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난 20년간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동향 분석: 2003년~2022년을 중심으로

        임정훈 ( Junghoon Leem ),신진주 ( Jinju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수업컨설팅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지난 20년간(2023~2022)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난 20년간 게재된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 224편에 등장한 주제어 1,025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의 주요 키워드를 알아보기 위해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키워드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분석을 실시한 뒤, 연구기간을 전기(2003~2012)와 후기(2013~2022)로 구분하여 기간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20년간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키워드 클러스터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난 20년간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의 주요 키워드로는 수업컨설팅, 초등, 수업분석, 유아 등이 나타났다. 전기에 비해 후기에는 초등 뿐만 아니라 중등, 대학, 유아와 같은 다양한 연구대상이 증가하였고, 온라인 수업, 플립러닝,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수업컨설팅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omestic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20 years (2003-2022)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facilitate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025 keywords that appeared in 224 domestic instructional consulting studie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a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main keyw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e analysis results were divided into the former (2003-2012) and the latter (2013-2022),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eriods were examined. In addition, keyword cluster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overall trend of domestic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ain keywords were instructional consulting,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analysis, and children.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various research subjects such as secondary education, university, and children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increased in the latter period. And, it was found that new keywords related to online classes, flipped learning, and interactions in classes appear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acilitating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신진주 ( Jinju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할 때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 전략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략들의 실제 활용현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과 상호작용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I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86개 교과목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들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전략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4인으로부터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전략에 대한수정 보완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총 27개 전략이 최종 확정되었으며, 이는 ‘교수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의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아울러, 개발된 온라인 상호작용 교수학습 전략의 활용현황을 탐색해 보기 위하여 I대학교에서 실제 개설, 운영된 76개 수업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116개의 상호작용 전략들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유형별, 계열별, 수업운영 방법별에 따른 상호작용 전략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professors can use their online classes for enhancing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classes, and interaction strategies was conducted. Additionally, 86 online courses offered at I university in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interaction of online class in higher education. The draft of the developed strategies for online interaction was validated twice by 4 experts with online class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27 strategies were developed as the final version for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 of university, and th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as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s interaction’, and ‘learner-inner intera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trategies, the frequencies of 116 interaction strategies used 76 online courses opene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1 at I university were analyzed by interaction type, university department, and online course typ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of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이세현 ( Sehy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일상 시대에 대학 교수자가 면대면 수업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을 개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 수업설계모형과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대학의 일반 교수자 5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나 전략들을 단계적으로 제시한 수업설계 모형 초안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초안은 2차례에 걸쳐 5인의 전문가들로부터 내적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코로나 대응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대학 교수 5인으로부터 사용성 평가를 통해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를 위한 모형은 ‘온라인 수업 분석 및 준비’, ‘온라인 수업 설계’, ‘온라인 수업 자료 개발’, ‘온라인 수업 운영’,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단계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 및 순환 가능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은 수업설계 각 단계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주요 활동 중심의 ‘절차모형’과, 주요 활동별로 수행해야 할 세부 활동 및 전략들이 제시된 ‘상세모형’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끝으로, 대학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통한 모형의 활용 가능성 탐색, 모형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실험이나 실습 등 실기 활동이 기반이 되는 실습수업을 고려한 추가적 모형 개발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nd systematic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niversity professors can use in the transition from their face-to-face instruction to non face-to-face in the era with coron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iteratures such as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rofessors. Based on these, a draft of a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presented step-by-ste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was developed. The draft of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and the validated model was evaluated for usefulness by 5 university professors who experienced non face-to-face online lectures to encounter the corona era in 202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non face-to-fac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ed of five steps(‘online instructional analysis and preparatio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online instructional material and contents development’, ‘online implementation’, and ‘online instructional evaluation and reflection’) was developed. This model was characterized by repetitive and cyclic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nto a ‘procedure model’ including the main activities that the professors should perform at each stage of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a ‘detailed model’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or strategies for the main activities.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fiel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effective use of the model, an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class or practical class in university.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 컨설팅 도구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도입ㆍ운영한 수업에 대해 수업컨설턴트가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를 개발ㆍ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교수학습 전략과 적용 사례, 그리고 플립러닝 수업 컨설팅에 관한 주요 문헌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단계(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에 따라 확인해야 하는 사항은 분석문항으로, 분석문항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점검해야 하는 부가설명들은 각 문항의 하단에 괄호로, 분석문항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참조해야 하는 자료목록은 해당 문항 옆에 분석대상 자료로 내용을 구성하여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5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증받은 분석도구가 실제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수업컨설턴트 5명을 대상으로 외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21개의 문항이 대학의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분석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양식이 개발되었다. 결론적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의 활용 가능성, 분석하고자 하는 수업의 특성에 따른 수업컨설팅 도구의 융통적 활용,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충분한 자료의 제공, 다양한 분석자료 활용의 필요성, 분석문항별 상세 안내를 위한 부가 설명의 적절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to support consultants to perform practical and systematic consulting on flipped learning instruction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niversity professors or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flipped learning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based on items that can analyze the instructional phases of flipped learning (pre-class, in-class, after-class), the additional guides for each items, and a list of materials to refer for confirming the conten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draft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in the field of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in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the external validity was implemented by 5 instructional consultants with experience i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 confirm whether this tool is applicable in the actual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inal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ith 21 items for analyzing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as developed.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applicability as a tool for self-instructional consulting, the flexible use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s, providing various instructional resourc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necessity of using various list of materia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additional guide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item.

