가능성이 높아짐을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17대 국회에서 20대 국회에 이르기까지 발의된 법안이 가결되지 못하고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이유는 정부의 정책 결정권한이 약화된 상황에서 정책 행위자들의 갈등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행위자들 간의 지속적인 논의와 조정과정을 통한 의견수렴과정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sons why the after󰠏school bills have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ince the 17th National Assembly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To do this, we analyzed the interaction relations and types of policy actors using policy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the decision making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reduced relatively and the majority of stakeholders have been in conflict. This conflict has also caused the legislation passed by the Standing Committee to be null and void. Since then, the conflicts of policy actors have continued with the issue of the permission of private custody of after󰠏school and the status of lecturers. Many researches using policy network analysis show that when the interaction types of policy actors a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in a pluralized society, the policy is easy to drift, and when they are converted into a cooperation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the possibility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legislative initiative from the 17th National Assembly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has failed to pass, and the reason for its stagnation is due to the continuing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in a situation where the government s power to make decisions is weakened Wa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feedback should be continued through discussions and coordination among actors.

      • KCI등재후보

        초등 돌봄 서비스의 질 관리 모델 및 적용 방안

        배상훈(Bae, Sang Hoon),정영모(Jeong, Yeong Mo)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돌봄 서비스의 질 관리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질 관리 모델은 돌봄 서비스의 성과를 비롯하여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투입, 과정, 환경 요인을 포함한다. 투입 요인에는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나이, 학년 등), 가정 배경(부모 유무, 한부모 가정 여부, 부모의 맞벌이 여부 등), 거주 환경, 발달 수준(지적, 정서적 발달 및 사회성 수준 등) 등이 포함되었다. 과정 요인에는 돌봄 서비스의 질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프로그램 요인, 인간적 요인, 조직적 요인이 적용되었다. 환경 요인에는 교육청 단위 행정지원 체계의 적정성, 정부에 의한 재정지원 체계의 효과성, 지역사회의 참여와 지원정도, 안전관리 체계 등이 포함된다. 돌봄 서비스의 성과는 지적 성취, 사회적, 정서적 발달, 폭력 및 비행의 예방, 건강 및 영양의 증진, 체력의 증진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질 관리 모델은 국가 차원의 질 관리, 공급자의 자체평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of quality assurance for child-care programs. A model based on the systems theory perspective consists of inputs, process, environment, and outcomes. The input factor includ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The process factor consists of physical features, programs, peopl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Environments include effectivens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of local and central educational authorities, participation and supports from local community, and safety of the institution. Finally, outcomes of child care programs includ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evention of violence and misconducts, promotion of nutrition and health, and phy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model may be of use for evaluating child care programs by the government and self-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he programs.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방과후학교 연구동향 분석

        장창성(Jang, Chang Sung),배상훈(Bae, Sang Hoon),정영모(Jeong, Yeong Mo),김재형(Kim, Jae H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16년 까지 방과후학교를 주제어로 하는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을 빈도분석하고, NetMiner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어 분석은 정책 변동을 기준으로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양적연구, 서술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확산기(2004~2007)에 초등 돌봄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조정기(2008~2010)에 사교육관련 주제의 연구가 많았다. 내실화기(2011년 이후)에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참여, 운영실태, 사교육, 학업성취 등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방과후학교 관련 연구가 연구 주제, 내용, 방법 측면에서 점차 다양해지고 활발해지고 있었다.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2008년 이후 방과후학교 정책 사업이 시도교육청으로 이양된 이후 학교 현장에 나타난 변화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한 연구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after school resear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we analyzed the academic papers with after school from 2004 to 2016.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frequency and network texts analysis of the keywords using NetMiner 5.0 program. Key word analysis is divided by period according to policy change. As a result of frequent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descrip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focusing on primary care topics in the diffusion periods(2004~2007) and many researches on private education subjects in the adjustment periods(2008~2010).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subjects such as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participation, operation, private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trengthening period(since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school researches have been increasingly diversifi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hange of school after the after-school policy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chool site since 2008. Also,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quality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