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광역시 헤어미용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직무스트레스 실태

        장문정 ( Moon Jung Chang ),윤지성 ( Ji Sung Yun ) 한국미용학회 2013 한국미용학회지 Vol.19 No.6

        This study had research subjects as 777 hair dressers who work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grasping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hairdress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mplaint rate of subjective symptoms was higher in the unmarried, in low weight and overweight than normal weight, and in smokers(p<0.05). In the characteristics of a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r complaint rate of subjective symptoms was shown in the more working hours(p<0.05).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 and the working environment, the higher complaint rate of subjective symptoms was shown in the more number of staff, the higher in a case that the height of a working table is high or low based on the elbow and in the larger physical and mental burden(p<0.05). As for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job stress, the complaint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higher in the higher stress of the job-demand sphere, the inappropriate compensation sphere, and the workplace culture sphere and in the lower stres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sphere(p<0.05). In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body part, Job stress had influence upon subjective symptoms in the sites of arm/elbow, hand/wrist/finger, waist and leg/feet(p<0.05). In conclusion, the hairdressers`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indicated to have relationship eve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ing-institution characteristics, and working-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even with the working posture as well as job stress.

      • KCI등재

        산모의 규칙적 운동이 체지방, 체력, 모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배윤정 ( Yoon Jung Bae ),임은정 ( Eun Jung Leem ),김세영 ( Sae Young Kim ),장문정 ( Moon Jeong Chang ),이대택 ( Dae Taek Lee ) 한국운동영양학회 2004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8 No.1

        To investigat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s, and breast milk constituents after participation to an exercise program in breast feeding women, 10 postpartum women of 6-10 weeks past of delivery with natural birth were recruite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 (EG; n = 10, 29±1 yrs, 160±3 cm, 63±5 kg, 27±4% body fat CG; n = 6, 30±2 yrs, 160±2 cm, 59±2 kg, 26±5% body fat). EG participated an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flexibility, strength training, and aerobic exercises lasted for 12 weeks (3 days/week). Before participating and 6th and 12th weeks of the exercise program their body composition and a physical fitness level were measured. And 4th and 8th weeks of the program, their breast milk was obtained.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frame for the CG. The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content were reduced (p<.01), but th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flexibility were increased (p<.001) for EG compared to CG after the 12 weeks of exercise program.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protein, lipids, and electrolytes as well as immunoglobulin-A in the breast milk for both group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lthough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l were increased after a participation of exercise program, no changes could be noticed in the composition of breast milk. An exercise program could be recommended for postpartum women.

      • IPv6 네트워크에서의 WLAN 기반 트랜스포트 계층 이동성 지원 방안

        장문정(Moon-Jeong Chang),이미정(Mee-Jeong Lee),홍용근(Yong-Geun Hong),박정수(Jung-Soo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Ⅲ

        차세대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해서는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Mobile IP를 기점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과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으로서,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이 언급되고 있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은 기존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처럼 코어 네트워크에 홈 에이전트나 외부 에이전트와 같은 특별한 엔터티들의 추가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디플로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종단 간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에서 발생하는 터널링 오버헤드나 비효율적인 라우팅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인터넷 환경인 IPv6 네트워크에서 WLAN 기반의 트랜스포트 계층 이동성 지원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안이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과 대등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이동 노드의 속도가 빠를 때, 새로운 네트워크에서의 IP 주소 획득 시간이 길 때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보다 더 좋은 성능을 제공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Bifidobacterium longum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변내 균총과 배변 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Jung-Sug Lee),박형섭(Hyoung-Seop Park),경명옥(Myungok Kyung),조성은(Sung-Eun Jo),장문정(Moon-Jeong Chang)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4

