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역가변길이 부호를 위한 테이블 압축방법

        임선웅,배황식,정정화,Im, Seon-Ung,Bae, Hwang-Sik,Jeong, Jeong-Hwa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3

        본 논문에서는 가역가변길이 부호를 테이블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러개의 부호들을 적은 개수의 값들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새로운 알고리듬으로, 가역가변길이 부호의 부호내의 비트 천이개수와 부호 구성 트리에서의 레벨을 이용하는 TNWT(Transition Number and Weight of Tree)방법을 제안한다. 압축에 앞서 가역가변길이 부호들의 가중치와 천이개수를 구하고, 신장된 값들이 서로 구분이 안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테이블의 값들을 재배열한다. 재배열이 끝난 배열의 값들을 세 개씩 묶어 압축된 테이블을 얻는다. 압축된 테이블은 부호의 천이개수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복호해 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약 20% 적은 크기로 테이블 메모리를 구성하고, 압축된 테이블로 복호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 table compression method for reversible variable length code is proposed in this paper. TNWT(Transition Number and Weight of Tree) method, which uses the transition number of bits within a symbol and the level of a code tree, is proposed. Compression of table values is performed after arrangment of values that is not distinghishable by transition number and weights. In decoding, the transition number and weight of code are used. In this method, the table for RVLC decoding can be implemented with a smaller memory.

      • KCI등재후보

        비만아에서 지방간의 예측 인자로서 혈청 Aminotransferase의 임상적 유용성

        임선웅,전명원,박신애,최경단,Lim, Seon-Woong,Jeon, Myeong-Won,Park, Sin-Ae,Choi, Kyeong-D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지방간은 여러 비만 합병증 중의 하나로 최근 소아 비만이 늘어나면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소아에서 지방간은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지방 섬유화와 지방 간경변으로 진행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서 지방간의 조기 진단과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비만아에서 간 효소치의 상승으로 지방간의 동반 유무 및 그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비만아에서 지방간을 예측할 수 있는 다른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예수병원 소아과 비만 클리닉에 내원한 4세부터 16세사이의 환아 중 비만도가 20% 이상인 44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의 비만도,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고 체성분 분석, 간 효소치, 혈청 지질 검사 및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0.3{\pm}2$세였고 남자는 29례, 여자는 15례였다. 비만도는 경도 비만은 15례(34%), 중등도 비만은 16례(36%), 고도 비만은 13례(30%)였다. 34례에서 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였는데 지방간이 없는 군은 15%, 경도 지방간은 29%, 중등도 지방간은 47%, 고도 지방간은 9%였다. 2) ALT치의 상승은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89.7%, 지방간이 없는 비만아에서 40%였고, AST/ALT비가 1보다 작은 경우는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96.6%, 지방간이 없는 비만아에서 60%로 지방간의 동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ALT치의 상승과 AST/ALT비의 감소는 지방간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지방간 군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 혈증이 있는 환아의 수가 비지방간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나이, 비만도, 체지방률, 복부비만율,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비만아에서 ALT치가 상승하거나 AST/ALT비가 1보다 작은 경우는 지방간의 동반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이 높은 경우 또한 지방간의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간의 예측 인자가 동반된 비만아에서는 지방간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비만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ALT치의 상승과 AST/ALT비의 감소를 통해 지방간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지방간의 진행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초음파 검사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ildhood liver disease, especially wher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elevated serum aminotransferase activities and their ratio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fatty liver and its severity in obese children. Methods: Forty-four children (M/F 29/15, age 4 to 16 years) with obesity (weight excess>20%)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ith medical records based on degree of obesity, bioelectrical impedence, serum aminotransferase activities, lipid profiles and ultrasonography. Results: 1) Ultrasonography was carried out in 34 cases. Elevated serum ALT was found in 89.7% (26/29) of the patients diagnosed as fatty liver by ultrasonography and decreased AST/ALT ratio (<1) was found in 96.6% (28/29).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levated serum ALT (>45 IU/L) or decreased AST/ALT ratio (<1) and the fatty liver in obese children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ALT or AST/ALT ratio and the degree of fatty liver (p>0.05).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atty liver (p<0.05). Conclusion: Serum ALT activity and AST/ALT ratio were useful to predict the presence of fatty liver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in obese children, whereas they were not useful to predict the degree of fatty liver. Therefore, to prevent fatty liver progressing to advanced liver disease,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monitor the obese children continuously, especially those who have predicting factors of fatty liver.

