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자유학기제 참여의 효과 검증

        임현정(Hyunjung 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정책의 취지 및 자유학기제를 경험하는 중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성과 영역 중 진로성숙도에 한정하여 자유학기제의 성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전면 실시 전후의 패널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데이터를 이중차분법과 삼중차분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중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에 대한 자유학기제 참여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효과가 일 년 뒤에도 지속되는지 중학교 2학년 시점에서의 지연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역 간 자유학기제 시행 여건의 차이를 고려하여 지역규모에 따라 자유학기제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진학 후 진로성숙도가 감소하는데, 자유학기제 참여가 진로성숙 감소를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 참여의 효과가 중학교 2학년 시점에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의 효과는 지역규모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는데, 특별시와 읍면지역에 비해서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효과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유학기제 전면 실시 및 자유학년제 시행의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효과의 지속 및 확장을 위해서 지역 여건을 고려한 차별적인 정책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policy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verify persistence of the effectiveness after a year, and the difference on effectiveness by the regional scale. For the analysis of DID and DDD methods, ‘KELS2013’ data, including panel data before and afte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s a result, career maturity decreases after entering middle school, and participating in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that career maturity decreases less. In addition, this positive effect continue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free semester system differs by the regional scale; the effect is significantly higher in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n in Seoul and rural area.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evidence of necessity for a ful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free school year system. In order to develop the positive effe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for each regional condition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종단자료에 기반한 학업성취 변화 유형의 판별요인 탐색

        임현정(Im Hyunjung),시기자(Si Ki Ja),김성은(Kim Sung E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수 체제 전환 이후, 2014년에 최초로 구축된 초-중-고등학교의 세 시점(초6-중3-고2) 연계자료를 분석하여 개별학생의 학업성취 변화의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판별요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의 성장 궤적을 나타내는 평균 성취도와 변화율을 기준으로 학업성취 변화 유형을 상위-향상, 상위-하락, 하위-향상, 하위-하락의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변화 유형의 판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에 따라 주요 판별요인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하위-향상 집단이 상위-하락 집단에 비해 수업태도,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더 많이 향상 되었으며, 채팅/SNS시간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학업성취 향상 요인의 긍정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of student achievement trend by analyzing the linkage data at the three time points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2nd grade in high school) that were first established in 2014. And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type of achievement trend.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multilevel growth model to estimate the average achievement level(intercept) and change rate(slope) of the student s growth trajectory. Based on this results, the type of trend of academic achievement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f high-higher, high-lower, low-higher and low-lower. In addition, we conducted a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achievement trend type decision. As a results of these analysis,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main discriminant factor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low-higher group s attitude of class, self-directed learning time and after-school participation rate were improved more than the high-lower. Whereas, low-higher group spent less time to online chat/SNS than high-lower group.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to promote the positive change of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 학업성취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임현정(Im Hyunjung),시기자(Si Ki Ja),김성은(Kim Sung E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최초로 구축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학생의 초-중-고 연계자료를 분석하여 개별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 및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수자료에서 학생의 배경요인에 따른 학업성취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교육맥락변인의 변화와 학업성취 변화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하여 패널회귀분석의 고정효과모형과 하우스만-테일러 도구변수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개별학생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에 있어서 성별, 지역규모, 가정환경에 따른 학력격차가 유지 또는 심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업적 효능감, 교과태도, 수업태도, 학교생활 행복도가 향상된 학생의 학업성취 역시 향상되었으나, 이와 같은 정의적 특성들은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평균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였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가 좋아질수록, 자기주도학습시간, 독서시간이 증가하는 학생의 학업성취가 향상되었으며, 방과후학교나 EBS에 참여하지 않던 학생이 이후 참여하게 되면서 학업성취가 향상되는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력격차 해소 및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individual student achievement trends an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nd typed the achievement trends of individual students using longitudinal data (6th grade - 9th grade – 11th grade) first constructed in 2014. For this analysis, fixed effect model and Hausman-Taylor instrumental variable model: HT-IV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rend in individual academic achievementvaried according to gender, type of region, and home background. The difference of achievement causing from gender, type of region, and home background were maintained or got worse as time passed by. Second, as growing the level of academic efficacy, attitude toward class and subjects, and school life happiness, the achievement was improved. However these affective factors were tended to decrease after entering high school. Third, participation in class after school, viewing degree of EBS programs relationship with parents, self-directed learning time and reading tim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improvement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reduction of achievement differential, this study proposed meaningful alternatives from the results above.