        본 연구는 probiotics와 prebiotics로 구성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배변 활동 및 변내 균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probiotics 섭취 중단 후에도 prebiotics인 XOS 섭취가 장내 유익균총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XOS의 건강기능성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BL2XO6군과 BL2XO2군의 체위 자료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내 pH는 시료 섭취 전 두 군 모두 7.0이하로 약 산성이었으나, 시료 섭취 1주차 BL2XO6군에서 pH 7.16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주차 이후는 pH7.0 이하의 값을 보여 시료 섭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내 균총의 변화를 보면 BL2XO6군의 경우 Clostridium spp. 은 시료 섭취 후 변 내 균 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Bifidobacterium spp.은 시료 섭취 후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4주차에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이외 주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longum은 모든 주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BL2XO2군의 경우 시료 섭취 후 Lactobacillus spp.과 B. longum은 synbiotics 섭취 1주에만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각 주차별로 변 내 균총의 변화율에서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균총은 Clostridium spp.와 Lactobacillus spp.이었다. 즉, Clostridium spp.은 2주차에서, Lactobacillus spp.는 4주차에서 BL2XO6군과 BL2XO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료 섭취 전·후 Bacteroidetes와 Firmicutes의 비율은 두 군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섭취 전·후의 변의 양, 변의 상태 및 배변 횟수, 복통 및 CSS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군에 따른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만을 섭취할지라도 장내 균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유지하고 있어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로 XOS 섭취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B. longum을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와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통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ffect of prebiotics intake after administration of a synbiotics mixture (a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and a prebiotic, xylooligosaccharide containing sugar [XO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five healthy young volunteers (11 males and 14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BL2XO2 and BL2XO6). The synbiotics mixture was orally administered to both groups for 2 weeks, and the prebiotics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the BL2XO6 group for 4 additional weeks. The daily dose of the synbiotics mixture comprised 1010 colony-forming unit of Bifidobacterium longum and 10 g of XOS, and during the prebiotics period, the daily dose of prebiotics comprised only 10 g of XOS. The fecal pH,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aseline and at weeks 1, 2, 4, and 6. Results: The counts of B. longum and Bifidobacterium spp. in the BL2XO6 group exhibited a steady, increasing trend during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periods, whereas those of the BL2XO2 group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 in each week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unts of fecal Bifidobacterium in the BL2XO6 group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BL2XO2 group at week 6.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pp. exhibited a time-dependent variation, peaking at week 6 in both groups. Low counts of Clostridium spp.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in the BL2XO6 group (p < 0.05) throughout the study, whereas the inhibitory effect on Clostridium spp. was maintained only during the synbiotics period in the BL2XO2 group. The defecation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XOS after a synbiotics mixture containing B. longum and XOS can exert a prebiotic effect in healthy young volunteers by stimulating Bifidobacteriun spp. growth and inhibiting growth of Clostridium spp.

      • KCI등재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활용한 한국인의 주요 식품 (Key Foods) 선정에 관한 연구

