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복잡성, 부정적 감정, 오락: 모바일 뉴스 댓글의 심리 언어학적 요소들

        임종섭 ( Jeongsub Lim ),이창환 ( Chang Hoan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2

        뉴스 댓글에 대한 학문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심리언어학적 측면에서 모바일 뉴스 댓글의 복잡한 구조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국내 주요 언론사들이 제작한 모바일 뉴스의 댓글에 담긴 심리 언어학적 요소들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학적 언어 분석 프로그램인 K-LIWC를 사용했으며, 분석 결과 문장의 수와 1인칭 대명사, 26개의 언어 요소들이 신문과 방송의 모바일뉴스 댓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이할 만한 결과로 일부 보수 신문과 진보 신문, SBS와 KBS의 모바일 댓글에서 언어 복잡성(예. 형태소와 구)이 두드러졌다. 아울러 상업 방송사인 SBS의 모바일 댓글에서는 오락적 요소가 강조된 반면에 보수와 진보 신문의 모바일 댓글에서는 부정적 감정 단어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대중 매체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프로토콜과 토대자료를 제시했다. Despite scholarly attention to comments on news, no studies investigate psychological linguistic elements of mobile comments to reveal their complex structure. To fill this gap, we analyze the psychological linguistic elements of mobile comments on news content produced by South Korean major news organizations. By using the K-LIWC, a psychological linguistic analysis program, we could find that the number of sentences, first-person pronouns, and 26 other elements vary with the comments on broadcast and newspaper content. Specifically, mobile comments on a conservative newspaper, a liberal newspaper, SBS and KBS were salient in language complexities (e.g., morphemes and phrases). The two newspapers’ comments carry negative emotional words, whereas the mobile comments on SBS, a commercial network, highlight entertainment. This study provided a protocol and base information on how the language analysis program can be used in a mass communication study.

      • KCI우수등재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임종섭(Jeongsub Lim),김명준(Myungjun Kim)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2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laserian school and the Straussian school of grounded theory method (GTM), a popular qualitative method, and review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as an alternative way. This study looks at the peer-reviewed scholarly papers that examined communicatio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with GTM. GTM is a relatively new method for communication studies, and only three scholarly articles in journalism studies use GTM. The scholarly papers rely on the Straussian school. To overcome this reliance, this study applie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to an analysis of feature stor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published by conservative newspapers (Chosun Il Bo, JoongAng Il Bo) and liberal newspapers (Hankyoreh, Kyunghyang Shinmun) from January of 2005 to December of 2013. This study discovers informative categories by reading each sentence of feature stories and extracting grounded expressions. A constant comparison of the expressions leads to high-level categories. The conservative papers focus on “settlement in South Korea”, indicating a 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bridging role” for two Koreas. By contrast, the liberal newspapers deal with “family breakdown and “statelessness”. The conservative newspapers highlight positive aspect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liberal newspapers address the negative aspects.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특성을 다룬 신문기사와 공중파 TV뉴스의 프레임 비교분석: 핵심 프레임과 세부 프레임을 중심으로

        임종섭 ( Jeong Sub L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소셜 미디어는 이용자가 늘면서 전통매체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종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 매체가 선거결과와 여론에 미치는 잠재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와 서울시장선거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젊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이 맥락에서 주요신문기사와 3개 공중파 뉴스프로그램이 소셜 미디어 특성을 다룬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두 매체의 프레임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주요 신문은 “혁신적 변화”와 “득보다 실” 프레임을 자주 사용한 반면에 공중파 TV뉴스는 “공유와 결집”과 “혁신적 변화” 프레임을 강조했다. 주요 신문은 “SNS 제한적 영향,” “SNS 정치적 영향” 등 16개의 다양한 프레임을 활용했지만 TV뉴스는 “SNS 경쟁력,” “SNS 정치참여” 등 5개의 세부 프레임만 사용했다. 이밖에 TV뉴스에 비해 주요 신문은 2개 이상의 프레임을 더 자주 사용했다. As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grown, social media are considered as new media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edia. In particular, the potentials of these media for the election and public opinion have attracted attention. Social Network Sit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are considered to lead young voter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elections and the mayoral election.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s how major newspapers and three national television news programs frame the nature of social media in news discourse. As a result, the major newspapers and the television news programs used significantly different frames. The major newspapers preferred the frames of “Innovative change” and “More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 while the television news programs used the frames of “Sharing and gathering” and “Innovative change.” The major news papers used 16 subframes, including “Limited impact of SNS” and “Political influence of SNS.” By contrast, the television news focused on five subframes such as “Competitive edge of SNS” and “S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major newspapers used two or three different frames more frequently than the television news.

