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대학교육의 접근성과 질 제고를 위한 제언 : accessibility and quality

        임연욱 대한교육법학회 2002 敎育 法學 硏究 Vol.14 No.2

        Many cyber universities recently opened in Korea with a potential to offer high quality tertiary-level education to a broad base of students. Their Web-based education programs can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time and spatial limits to access traditional off-line education. They can also benefit from technical advances such as multimedia capabilities of computers and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This study consider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the caber universities in Korea and finds several issues that are important to realize their potentials and enhanc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higher education. Deregulation of entering class size, building graduate programs, public promotion of the newly-opened cyber universities to reduce uncertainty about reputation of cyber university degrees, and mo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the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cyber universities to realize their full potentials to provide higher education to a broader base of students. But these are by no means sufficient because accessibility without quality is not sustainable. Most essential for quality education in a cyber university is securing enough quality faculty. Since cyber universities compete with off-line universities to attract faculty, they must be able to offer the same level of benefits and there should be no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against faculty at cyber universities in terms of, for example, qualification for research funds and projects. Also important to en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cyber universities is to identify and establish adequate amounts of workload for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that may be different from those in off-line universities where learning experiences are not comparable to on-line learning. Based on the adequate amount of workload for each faculty, cyber universities must maintain a certain number of full-time faculty, part-time instructors and class operators, and academic advisors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The level of tuition needs adjustment to the needs of various departments moving away from the current one-level-fits-all tuition policy. For sharing of educational contents among cyber universities to help raise the quality level of higher education at cyber universities, legal and institutional readiness is required to hand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sues that arise in sharing of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 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 간의 관계 분석

        임연욱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9 No.4

        공간적 표현에 대한 지식은 공간적 배열의 특징과 그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지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 제공 창의 형태(타일창, 단일창)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과 연관지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에 대한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를 통해 조사, 연구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의 Falk School에 재학 중인 7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내용에 관한 웹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측정되었고 이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에 의하면, 공간 지각력은 사후 검사 점수에 명백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전체표본과 부표본에서 모두 나타났다. 웹 기반 학습에서의 아동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는 그들의 공간지각력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력과 정보 제공 창의 형태 사이에 상호 작용의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생들은 타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공간지각력이 높은 학생들은 단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A window presentation style, either tiled window or single page design, determines the spatial arrangement of information in a modern computer-based instructional desig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window presentation style in terms of student’s achievement of cognitive knowledge through Web-based instruction. Seventy-one students from the Falk School in Pennsylvania were pre-tested to determine their level of spatial ability, then randomly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in order to study a Web-based instructional unit on flowering plants. The Web-based instructional package was organized with either tiled window presentation or single page presentation. A posttest measured participants’acquisition of the instructional content. Posttest and spatial ability test score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for the full sample (n=71) and three sub-samples: (a) 4th and 5th grade students only, (b) female students only, and (c) 4th and 5th grade female students only. The goals of the data analysis included the examination of (i)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posttest scores; (ii) the correlation between window presentation style and posttest score; and (iii) the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ptitude) and presentation style(treatment).The data from all four sampl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ability and achievement of cognitive knowledge at the 1% level of significance. The aptitude-treatment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style of window present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sample, but was significant in the sub-samples either at the 10% or 5% level. In neither the full sample nor any sub-sample data did window presentation style have an impact on average posttest score. In all analyses, the higher the level of spatial ability, the higher the posttest score. The sub-sample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low spatial ability performed better with the tiled window presentation, while those with high spatial ability did better with the single page presentation. Neither window presentation style was shown to better foster learning by children of all levels of spatial ability.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임연욱,Im, Yeon-Wook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s of dropout in a survey of 348 dropouts from a cybe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Most common reasons are time constraints due to work or family-related needs.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uncertainties regarding the value of a cyber university degree also played important roles. Drop-out students who pointed to these two reasons also suffered from lack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and professors. Efforts to address these issues are in orde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ime-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and financial aids.

      • KCI등재후보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중도이탈 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연욱,이광희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3