        이정숙(Jung-Sug Lee),심지선(Jee-Seon Shim),김기남(Ki Nam Kim),이현숙(Hyun Sook Lee),장문정(Moon-Jeong Chang),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1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 국민의 영양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양성분 섭취량에 기여한 바가 높은 주요 식품 (Key Foods)으로 추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영양성분은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에서 공개하는 영양소를 기준으로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17종의 영양소, 즉,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콜레스테롤, 당류를 선정하였다. 주요 식품 (Key Foods)의 선정은 하나 이상의 주요 영양성분에서 누적섭취기여도 85%에 포함되는 음식코드와 총 영양소기여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주요 식품 (Key Foods) 추출을 위한 자료원은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 수는 21,271명, 이들이 섭취한 식품 수는 1,728종이었다. 영양소 누적섭취기여도 85%를 기준으로 추출한 주요 식품은 728품목으로 이들 식품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의 94%가 설명되었다. 총 영양소섭취기여도 비율에 따라 상위 10위에 속하는 식품은 잡곡밥 (5.32%), 쌀밥 (4.23%), 우유 (3.3%), 배추김치 (2.82%), 삼겹살구이 (1.56%), 사과 (1.52%), 달걀후라이 (1.49%), 시리얼 (1.36%), 믹스커피 (1.21%), 고구마 (1.12%)이었고, 이들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식품이 전체 영양소 기여도의 23.93%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음식코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영양소에서 영양소 섭취 기여도의 85% 이내에 포함되는 728종의 음식코드를 주요 식품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선정된 주요 식품 (Key Foods)은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개정을 위한 분석대상 식품 선정 시 우선적으로 분석이 필요한 식품으로 검토될 수 있고, 이들 식품의 분석을 통하여 국가 단위와 개인 단위의 식이섭취조사 자료 분석 시 필요한 최신의 맞춤형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Key Foods refers to foods that have a high contribution in the nutrient intake of individuals, and exert important effects on their healt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Korean Key Foods,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Methods: The data source for the extraction of Key Foods was the 24-hour dietary survey data obtained from the 7th KNHNES (2016–2018), and 21,271 subjects were evaluated. A total of 17 nutrients were selected as the key nutrients for identifying the Key Foods, including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lipid, dietary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cholesterol, and sugars. The nutrient consumption approach was applied to generate a list of potential Key Foods. Foods included in 85% of the cumulative intake contribution from one or more key nutrients, were subsequently selected as Key Foods. Results: Of the 1,728 foods consumed by survey respondents, we extracted 728 Key Foods. These Key Foods explained 94% key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contribution rate to key nutrient intake, the top 10 Key Foods identified were multigrain rice (5.32%), plain white rice (4.23%), milk (3.3%), cabbage kimchi (2.82%), grilled pork belly (1.56%), apples (1.52%), fried eggs (1.49%), cereal (1.36%), instant coffee mix (1.21%), and sweet potatoes (1.12%). These 10 foods accounted for 23.93% total key nutrient intake of the survey respondents. Conclusion: Seven hundred and twenty-eight foods were extracted and identified as the 2020 Korean Key Foods. These Key Foods can be considered the priority foods to be analyzed for establishing a national nutrient database.

      • KCI등재

        자일로바이오스 첨가 비율이 다른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혈당지수와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Lee, Jung-Sug),김아름(Kim, A-Reum),남혜경(Nam, Hyekyoung),경명옥(Kyung, Myungok),서승우(Seo, Sheungwoo),장문정(Chang, Moon-Jeo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8주 동안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을 대상으로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비율이 다른 설탕 3종의 혈당 반응 및 GI 분석을 통해 혈당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XB 7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 설탕), XB 10 (자일로바이오스 10% 함유 설탕), XB 14 (자일로바이오스 14% 함유 설탕)은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섭취 후 최대 혈당 상승값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XB 7, XB 10 및 XB 14의 GI는 각각 57.0, 53.6, 49.7로 나타나 XB 7은 중GI 식품으로, XB 10, XB 14는 저GI 식품으로 분류되었고, 순수한 설탕의 GI 68에 비해 낮았다. AUC는 30~90분 사이에서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비교식품 (XB 7, XB 10, XB 14)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보다는 자일로바이오스 10% 이상 함유 시 기능성 설탕으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xylobiose containing sucrose on glycemic indices based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Methods: Healthy adults (six male and five female participants, n = 11) underwent 14~16 hr of fasting. Subsequently, all participants took 50 g of available carbohydrates from glucose, sucrose containing 7% xylobiose (XB 7), sucrose containing 10% xylobiose (XB 10), or sucrose containing 14% xylobiose (XB 14) every week on the same day for 8 weeks. Finger prick blood was taken before and 15, 30, 45, 60, 90, and 120 min after starting to eat. Results: We observed reduction of the glycemic response to sucrose containing xylobiose. The glycemic indices of XB 7, XB 10, and XB 14 were 57.0, 53.6, and 49.7, respectively. The GI values of XB 7 were similar to those of foods with medium GI, and the GI values of XB 10 and XB 14 were similar to those of foods with low GI. The postprandial maximum blood glucose rise (Cmax) of XB 14 was the lowest among the test foods. XB 7, XB 10, and XB 14 showed significantly lower areas under the glucose curve (AUC) for 0~30 min, 0~60 min, 0~90 min and 0~120 min compared to gluco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crose containing xylobiose has an acute suppressive effect on GI and postprandial maximum blood glucose rise. In addition, levels of xylobiose in sugar may allow more precise assessment of carbohydrate tolerance despite lower glycemic responses in a dose-dependent manner.