      • KCI등재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임정훈 ( Junghoon Leem ),김상홍 ( Sangh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기반 플립러닝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P초등학교 6학년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일반적인 플립러닝 집단) 및 통제집단(전통적인 ICT활용수업 집단)을 선정하였으며, 2015 3월 2주부터 12월 2주까지 총 32주간 장기간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스마트교육기반 플립러닝 집단 학생들은 가정에서 교사가 만든 동영상으로 미리 공부를 하고 학교에서는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자료검색, 다양한 학습지원 도구 및 어플 활용, 온라인 협업 및 평가 등의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일반 플립러닝 집단 학생들은 가정에서 교사가 만든 동영상으로 미리 공부를 하고 학교에서는 스마트기기 없이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자료 등을 활용하여 상호간 지식공유 및 토론 활동 등을 진행하였다. 전통적 ICT활용수업 학생들은 교사가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자료를 보여주는 형태의 설명식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과 일반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ICT활용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협업능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러닝 기반 플립러닝은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러닝 기반 플립러닝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추후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achievement, collaboration ability, and ICT literacy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12 six graders who attend P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flipped learning group with smart devices, general flipped learning group) and control group(conventional ICT-based instruction group). The first result wa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score of two flipped learning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ICT-based instruction group significant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aboration ability between two flipped learning groups and control group. Collaboration ability score of flipped learning group with smart device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collaboration ability score of flipped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CT literacy between flipped learning group with smart devices and flipped learning group,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and collaboration ability. In addition,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is useful to facilitate ICT literacy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임정훈(Leem Jungh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 문제를 적용하여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을 혼합한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실제로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부천시 소재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6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문재중심학습 전략을 수립한 뒤, 학습 계획서와 지도안 작성, 온라인 학습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 개설, 문제중심학습 실행, 성찰 노트와 만족도 검사, 개별 심층 면접의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는 문제중심학습에 적합한 문제로 확인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 및 개별 면접 결과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활동에 대한 사전 훈련, 교사들의 다양한 문제 개발을 위한 노력, 협동 및 협력, 온라인 토론 기회의 제공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blem' appropriate for problem-based learning and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on 42 studen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er developed 'problem' for problem-based learning with textbooks for the 6th grade, established strategies bas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y. Next, researcher implement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community site for on-line learning. After finishing instruction,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lection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as a appropriate problem for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total satisfaction score was 3.81. General satisfaction score was 3.84, and satisfaction score about education effect was 3.79. Third,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view and reflection notes,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each other, utilized information resources effectively, and kept learning motivation during offline and online learning. Furthermore, they kept try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for cooperative learning in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can be implemented usefully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For better instruction, pre training as to learner roles for problem-based learning, reorganizing curriculum to reduce student's learning load,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online discuss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대학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임정훈(Leem, Jungho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두 명 이상의 교수자가 공통의 목적을 갖고 교수설계와 개발, 수업운영 및 평가 등을 함께 수행하는 팀티칭 교수법이 대학 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보고 팀티칭 교수법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팀티칭 교수법이 대학 융합교육에 활용될 경우 어떤 교육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융합수업을 기획, 설계, 개발,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팀티칭 모형들을 탐색해 본 뒤, 대학에서 어떤 형태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팀티칭을 통해 융합교육을 수행할 경우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관점이나 학제적 시각을 갖도록 해주고 창의적이면서도 융합적으로 문제해결 활동을 수행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융합수업을 위하여 참여교수자 역할 구분에 따른 팀티칭 모형, 수업프로세스 단계에 따른 팀티칭 모형, 그리고 교수활동 분담영역에 따른 팀티칭 모형 등 다양한 유형의 팀티칭 모형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대학 융합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 적용방안으로 융복합 교양교과목 공동개발 및 운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 학제적 접근 기반의 서비스러닝과의 연계, 캡스톤 디자인, 창의적 융합설계 교육에서의 활용, 플립러닝이나 MOOC 활용수업과의 연계 방안 등이 탐색되었다. 논의 및 결론: 끝으로, 융합수업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성공적 적용을 위하여 팀 구성, 수업 설계 및 운영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eam teaching that two or more instructors with their own expertise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e instruction together in order to facilitate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explored pros and cons of team teaching, and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models to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convergence education. Further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eam teaching in colleges or universities.