        Online universities opened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Korea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every citizen with the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and better life. However, the dropout rate in online universities is much higher than that in traditional universities. This paper explores solutions to dropout problems so that students in online universities can continue their studies until they get their bachelor's degrees. This paper reviews the related literature, the concept of dropou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then analyses dropout reasons and make recommendations to solve dropout problem. Finally, policies and detailed tasks on the part of school and government are proposed. 및 제언기존의 대학들과 비교하여 볼 때 사이버대학에서는 현재 중도이탈의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이 지속되고 학위취득으로 이어질 수 있으려면 대응책으로서 무엇보다도 사이버대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사이버대학이 정신적으로 편안하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의 안식처가 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 나아가야 한다. 동시에 사이버 상에 존재하는 학교에 대한 공허함이나 불신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 또한 필수적일 것이다.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중도이탈 방지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첫째, 사이버대학의 재학생 또한 사이버교육의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이에 걸맞은 학습자로서의 태도를 함양하여 사이버교육에서 낙오되지 않으려는 각오가 필요하다. 둘째, 사이버대학 차원에서는 전 교직원이 중도이탈의 문제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해결책을 위하여 노력함과 동시에 교직원 연수 등을 통해 의식의 개발과 상담 및 지도력의 향상에 노력함이 필요하다. 특히 학생 개개인의 잠재능력과 개성을 존중하고 자신의 여건에 맞는 학습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개별적인 지도방안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집단생활과 공동생활에 잘 적응해 나가며 좋은 인간관계와 가족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제공하고, 사회적으로는 주체적인 진로선택 능력을 배양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사이버대학에서는 잠재적 중도이탈자들이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 비하여 더 많은 정신적인 고독과 소외의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중도이탈의 가능성이 보이는 학생에 대해서는 학과별 지도교수를 중심으로 조기 발견, 학교 구성원이 해당 학생과 많은 접촉을 갖는 등 관심을 가지고 배려하여야 한다.셋째,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이나 적성, 흥미, 관심, 진로, 희망 등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선택 교과 과목을 설치하는 등 탄력적인 교육과정의 운영과 편성도 필요하다. 넷째, 학업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해서 혹은 성적이 부진하여 학업을 중단하는 학습자들에 대해서 학업의욕을 고취하고 학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독창적 연구와 프로젝트 개발이 계속되어야 한다. 다섯째, 개인차원, 학교차원 그리고 사회차원으로 재학생 중도이탈이 해소되고 지속적으로 추진되려면 법적, 제도적인 국가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사이버대학 모집 정원, 교육과정의 질 관리 등을 책임지고 필수적으로 제고하여야 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여섯째, 관계부처와 사회기관 등은 사이버대학이 도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교육관 설립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사이버교육의 중도이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고취, 전문상담인력 확보, 전문 상담지원, 탄력적 학사운영 지원, 관련연구 지원, 지역교육관 설립,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 및 제도 마련 등 학생 자신과 학교, 사회, 국가 차원의 상호 연계적이고 동시적이며 다각도의 중도이탈 해소 노력이 전개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e-Learning 환경에서 학생지원서비스에 대한 학습자의 중요도 인식과 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the link between the perceived significance and student satisfaction

        임연욱,강윤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0 No.1

        e-Learning 환경에서의 학생지원서비스는 학습자들이 성공적인 학습 수행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e-Learning 질 관리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재정적 제약 하에서 학생지원 서비스의 모든 영역에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이에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학생지원서비스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내고 이를 국내 6개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지원서비스에 대한 학습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의 인식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지원서비스의 전략이행의 우선순위를 규명하고 성공적인 e-Learning을 운영하기 위한 학생지원서비스의 실행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지원서비스의 7개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와 만족도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취업지원과 재정지원 영역은 평균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를 실시한 결과 취업지원 영역이 우선적으로 집중 관리해야 할 학생지원서비스로 나타났으며, 항목별로는 보충·심화학습 자료 제공(학습지원), 학습 소프트웨어의 제공(기술지원), 진학정보 제공 및 취업·진학상담요청(취업지원) 등 네 가지 항목이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학생지원서비스로 조사되었다. Student support servim in e-learning m h t play an hportant role in quality control for the students SUtCeSSful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rives seven areas~components) of student support services in e-learning through the review of literam, and examines students pescepl;lon of the slgnificamx! ordeclg of the seven areas and their satisfactjon Ievd in each a m of student support services in a survey of 120 students at six on-line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is result, the priorities among variaus types of student support services are set forth and their l r r p d m t i n g student support service areas show statistidy significant dfferetlce ween their strategies for sUCCeSSful e-learning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study, all of seven peroeptions of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level in student support services. After perfurming slgnrficance-satisfaction matrix, we find that the area of job placement upport is in need of systematic improvmt. At the item level, high priorities are given to such itans as pmviding s u p p l m t rnaterial(1eaming suppznt), providing learning m h ( W & c a l support), and p~viding educational guidance & job mnsulting(iob placement sumnt).

      • KCI등재

        e-Learning 학습자의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성향 요인들: 완벽주의, 반추사고, 자기결정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임연욱,하정희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이러닝으로 학습하는 279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성향 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반추사고, 자기결정성이 학업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정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클수록 반추사고를 많이 하게 되고, 반추사고를 많이 할수록 자기결정성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 결국 학업지연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반추사고와 자기결정성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클수록 반추사고를 덜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자기결정성 수준이 커지게 되어 학업지연을 덜 하게 된다는 모형이다. 둘째, 반추사고, 자기결정성, 학업지연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설명량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에 대해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반추사고와 같은 예측변인들의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들 가운데 특히 반추사고의 설명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학업지연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설명량은 자기결정성에 대한 설명량보다 적게 나타났지만, 예측변인들 가운데 특히 자기결정성의 설명량이 매우 크게 나타났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대한 교육적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h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reflective thought, and self decision making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nvestigates its structural model with the sample of 279 college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d, reflective thought increased. As reflective thought increased, the degree of self decision making decreased. As a result, academic procrastination increased. This study chose the modified model as the final model. Also, self-oriented perfectionism gave direct influences on both reflective thought and self decision making. As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reflective thought decreased. This allowed self decision making increase and led to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ly, such predicting variables as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reflective thought showed high R squares toward self decision making, and among them reflective thought was the highest. Although the R squares of predicting variables towar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self decision making, the R square of self decision making was much higher compared with others.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described and the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