      • KCI등재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이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정숙(Lee, Jung-Sug),김아름(Kim, A-Reum),남혜경(Nam, Hye-kyoung),경명옥(Kyung, Myungok),조성은(Jo, Sung-Eun),장문정(Chang, Moon-Jeong)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1

        본 연구는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29세 여성 31명을 대상을 이중맹검법을 적용하여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시료 (XBS, n = 15)와 7% 자일바이오스 함유 설탕을 포함한 커피믹스 시료 (XBS coffee mix, n = 16)를 1일 2회씩 6주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료 섭취 결과 배변 횟수는 시료 섭취 전 XBS 2.13회/주, XBS coffee mix 1.56회/주에서 시료 섭취 1주차부터 증가하여 시료 섭취 6주차에는 각각 3.73회, 3.56회로 증가하였다. 또한 XBS와 XBS coffee mix 시료 모두 섭취 후 배변의 양, 복부 잔변감, 복통의 증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 변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CSS 점수 역시 시료 섭취 전 XBS 10.53점, XBS coffee mix 10.75점에서 시료 섭취 후 1주차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시료 섭취 6주차에 XBS 7.22점, XBS coffee mix 6.51점으로 3점 이상 낮아졌다. 즉,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시료 섭취 후 유의적으로 CSS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보아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변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서 배변 및 변의 상태를 평가한 것으로 화학적 지표성분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한계는 존재하나 설탕보완재 역할을 지닌 자일로바이오스를 7% 정도 설탕에 첨가할 경우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에 기능성 감미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xylobiose-sugar mixture intake on defecation frequency and constipation symptoms in 31 young women with constipation. Methods: Thirty-on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nd subjects in each group were administered 10 g of a 7% xylobiose-sugar mixture (Experiment 1: XBS, n = 15) or 10 g of a 7% xylobiose-sugar mixture containing coffee mix (Experiment 2: XBS coffee mix, n = 16) twice per day for 6 weeks. During the study, clinical efficacy was assessed by a daily diary record. The subjects recorded their defecation frequency and fecal characteristics. Results: During pretreatment week, mean defecation frequency of XBS subjects was 2.13 times/week, whereas that of XBS coffee mix subjects was 1.56 times/week. The mean defecation frequencies of XBS and XBS coffee mix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to 3.73 times/week (p < 0.05) and 3.56 times/week by week 6 (p < 0.05),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either XBS or XBS coffee mix, patients presen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amounts of stool, feelings of residual stool leftness, and abdominal pain symptoms (p < 0.05). The total constipation scoring system (CSS) for diagnosing constipation symptom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XBS group (10.53 score vs 7.22 score) and in the XBS coffee mix group (10.75 score vs 6.51 score) after 6 weeks. Improvement due to intake of 7% xylobiose-containing sugar seemed to las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onclusion: The addition of approximately 7% xylobiose to commercially available sweeteners has been shown to improve constip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여드름 관리의 Medical, 한방 Medical Skin Care와 Esthetic Care의 특징

        이태숙 ( Tae Sook Lee ),장문정 ( Moon Jung Chang ) 한국미용학회 2006 한국미용학회지 Vol.12 No.3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pecial feature of dermatologic medical skin care, oriental medical skin care in oriental medicine clinic and esthetic care in skin care shop. Medical skin care includes medical treatment for dermatologic diseases and skin care than separating the scope of medical treatment and skin care, and is a good method for medical treatment and skin care that can obtain high effects leaping over the limits of the results can get by individual treatment or care. Oriental medical care also strengthens improving both physical body and skin by finding out radical cause of skin troubles through entire physical system to solve in oriental medical way by combining the principles of oriental medicine with skin care than regarding the troubles just as superficial problem. Esthetic care uses direct touching hand clinic and lets the patient not only enhance absorption effect by his or her temperature but also feels intimate touch and easiness. In addition, through skin care, one can experience various cares by combination of western and oriental treatments and remedies such as unorthodox medicine. Each dermatologic medical skin care, oriental medical skin care in oriental medicine clinic and esthetic care in skin care shop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s while shares the same respects. We wish that all the parts not clearly categorized would be located with their own features in different areas.

