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聲調 方言의 非語頭 長音에 관한 問題 -만두소:(LLR), 그래:도(LRH) ; 아랫마:(LLF), 바래:고(LFL) 유형-

        임석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Generally, an intonation existing in the eastern parts of Korea such as Geongsang, Hangyung and Yeongdong provinces plays an important role. However, many researchers think that length also has a meaningful function in tonal dialect. In this paper, I insi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gth in Gyeongbuk dialect and Seoul dialect should be different. So far, there have been no particular opinions about the falling pitch after the second syllable such as LFL(caphigo) and LLFL(namurɛgo). However, the questionnaire items on the rising tone of the second syllable and the third syllable have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As a result, the rising tone in everyday conversation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and third syllables that the rising tone did not seem to appea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length of non-initial syllable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onal dialect through kƜrɛdo(LRH), Noh Mu-hyeon(LRH), Moon Jae-in(LRH), ʧalgara(LRH), kaʤimalgo(LLRH), t'ǝnabwado(LLRH), etc. This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onal types that appear in other dialects. Also,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phase of Korean tone while showing 7 tonal types for 2 syllable words and 11 tonal types for 3 syllable words (breath-group). 임석규, 2019, 성조 방언의 비어두 장음에 관한 문제, 어문연구, 181 : 7~25 경상남북도, 함경도, 강원도 영동 지역의 말은 성조가 유의미한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도 성조 외에 음장도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연구자가 많다. 이 글에서는 성조 방언의 장음과 음장 방언의 장음은 그 성격이 명백히 다르다는 것을 밝힌다. 그동안 하강조(LFL 바래:고, LLFL 나무래:고)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지만 비어두의 상승조에 대해서는 조사 항목조차 제대로 꾸리지 못했다. 그러니 자연 발화에서 비어두에서 상승조가 나타나더라도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까지 보였다. 그 결과 성조 방언의 상승조를 음장 방언의 장음과 동일시하게 되었고, 급기야 이 상승조는 비어두에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이해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북 영주의 만두소:(LLR), 그래:도(LRH), 잘가:라(LRH), 노무:현(LRH), 문재:인(LRH), 가지마:고(LLRH), 떠나봐:도(LLRH) 등을 통해 비어두의 상승조를 성조 방언의 또 다른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다른 방언권에서 실현되는 성조 현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이다. 아울러 한 기식군을 이루는 성조형의 경우, 2음절은 7개 유형, 3음절은 11개 유형을 제시하면서 한국어의 성조 언어로서의 지위도 강조한다.

      • KCI등재

        石山寺 所藏 加句靈驗佛頂尊勝陀羅尼記에 대한 一考察

        임석규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This paper infers the status quo and characteristics of Gaguyunghumbuljeongjonseungdaranigi (meaning script attached by stories with Usnisa Vijaya Dharani) Sutra Ishiyama temple possesses (the "Ishiyama temple version"), the reason why Balhae handed it to Japan and background why it was kept in Ishiyama temple. Ishiyama temple version was the first Gaguyunghumbuljeongjonseungdaranigi handed to Japan in 861 by the 27th special envoys to Japan led by Lee, Geo-jeong. This paper surmises that special envoys visited Japan to pay Balhae's respects to deceased Montoku, Japanese emperor, and that they brought this scripture in a hope for all sins of Emperor Montoku to disappear and for him to live eternally in the paradise. Ishiyama temple version is very important in grasping Esoteric Buddhism of Balhae. However, there were few statues of the Buddha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Esoteric Buddhism and it is hard to investigate relics in China at first hand. In this contex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fter gathering more data. Materials related to Balhae in Jap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materials that were gathered during an investigation in line with a colonial policy star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other is materials related to direct exchange between Balhae and Japan from the 7th century to the early 10th century. The former consists of roof tiles and statues of the Buddha kep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Tokyo while the latter is made up of only Gaguyunghumbuljeongjonseungdaranigi in Shiga-ken Otsu-si Ishiyama temple. This script is the only buddhist relic handed to Japan through direct exchange between Balhae and Japan, and has grea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hidden aspects of Balhae's Buddhism.

      • KCI등재

        기상 조건과 축열조 용량에 따른 복합 포물형 집열기(CPC) 시스템의 열적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임석규,정영관,김경훈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9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30 No.1

        Static compound parabolic collectors (CPCs) have advantages such as ease for fabrication and lower cost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ng collectors. In this study,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CPC employing heat storage tank was carried out. The clearness index and capacity of heat storage tank are taken as the main parameters for numerical simulation.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hourly and daily system performances ncluding the useful energy, heat loss, and collector efficiency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has a potential for efficient recovery of solar thermal energy.