      • KCI등재

        형성평가의 재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위한 제언

        성태제(Taeje Seong),임현정(Hyunjung 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형성평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형성평가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최근 교수․학습적 측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형성평가의 개념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형성평가를 재개념화 하고, 이를 위한 절차, 방법, 평가요소 등과 관련한 최근이론과 연구를 소개하였다. 형성평가의 개념이 진화하면서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평가, 학생들에게 평가 결과를 피드백 하는 평가,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하는 평가로서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형성평가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교수․학습 상황에서 활발한 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학교교육에 접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교육평가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교사들이 형성평가의 목적과 기능을 재인식하여 실제수업장면에서 형성평가와 피드백의 순환적 과정을 시행한다면 교수․학습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우리나라 교육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 어떠한 실천이 필요한지를 논의하고, 교사의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표준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oretical backgrounds and applicable methods for active use of formative assessment in the fields of school education. For this, formative assessment being emphasized recently in th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s re-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its conceptual changes. And then recent theories and researches of procedures, methods, evaluation factors related with re-conceptualization of formative assessment ar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the function of assessment is emphasized that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teraction by feedback, and improvement of teaching proces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s, the new approach and active use of formative assess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some suggestions are discussed to clarify teachers' role need to apply the new approach and active use of formative assessment to school education. If teachers, the subjects of educational evaluation, implement cyclical proces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feedbacks while teaching in real class,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ill be maximized. Also, applicable practices for educational evaluation are discussed, and evaluation standards are suggested to enhance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 지방정부의 외국인주민 생활실태와 지원방안 -부산지역 중심-

        홍미영(Hong Mee Young),임현정(Im, HyunJung),신희영(Shin Hee 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대한 정밀한 실태조사를 통해 부산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주민의 삶을 파악함으로써 부산지역 외국인주민 정책을 뒷받침할 근원적이고 기초적인 데이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부산지역 외국인주민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외국인을 주민의 일원으로 수용하고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외국인주민 정책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습니다. It is time to need basic data to support the foreigner resident policies by survey on the life status of foreigner resident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life status of foreigner residen in Busan., acceping as a citizen and suggesting policies about the foreigner resident for realiz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읽기 성취수준 향상의 교육맥락변인 분석

        박혜영 ( Hye Young Park ),임현정 ( Hyunjung Im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PISA 2012 읽기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기초미달수준 학생과 보통수준 학생의 성취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효과를 다층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수준 향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성별, 지각,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과 같은 학습자 개인의 특성이었다. 기초미달수준에서 보통수준으로의 향상에서만 유의하게 작용하는 맥락변인은 결석 및 결과, 부모의 교육기대수준, 학생들의 학습 분위기, 교과외 창의적 활동의 제공 정도였다. 따라서 기초미달 학생들을 위한 읽기 보정 교육에서 학생의 학습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에 기초하여 학습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통수준에서 우수수준으로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생 가정의 사회경제문화 지위 지표, 부모의 학교교육만족도, 학교평균 사회경제 문화 지위 지표와 교사 1인당 학생 수, 교사-학생 관계였다. 학교평균 사회경제문화 지위 지표가 높은 학교일수록 읽기에서 우수수준에 도달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교육 형평성 측면에서 결핍 또는 보통의 자원을 가진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우수수준 도달을 위한 읽기 교육 지원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y using two-level 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HGLM),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how differently contextual variables affect the ratio of reaching upper achievement levels. Students` gender, tardiness, value of their study, and openness to problem-solving were effective on reaching upper achievement level both students in below baseline and intermediate one. Only for students in the below baseline, contextual factors such as absence or missing classes,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to their children, students` circumstance to study in school, and offering creative activities by school were effective on reaching upper achievement levels in reading. Meanwhile, in order to reach the level of top performer, for students in the baseline and intermediate one, students` ESCS, parents` satisfaction to school, school mean in ESCS, the ratio of students per a teacher,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worked for effective variabl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ways the ratio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learning increases should be considered as much important as providing educational intervention to struggling readers. In order to carry out educational equity, government should support school systems by funding and providing good quality programs for low ESCS school.