      • KCI등재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간 지식경영과 물류성과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임종섭(JongSub Lim)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화주기업과 물류기업간의 지식경영과 물류성과 간 비교분석을 하였다. 리더십 유형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등의 변수로 측정하였고, 지식경영은 기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물류성과는 리드 타임 단축, 부가가치 증대, 재고비용 감소 등의 변수로 측정하였다. 화주기업과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전체 160개의 조사대상 표본 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리더십이 지식경영과 물류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중간관리자 의 리더십이 다른 관리자보다 지식경영과 물류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물류기업의 거래적 리더십이 화주기업보다 지식경영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화주기업의 변혁적 리더십은 물류기업보다 지식경영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이 리드타임 단축, 부가가치 증대, 재고비용 감소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물류기업의 지식경영이 화주기업보다 리드타임 단축과 부가가치 증대가 높게 나타난 반면에, 화주기업의 지식경영은 물 류기업보다 재고비용 감소가 더 높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nowledge-based management and logistics performance in shipper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The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were as proxy for the types of leadership. The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were as proxy for the knowledge-based management. The lead time deduction, value added increasement, and inventory cost deduction were as proxy for the logistics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one hundred sixty cases such as shipper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leadership of logistics manager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nowledge-based management and logistics performance. The business level manager’s leadership have a grater knowledge-based management and logistics performance than the corporate and functional level manager. Second, the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of logistics manager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nowledge-based management. The logistics service provider manager’s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a grater knowledge-based management than shipper manager, but the shipper manager’s transformative leadership have a grater knowledge-based management than logistics service provider manager. Third, the knowledge-based management of shipper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ad time deduction, value added increasement, and inventory cost deduction of logistics performance. The logistics service provider’s knowledge-based management have a grater lead time deduction and value added increasement than shipper, but the shipper’s knowledge-based management have a grater inventory cost deduction than logistics service provider.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주요 온라인 신문 보도의 심리적·언어적 프레임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담뱃값 인상 정책 시행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임종섭 ( Jeongsub Lim ),이창환 ( Chang H. Lee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21 언론문화연구 Vol.31 No.-

        공공 보건 정책의 시행 전후에 따른 언론 보도에 나타난 심리적·언어적 요소들을 분석하면, 이 보도의 구체적인 변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담배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를 조사했는데, 대상은 담배 가격 인상 정책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주요 온라인 신문들(<조선닷컴>, <동아닷컴>, <매일경제>, <닛케이 온라인>,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한 기사들이다. 두 국가는 담배 문제와 관련해 담배 가격의 인상과 15세 이상 남성의 높은 흡연율이라는 유사점이 있다. 이에 따라 두 국가의 주요 온라인 신문이 담배 정책과 관련한 보도한 기사를 비교함으로써 담배 정책을 이해하는 데에 의미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본 기사는 양국 간 동일한 언어분석도구인 KLIWC(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로 분석하고자 미리 한국어로 번역했다. 분석 결과, 한국 온라인 신문들은 인지적 과정에 대한 단어들을 정책 시행 이전에 비해 이후에 훨씬 적게 사용했다. 온라인 <매일경제신문>은 정책 시행 이후에 부정적 감정 단어들을 적게 사용해, 이 신문이 시행 이전에 담배 가격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본 온라인 신문들 중에서는 <아사히신문>만이 부정적 감정, 인지적 과정, 죽음에 관한 단어들을 정책 시행 이후보다 이전에 많이 사용했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 시행이 인지적 해석과 가격 상승에 따른 감정 반응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 언어적 분석이 갖는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linguistic elements of news coverage of public health policy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could explain specific patterns of shifts in the coverage. This study investigated news coverage of a tobacco control policy. The focus was on news texts about tobacco tax and price increases in major online newspapers in South Korea (chosun.com, dongA.com, and Maeil Business) and in Japan (Nikkei Online, Asahi Shimbun, and Yomiuri). The two countries shared similarity regarding tobacco issue, which included a similar increase of tobacco price rates and a high level of smoking rates among males over 15-year-old. In this light, a comparative of the tobacco-related stories of the two countries’ major online newspapers could reveal informative information tha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obacco policy. As a main preemptive procedure, we translated Japanese news stories into Korean before the analysis. The core results are as follows. Korean online newspapers used fewer words regarding cognitive processes after implementing the policy than before it. Maeil Business used fewer negative emotion-related words after the policy, showing that this financial newspaper took a negative position toward the tobacco price increase before its implementation. Among the Japanese online newspapers, Asahi Shimbun used more words related to negative emotion, cognitive processes, and death before the policy than after the policy. These patterns of results indicate that policy implementation can elicit major changes in cognitive interpretations and emotional responses on a price hike. We discussed some limitations in this language analysi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 KCI등재