      • KCI등재

        차용어의 성조패턴 L1HL에 대하여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3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onal pattern of loanwords. When is accepted a loanword, many constraints of korean phonology are activated not only on segmental level but also on supra-segmental level. Because of initial-constraint in korean, “strike” is pronounced as “스트라이크”. Falling diphthong like “ay” is recognized as two syllables. The very syllable that high tone is located is important. When is accepted a loanword, high tone on penultimate syllable is located is dominant in tonal pattern. In certain dialects, the tonal pattern of L1HL is most often realized. I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position in the syllable. This metrical constraint is related to tonal patterns of the Middle Korean and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onal rule in Kyeongsang-dialect. 차용어를 받아들일 때 분절음 층위에서도 해당 언어의 제약이 작용하듯이, 초분절음 층위에서도 특정 성조패턴이 관여한다. strike의 경우 한국어의 음절구조제약으로 인해 모음 ‘으’를 첨가하여 첫 두 음절을 발음하고, 하향이중모음 ay 또한 두 음절로 발음해야 한다. 그렇게 형성된 5음절어 ‘스트라이크’를 성조 방언 화자들은 어떤 성조패턴으로 발음하는가가 본고의 관심사이다. 차용어의 경우 ‘끝에서 둘째 음절 위치에 고조가 놓이는 것(L1HL)’이 지배적인바, 이는 해당 방언에서 가장 강력한 성조패턴으로 작용한다. 이는 성조변동규칙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율동제약으로 이해될 성질의 것이다. 이 제약은 중세국어 성조패턴과도 관련되며, 방언에서의 성조변동규칙과도 밀접히 관련될 정도로 그 의의가 크다.

      • KCI등재후보

        동남방언 음운론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

        임석규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성조방언의 연구에서 성조는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성조에 대한 인식 없이는 한 방언의 실체가 제대로 드러날 수 없다. 모음목록을 제시할 때에도 성조를 고려한 최소대립쌍이 설정되어야 한다. 최소대립쌍이 제대로 설정될 때 해당방언의 모음체계는 비로소 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아울러 복수기저형을 인정한다면 성조방언에서는 성조까지도 고려한 복수기저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강조가 몇 음절인가 하는 문제는 분절음운론의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 동안 하강조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그 성조가 유지된다고 하여 두 음절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몇몇 근거를 통해 하강조를 상승조와 동일하게 단음절(單音節)로 파악한다. 또한 환경을 곡용과 활용에만 한정하지 않고 단어내부는 물론 단어경계에까지 폭넓게 관찰하게 되면 몇 가지 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곡용어간말 'ㄹ' 뒤에서의 경음화도 일반화가 가능하다. 둘째, 활음첨가 또한 형태론적 제약 없이 기술될 수 있다. 셋째, 2음절 이하에서도 상승조가 나타나는 몇몇 성조형 LRH, LLRH 등이 보고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some issues on Dong-Nam Dialect. The recognition on tone plays a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phonological issues, because there exists tone in this dialect. The tone of minimal pairs must be always considered in establishing vowel inventory. And the number of muti-underlying representation can be increased, when tone is considered, When data is observed in word boundary, more significant generalization can be established. / t/, / i\ / and / 7c/ following / /-final stem acquire tensinity in declension or word boundary. And the number of tonal pattern is increased, if it is obserbed in word boundary. The glide insertion in vowel sequences can be described as not morphological constaints but phonological constraints. (1) V1jV2 : When either V1 or V2 is [-back], /j/ is insered (2) V1wV2 : When both of V1 and V2 is [+back], /w/ is insered