      • SCOPUSKCI등재

        2대에 걸쳐 나타난 염색체 2번과 20번의 비균형적 전위 1례

        민세아,임선웅,김영숙,이오경,Min, Saeah,Lim, Seonwoong,Kim, Youngsook,Lee, Ohky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저자들은 안구돌출, 각막혼탁, 혀 유착증, 짧은 목, 뇌실 확장, 심방중격결손증, 동맥관개존증 및 양측 다섯번째 중위지골이 짧은 증상을 갖은 선천성 이상 환아에서 세포 유전학 검사를 통해 2번과 7번의 비균형 전위로 인한 7번 염색체의 부분 삼체성, 2번과 20번의 비균형 전위가 모친에 의해 유전되어 나타났음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n unbalanced translocation is frequently the result of inheritance of an unbalanced haploid set from a parent with a balanced translocation. Families in which one parent is a balanced translocation carrier fall into the following classes : Those in which none of the possible abnormal offsprings is viable; Those in which one type of offspring, usually the one with the smaller deletion, is born alive; Those in which two types of abnormal offspring are viable. We report a neonate whose karyotype was 46,XX,der(2)t(2;7)(q21;p21.2),der(20)t(2;20)(q21;p13). She was small for her gestational age and had multiple anomalies such as exophthalmos, corneal opacity, short neck, tongue tie, clinodactyly, atrial septal defect,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ventriculomegaly. Moreover, her mother's karyotype was 46,XX,der(2)t(2;7)(q21;p21.2),del(16)(q22.1),der(20)t(2;20)(q21;p13) but her father had normal karyotype. The same derivative chrosomes were found between mother and her infant, except for del(16)(q22.1) in her mother and these same unbalanced translocations in a two-generation family are extremely rare.

      • KCI등재

        소아 로타바이러스 원내 감염의 위험 인자

        박신애,유선희,임선웅,최경단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4

        Purpose: Rotavir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nosocomial infections among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isk of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reast-feeding and probiotics in the prevention of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dmitted children without diarrhea between March 1, 2003 and February 29, 2004. Three hundred ninety patients aged 4 days to 13 years during this study were available. We examined the feces of all children for rotavirus by latex agglutination on admission, during hospital, and after discharge, to see whether they developed diarrhea or not. Results :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hildren under 12 months of age(P=0.008). The monthly attack rate was great between December and March(P=0.046). Prolonged hospital stay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ttack rate of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P=0.003). The risk of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roommates and whether or not they were breast-fed or fed on probiotics. Conclusion :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occur in children under 12 months of age, admitted between December and March, and with prolonged hospital stays. Prompt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children with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even without diarrhea, may decrease rates of nosocomial rotavirus infections. 목 적 : Rotavirus는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영 유아 급성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또한 영유아기의 원내 감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rotavirus 원내 감염의 위험 인자와 모유 수유 및 정장제 등이 원내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rotavirus 원내 감염의 불현성 감염률과 퇴원 후 증상 발현율 등에 대해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 사이에 전주예수병원 소아과에 설사증 이외의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 중 3회 이상 대변 검사를 하였던 390명을 대상으로, 입원 기간과 퇴원 후 3일째 대변 검사에서 rotavirus 항원 양성이었던 환아를 원내 감염군으로 하고, 비감염군은 입원 기간과 퇴원 후 3일까지 설사 증상이 없고 rotavirus 항원 검사 음성이었던 환아로 하여 rotavirus 원내 감염의 위험인자를 관찰하였다. 대변 검사는 입원 첫날 latex 응집반응 검사법으로 rotavirus 항원을 검사하였다. 입원 첫날 대변에서 세균 배양 검사와 rotavirus 항원 검사가 음성인 환아에서 rotavirus 원내 감염을 알기 위하여 입원 4일째, 그 후 입원 기간동안 매주 1회, 퇴원 후 3일째 대변을 채취하여 rotavirus 항원을 검사하였다. 입원 72시간 이후에 설사증이 있는 환아는 설사 발현 즉시 신선한 대변을 채취하여 rotavirus 항원 검사를 실시하였다.결 과 : Rotavirus 원내 감염군은 30명이었고, 비감염군은 246명이었다. 연령별로는 12개월 이하에서 15.8%이었으며, 13개월 이상에서 5.8%로 12개월 이하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0.008). 계절별로는 12월부터 3월 사이에 입원한 환아에서 16.5%이었으며, 4월과 11월 사이에 입원한 환아에서 8.4%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0.046). 평균입원기간은 rotavirus 원내 감염군에서 10.2±5.6일이었으며 비감염군에서 8.0±3.4일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0.003). 그러나 본 연구에서 rotavirus 원내 감염은 입원 병실, 모유 수유나 정장제 사용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 재발의 위험인자에 따른 고위험군 선별에 대한 연구