      • KCI등재SCOPUS

        초미세분쇄를 이용한 옥수수 변성전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 구명

        한명륜 ( Myung Ryun Han ),김애정 ( Ae Jung Kim ),장문정 ( Moon Jeong Chang ),이수정 ( Soo Jeong Lee ),김희선 ( Hee Sun Kim ),김명환 ( Myung Hwan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09 산업 식품공학 Vol.13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molecular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dified corn starch, in which particle structure was broken using high impact planetary mill and ultra fine pulverizing techniques. The average diameter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odditied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decreased 50% and increased 567%, respectively. Content of low molecular substances mer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creased from 21.0% to 86.5%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Damaged starch content also increased from 9.63% to 83.57% after pulverizing corn starch. After pulverization, gel formation capacity corn starch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y structure breakdown.

      • KCI등재

        노인의 인지기능상태에 따른 식품과 영양소 섭취실태

        김혜영(Kim, Hye-Young),이정숙(Lee, Jung-Sug),윤종철(Youn, Jong-Chul),장문정(Chang, Moon-Jeo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용인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간이 인지기능검사 (MMSE-DS)와 영양건강위험도 조사 (NSI DETERMINE checklist) 및 식품섭취실태를 통하여 인지기능 저하와 영양 식생활 실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전체 조사대상 노인 (n = 409)의 평균 나이는 73.3세였고, 남자가 32.3%, 여자가 67.7%이었다. 인지기능 저하로 판정된 사람은 105명으로 대상자의 25.7%가 인지기능 저하로 판정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조사대상 노인들의 운동 빈도는 유의차는 없었으나,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정상군보다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더 높고, ‘거의 매일 운동을 한다’는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1일 평균 운동 시간은 인지기능저하군이 정상군보다 하루에 1~2시간씩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더 적고, 30분~1시간씩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더 많아서 총 운동시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NSI DETERMINE 검사를 이용한 영양건강 위험도는 저위험군 270명 (66%), 중위험군 90명 (22%), 고위험군 49명 (12%)이었으며,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정상군보다 영양건강의 중위험군과 고위험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528.6 kcal로 에너지 필요추정량 (EER)의 84.4%를 섭취하였고,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정상군보다 다불포화지방산을 유의하게 적게 섭취하였다. 또한, 인지기능저하군은 티아민, 리보플라빈, 철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5)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조사한 63개 식품 중 조사대상자의 인지기능에 따라 유의차를 보인 식품은 6가지로 쌀밥과 과자류의 섭취빈도는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고등어, 고추, 귤과 수박의 섭취빈도는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경우 정상 노인보다 운동 빈도와 운동 시간이 적고, 영양건강위험도는 높으며, 불포화지방산의 섭취가 적고, 티아민, 리보플라빈, 철 등이 정상군보다 더 부족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기능저하군에서 쌀밥과 과자류의 섭취는 더 많으나, 고등어, 고추, 귤, 수박의 섭취 빈도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인지기능 손상을 지연시켜 개인의 건강 장수와 사회적 의료비용 절감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인지기능 관련 식품들이 어떤 기전으로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function,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NSI) score, and food intake status. Methods: A total of 409 subjects aged over 60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Yongin dementia prevention and control center.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Dementia Screening (MMSE-DS)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Information on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food intake was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NSI DETERMINE checklist, food intake sheets by 24 hr recall method and by semi-quantifi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s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low cognitive or normal groups according to the MMSE-DS result. The prevalence of low cognitive function in the subjects was 25.7%. The low cognitive group exercised less and had higher nutritional health risk than the normal group. The low cognitive group had lower consump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higher tendency of thiamin, riboflavin, and iron deficiency. The low cognitive group had less frequency of eating mackerel, pepper, tangerine, and watermelon and higher frequency of eating white rice and cookies than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is related to exercise behavior, nutritional health risk,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