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m teaching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in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suggested various types of team teaching models according to the professor’s role, instructional process level, and the distribution of instructional activities. Furthermore, collabora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liberal arts subjects, joi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or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connection with service learning based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use in capstone design or creative convergence-design education, and linkage with flipped learning or MOOC-assisted instruction were suggested as applicable ways of team teaching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some considerations in selection of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team teac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team teaching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의 주요 이슈와 소프트웨어 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공학자의 역할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최근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고도화, 지능화되면서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과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이러한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의미와 주요 특징에 대해 컴퓨터적 사고 측면에서 다양하게 살펴보고,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현황과 주요 이슈들을 탐색한 뒤, 향후 교육공학자들이 소프트웨어 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의미는 과거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논의시 제기되었던 튜터, 툴, 튜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특히 컴퓨터적 사고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융합인재란 어떤 인재를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방법, 소프트웨어 교원연수,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끝으로, 미래 소프트웨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담론에의 참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소프트웨어 수업분석을 위한 도구개발 및 수업컨설팅, 소프트웨어 인재에 대한 역량 모델링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자들 간의 공동 협력과 연구, 개발체제 강화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aning and main features of software education in term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and main issues of software education, and tasks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improving software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eaning of software education has been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utor, tool, tutee which was raised at the discussion about the educational use of computers in the past. In particular, computational thinking was discussed as a core factor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oftware education. The discussion concerning current status and main issues of softwar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chool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 charge of software education, and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Finally, participation in the discourse concerning softwar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for effective, efficient, and attractive software education,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tool for analyzing activities which occur in the classroom with software and instructional consultation, modeling competencies needed to the future human resources and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interested in software education were suggested as the future tasks of educational technologists for improving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가 인식하는 상호작용 전략의 중요도와 활용도 분석

        임정훈 ( Junghoon Leem ),신진주 ( Jinju Shin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이 연구는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교수자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전략과 수업 상황에서 주로 활용하는 전략, 그리고 교수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전략과 실제 활용하는 전략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대학교의 교수자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27개에 대해 유형별로 교수자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활용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수자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활용빈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와 활용도간에 나타나는 양상을 통해 개선해야 할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중요도-활용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수자들은 온라인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전략들에 대해 실제적 활용보다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별에 따른 IPA 분석결과, 중요도와 활용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는 교수자-학습자간 상호작용 유형과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유형이 나타나 이에 해당하는 전략들은 현 상태를 유지 강화할 필요가 있는 반면,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 유형은 중요도와 활용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 나타나 교수자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유형은 중요도는 낮지만 활용도는 높은 4사분면에 걸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작용에 대한 교수자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증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ategies perceived to be important by instructors to enhance interaction in online class and the strategies mainly used in online clas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k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27 interaction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online class of higher education. Using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73 instructors with online teaching experience from I university. Based on collected data, a paired-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attern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paired-sample t-test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of online class interaction strategies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The IPA results showed that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and ‘learner-content interaction’ were in the first quadrant, in which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high. On the other hand, ‘learner-inner interaction’ appeared in the third quadrant, in which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low,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was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which indicated low importance but high performance. As a result of detailed check on the location of the sub-strategie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structo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se interact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in online class of higher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