      • KCI등재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 수립

        김주아(Ju Ah Kim),어수진(Uh Su Jin),한석실(Han Seok Sil),임현정(Hyunjung Im)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효과성과 사회적 공헌도의 체계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이론적 모형과 측정변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와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론모형 및 측정모형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최종모형에서는 전문적 성취를 넘어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 성취를 통해 사회와 인류에 기여하는 것을 영재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성 발현 단계를 영재성-전문적 성취-사회공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영재성 단계는 아직 성취 형태로 발현되지 않은 잠재력 보유 단계로 지능, 창의성과 같은 일반적 능력과 영역 특수적 능력을 포함하였다. 전문적 성취 단계에서는 영재학교와 고등교육 재학기간 동안의 교육적 성취(성적, 수상‧연구실적, 진학, 취업 등)와 취업 이후 교육‧연구 분야 또는 기술‧산업 분야에서의 직업적 성취로 구성하였다. 사회공헌 단계에서는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한 성취를 통해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영재성이 최종적으로 발현된다고 설정하였다. 또한 영재성 발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내‧외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환경 요인과 개인의 정의적 특성인 개인내적 요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단계별 모형 설정 결과를 보고하고, 더불어 향후 「영재교육종단연구」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발전 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model and review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Longitudinal Study on Gifted Educ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and to validate its rationale. Both the theoretical and measurement models were optimi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using the Delphi method after multiple revisions. One’s giftedness is normally identified in the early ages and then developed for a lifetime. We divided the development stage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its quality and influence. The outcomes of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first come at a smaller scale from one’s extraordinary academic performance within their creative and professional expertise, and then further extends to their contribution to society and humanity. In the first stage (“Identifying Giftedness”), potential talents are recognized among thosewith more general abilities such a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s well as domain-specific abilities, which can easily be revealed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fields. This ‘giftedness’ is then expressed in the form of educational and career achievements later in the second stage (“Professional Achievement”). Examples of educational achievements can include school grades, awards, volume of research conducted, or admission to higher level institutions. When the gifted get their professional positions in academia, industry or in other fields of technology, occupational achievements could be measured by their career paths. In the third and final stage (“Social Contribution), the influence of the gifted would expand their talents by contributing to society through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ir field. In our mode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classified as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factors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sequence of giftedness developmen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gifted are the e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The present study shows the process of setting up an initial model until obtaining the final model. It also suggests future task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longitudinal project.

      • KCI등재

        초기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변화 추이 및 영향요인 탐색

        임현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1

        청소년기의 진로 탐색과 진로 준비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진로성숙도(자기이해, 진로계획성)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패널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진로성숙도 변화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평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기이해는 매년 일정 수준 감소하였고, 진로계획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폭이 커지는 비선형적 추이를 보였다.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한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부모의 학업적 지원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성별과 학업성취 이외에 모형에 투입된 대부분의 학생특성 요인(창의성,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규칙준수, 자기관리, 독서향유 정도, 운동시간, 공부시간)의 영향이 유의하였다.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봉사활동 인식, 학생회 활동 참여는 진로성숙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에서의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고, 교사의 열의와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관계가 유의하였다. 중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 참여 및 유용성에 대한 인식 긍정적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서 진로교육의 개별화, 내실화 및 참여 기회 확대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Based on the importanc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in adolescence, this study explored 4-year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maturity level improvement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by analyzing from the KELS2013(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influencing factors and changes in career maturity.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career maturity decreased every year. Self-understanding also decreased steadily every year. Career planning showed a non-linear pattern, with a greater decreas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maturity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that the influence of parents' academic support and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levels of student factors(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service, student counci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eacher enthusiasm and achievement pressure)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tion and usefulness of career vocation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substantiation,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was emphasized.

      • KCI등재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송미영,임현정,임해미,박혜영,구자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4

        The existence of gender gaps in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scores has been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on average Korean female students underperform/outperform their male counterparts in mathematics/reading scores for PISA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rucial determinants in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We examined whether or not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achievement differs by gender using multilevel model with each group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variables that had more influence on male or female student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subject. It can be concluded that females have been affected more by teachers than by parents, while males have been affected more by parents. Also, crea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much more of an effect male students than females.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math-related activities only influenced females, and academic and vocational expectation in math and class management of math teachers only influenced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an educational and political plan that may bridge disparity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