        유선희 (Sun Hee Yu),임선웅(Sun Woong Lim),장영택(Young Taek J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열성 경련은 전체 소아의 2-5%에서 최소한 1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상당히 많은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 일치된 의견이 없다. 또한 열성 경련의 예후는 대부분 양성 경과를 취하지만 30-40%에서 재발하게 되며, 드물지만 간질로 이행하거나 신경학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열성 경련을 경험한 어린이의 부모들은 많은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열성 경련의 재발에 대한 위험인자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그들의 부모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치료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8월까지 6년 6개월 동안 발열을 동반한 경련을 주소로 전주예수병원을 방문하여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았거나 입원했던 만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환아 중 초회의 경련이면서 비열성 경련의 과거력이 없으며, 중추신경계 감염이 없는, 2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3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첫 열성 경련 시의 연령, 발열의 정도, 경련의 지속시간, 경련의 형태, 혈청 나트륨 농도, 성별, 신경학적인 이상 유무, 가족력 등과 열성 경련의 재발과의 관계를 조사, 비교하였다. 결 과 : 1) 첫 열성 경련 시 성별 및 연령 분포 : 대상 환아의 남녀의 비는 1.33:1이었으며 첫 열성 경련시의 연령 분포는 18개월 이하가 48.5%로 가장 호발하였다. 2) 위험인자별 재발률 : 첫 열성 경련의 발생 연령이 18개월 이하였던 166명 중 69명(41.6%)에서 재발하여 다른 연령 군에 비하여 재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4). 성별에 따른 재발률은 남녀각각 33.3%, 34.7%로 재발률의 차이는 없었으며, 열성 경련이 생기기 전 신경학적 이상의 유무에 따른 재발률도 각각 33.9%와 33.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었던 경우 52.2%의 재발률을 보였고, 가족력이 없는 군에 비하여 재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2). 간질의 가족력과 열성 경련의 재발과의 관계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초발 열성 경련 시의 발열의 정도는 재발률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39℃ 미만과 39℃ 이상에서 각각 35.1%, 33.6%의 재발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초발 열성 경련의 경련 형태에 따른 재발률은 단순 열성 경련인 경우와 복합 열성 경련인 경우 각각 32.2%와 43.6%의 재발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청 나트륨 농도에 따른 재발률에 있어서도 135 mEq/L 이상과 미만에서 각각 29.5%, 35.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초발 열성 경련 시의 연령과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와 1개인 경우, 2개인 경우에 재발률은 각각 21.9%, 36.4%, 57.1%로 위험인자가 많을수록 재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열성 경련의 재발 시기 : 재발을 경험한 환아에 있어 재발 시기는 6개월 이내가 39.7%, 1년 이내가 69.9%, 2년 이내가 94.0%로서 대부분 첫 열성 경련 후 2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결 론 : 열성 경련 재발 예측의 위험인자로서 첫 열성 경련의 발생 연령(18개월 이하)과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의미가 있었고,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보다 위험인자의 수가 많을수록 열성 경련의 재발률은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 재발의 시기는 대부분 첫 열성 경련 후 2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따라서 위와 같은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에 있어서, 특히 두 가지 요인을 모두 가진 환아는 고위험군으로서 열성 경련의 재발 가능성, 고열에 대한 대처, 재발 시 대처, 열성 경련의 예후 등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 Febrile seizure affects 2 to 5% of children, but 30 to 40% of the children who already had febrile seizure experience another febrile seizure. We researched to define a high risk group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through investigating several risk factors. Methods : We evaluated 342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or treated in the emergency room for their first febrile seizure from March, 1995 to August, 2001. We assessed various risk factors, such as age, the type of seizure, body temperature, serum sodium concentration, sex, neurologic abnormalities, and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 or epilepsy. Results : Age at the first febrile seizure(≤18 months) and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 The study showed that 21.9% of the children who had none of these risk factors, 36.4% of the children who had one, and 57.1% of the children who had both factors had recurrent febrile seizures. Thus, the recurrence rates clearly increase as the number of these factors increase. Conclusion : Two major risk factors for recurrent febrile seizures were identified: early onset(≤18 months) and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 The risk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these risk factors increased. Consequently, children with both risk factors were considered to belong to a high risk group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