      • KCI등재

        경상도 서부 지역 방언의 율동제약과 관련 등어선

        임석규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7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metrical constraint and its isogloss of Kyeongsang-dialect. T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alectal division. Tonal metrical constraints of Kyeongsang-dialect can be classified two patterns. It is dominant in tonal pattern that the high tone on penultimate syllable as L1HL and LH1L is located. L1HL; Western dialect of Kyeongbuk(Munkyeong, Sangju, Gimcheon, Gumi sub-dialect) LH1L; Western dialect of Kyeongnam(Geochang, Hamyang, Sancheong, Hadong, Jinju, Sacheon, Namhae sub-dialect) The isogloss dividing western dialect of Kyeongbuk and estern dialect of Kyeongbuk is related with L1HL of metrical constraint. And the isogloss dividing western dialect of Kyeongnam and estern dialect of Kyeongnam is related with LH1L of metrical constraint. The L1HL of metrical constraint is very important in dialectal division 그동안의 방언구획론에서는 성조 현상에 관한 항목들이 본격적으로 언급되지 못했다. 억양이 중요함을 고려한다면 성조 현상을 등어선 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상도 서부 지역 방언에는 저조로 시작하는 어형인 경우 율동제약이 두 가지 존재한다. 그 하나는 경북 서부에서의 L1HL 율동제약이고 다른 하나는 경남 서부에서의 LH1L 율동제약이다. 전자는 ‘껍디기부터라도(LLLLLHL)’처럼 끝에서 둘째 음절에 고조가 놓이는 것이고 후자는 ‘껍디기부터라도(LHHHHHL)’처럼 끝에서 둘째 음절까지 고조가 놓이는 것이다. 저조로 시작하는 어형이 많음을 고려할 때 이들과 관련된 등어선은 방언구획론에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경북의 문경, 상주, 김천, 구미 지역어에는 L1HL 율동제약이 존재하여 그 동부 지역어와 철저하게 구분되며, 경남의 거창, 함양, 산청, 하동, 진주, 사천, 남해 지역어에는 LH1L 율동제약이 존재하여 그 동쪽 지역어들과 구분된다. 여러 언어적 사실에 근거할 때 두 율동제약 중 전자와 관련된 등어선에 보다 큰 점수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 국어 교과서에서의 유음 탈락 기술 검토

        임석규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6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on liquid deletion that are describ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Furthermore, the correct way of describing will be proposed for liquid dele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Such problems are caused by following Hangul Spelling Regulations in 1933 uncritically. On the other hand, liquids deletion had not received the limelight even in the early 1980s,unlike the synchronic assimilation phenomenons and diachronic phenomenons. Liquids deletion should be described into three aspects as follows;(1) Liquids deletion by phonolog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s'ɨl+nɨn→s'ɨnɨn s'ɨl+nik'a→s'ɨnik'a (2) Liquids deletion by morphemically conditioned alternation:s'ɨl+o→s'ɨo s'ɨl+ma→s'ɨma (3) Liquids deletion by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s'ɨl+mnida→s'ɨmnida, s'ɨl+n→s'ɨn

      • KCI등재

        用言 ‘가(去)-’類의 불규칙적 성조 실현과 化石形 -경북방언에서의 先語末語尾 ‘-오/우-’ 對應形을 중심으로-

        임석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There remains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in Dongnam-Dialect.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usage in middle korean. When the intention of syntactic unit functioning as subject can be expressed in some sentences, the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can be uttered by rising tone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ka-’. The rising tone in kallɛ(RH), kallana(RHL), kama(RH), kallik'yə(RHL), kallandoŋ(RHL) etc. can be described in phonological environment. Irregular tonal pattern of verb stem ‘ka-’ enables me to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underlying form. This is well shown at kago(HL), kamǝn(HL), kagɨra(LHL), kals'urok(LHL), kanda(HH), and kasinda(HHL). Therefore, I establish three underlying form; ‘ka(H1)-’, ‘ka(H2)-’ and ‘ka(R)-’. In this study, the rising tone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ka-’ is explained the fossils of prefinal ending ‘-o/u-’ in middle korean. But these fossils are not remained in the paradigm of verb stem ‘tha-’ which had uttered by high tone in middle korean ; thallɛ(HH), thama(HH), thago(HH), thanda(HH), etc. 현대 경북방언에서는 先語末語尾 ‘-오/우-’와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된다. 경북방언에서는 가마(RH), 갈래(RH), 갈라나(RHL), 갈란동(RHL), 갈리껴(RHL), 갈따(RH) 등과 같이 語幹 ‘가(去)-’류가 上昇調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共時的인 音韻論的 環境으로 도저히 설명될 수 없다. 또한 用言 ‘가-’는 가고(HL), 가그라(LHL)에서처럼 可變的 高調로 실현되기도 하고, ‘가는(HH)’, ‘가도(HH)’에서처럼 不變的 高調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에 用言 ‘가-’류의 基底聲調는 ‘R’, ‘H₁’, ‘H₂’ 셋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가마(RH), 갈래(RH), 갈리껴(RHL) 등에서처럼 語幹이 上昇調로 실현되는 경우를 先語末語尾 ‘-오/우-’의 化石形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어간 ‘가-’류는 約束이나 意圖를 나타내는 語尾와 통합할 때 上昇調로 실현되는데, 2인칭, 3인칭 주어와 통합하는 경우에도 상승조는 실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