        매체 관심도와 기사 부각도에서 분석한 대형 뉴스사이트 간 의제설정효과

        임종섭(Jeongsub Lim)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3

        뉴스사이트는 속보성과 손쉬운 접근성 때문에 인기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뉴스시장의 대형 뉴스사이트들은 독자적 의제나 유사한 의제 생산으로 여론의 방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형 뉴스사이트들이 보도하는 의제의 현저성을 매체 관심도와 기사 부각도에서 분석해 이들 사이트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했다. 현저성의 구성요소인 관심도는 뉴스사이트가 특정의제와 관련된 기사를 보도한 빈도 수로 측정됐다. 현저성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부각도는 특정의제와 관련된 기사가 뉴스 홈페이지에 게재된 위치를 고려해 측정됐다. 즉, 홈페이지 최상단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점을 부여하고 최상단의 바로 아래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2점, 그 다음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3점 등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교차상관관계와 부분 교차상관관계를 이용해 <조인스닷컴>과 <조선닷컴>, <동아닷컴>, <온라인연합뉴스>가 보도한 의제의 현저성 순위를 첫째 주와 둘째 주에 걸쳐 비교했다. 이 결과, 의제의 현저성을 관심도-부각도에서 측정했을 때, 첫째 주에 <동아닷컴>이 보도한 의제의 현저성이 둘째 주에 <조선닷컴>이 다룬 의제의 현저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의제의 현저성을 관심도에서 측정했을 때에는 영향관계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대형 뉴스 사이트 간 의제설정효과가 언론사의 의제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의제를 담은 기사의 부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며 대형 뉴스사이트들은 공통의제보다는 독자적 의제의 생산에 집중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News websites are popular because of immediacy and easy accessibility. Given this competition, major news websites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public opinion by covering unique or homogeneous news. This study measures the salience of agendas in terms of media attention and story prominence and examines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websites. Media attention is the first dimension of salience, which i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stories containing agendas. Story prominence is the second dimension of salience, which is measured by the placement of stories. For instance, a top story receives a score of 1; the second story below the top story receives a score of 1/2. During two constructed weeks, a cross-lagged panel design and partial correlations analyze salience of agendas on major news websites: Joins.com, Chosun.com, Donga.com, and online Yonhap News Agency. At the attention and prominence level, the salience of agendas covered by Donga.com during the first week influence that covered by Chosun.com during the second week. At the attention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Agenda-setting effects among major news Web sites occur at the attention and prominence levels. The websites focus on the production of unique agendas instead of homogeneous agendas.

      • KCI등재

        인기 뉴스 사이트와 비인기 뉴스 사이트 간의 의제흐름에 대한 시계열 분석

        임종섭 ( Jeong Sub L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뉴스 사이트의 유형을 순위에 따라 인기 사이트와 비인기 사이트로 구분해 이들 간에 중요의제가 어떻게 보도되는 지를 3시간 간격에서 이틀에 걸쳐 분석했다. 이 결과, 첫날 3시간 간격에서 인기 뉴스 사이트가 보도한 중요의제를 비인기 뉴스 사이트가 중요하게 게재했다. 3시간 간격에서 비인기 뉴스 사이트의 중요의제를 인기 뉴스 사이트가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 의제흐름의 관계는 둘째 날에도 유효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음의 함의를 갖는다. 첫째, 오프라인 매체에 기반을 둔 의제설정이 개념적 확장을 통해 온라인 매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온라인 매체 간 의제흐름에서 인기 사이트와 비인기 사이트의 구분은 중요한 변수가 아니다. 셋째, 온라인 매체 간 의제흐름은 3시간 간격에서도 일어난다. This study divides the type of news websites into top sites and secondary sites and examines how these websites cover major issue agendas at three-hour intervals during two consecutive 24-hour news cycles. As a result, the first 24-hour news cycle shows that major issue agendas of the top news websites are covered by secondary news websites at a three-hour time lag. Major issue agendas of the secondary news websites are also covered by the top news websites.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is further confirmed during the second 24-hour news cycle.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have three folds. The first is that through the expansion of its theoretical concept, traditional intermedia agenda-setting theory is applied to the online news environment. The second is that the type of a news Web site such as a top website and a secondary website is not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agenda flows among online media. Finally, agenda flows among news websites also occur at such a short period as three hours.

      • KCI우수등재

        식품 위해요소 정보생산과 감정촉발 요인의 관계성

        임종섭(Jeong-Sub Lim),박지희(Ji-Hee Park),주영기(Young-Kee Ju),유명순(Myoung-Soon You)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o what extent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press releases about food risk-related information and journalists covering the releases consider outrage factors. Specifically, this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12 officers i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nd 15 journalists who cover the ministry. As a result, MFDS officials consider key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nd the information accuracy to be important factors for producing press releases, while the journalists use 30-70% of the press releases produced by MFDS officials. The officials focus on “trust” among the outrage factors, and the journalists working for daily newspapers, financial newspapers, and the broadcasting focus on “dread”. Interestingly, the journalists consider different outrage factors according to their news companies. The journalists with medical expertise and the journalists with no medical expertise consider different outrage factors, and the year of experience covering MFDS is related to different perception of outrage factors. These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s at the micro level and the nature of news media at the mezzo level influence the perception of outrag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