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본질과 가능 세계 ― 통세계적 동일성의 문제와 상대역 이론을 중심으로 ―

        이혜은 ( Lee Hyeeu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0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e special problem that is raised in using the notion of possible worlds to understand essences. Furthermore, the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alternatives. Specifically, there is the problem of transworld identity, that is, Leibniz’s Law of the principle of the indiscernibility of identicals is broken among objects in different possible worlds. Therefore David Lewis suggests the counterpart theory. It shows that objects are not identical but similar across possible worlds. I accept that the notion of possible worlds is used to account for essences but reject that objects are transworld identical. In conclusion, I argue that we can get much better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it?”- by considering individual essences and intrinsicality.

      • KCI등재

        휴먼 브랜디드 콘텐츠: 1인 미디어를 이용한 아이돌 그룹의 팬덤형성

        이혜은 ( Hyeeun Lee ),이세진 ( Se-ji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유튜브의 확산으로 1인 미디어의 활약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인이 진행자로 나섰던 초기의 1인 미디어는 이제 스타나 아이돌 그룹 등 유명인으로도 확대되어, 팬들과의 소통 창구가 되고 있다. 휴먼 브랜드는 영화배우, 모델, 가수, 방송인, 스포츠 스타 등 각 분야에서 인기와 지지를 받는 모든 유명인들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는 스타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아이돌 스타와 팬덤이 1인 미디어를 통해 소통했을 때 팬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성(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반응성)과 콘텐츠 특성(정보성, 오락성)이 콘텐츠 수용자들의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참여행동이 콘텐츠 수용자들의 휴먼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상호작용성 중에서 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참여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반응성은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콘텐츠 특성 중 정보성과 오락성은 콘텐츠 수용자의 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여행동은 콘텐츠 수용자의 휴먼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아이돌 스타나 연예인들의 1인 미디어 방송을 휴먼 브랜드의 가치를 창조하고 유지하는 도구로 보고, 이를 ‘휴먼 브랜디드 콘텐츠’라고 개념화했다. 스타들의 1인 미디어를 브랜디드 콘텐츠의 시각에서 살펴본 것이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With the spread of YouTube, the use of one-person media are remarkably increasing. The early one-person media, where the general public came out as a host, are now expanding to celebrities such as stars and idol groups, beco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fans. Human brands include celebrities who are popular and supported in each field, including actors, models, singers, broadcasters and sports star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celebrities affect the fandom when communicating through one-person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interactivity (active control, two-way communication, responsivenes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content audien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behavior on human brand attachment and human brand loyalty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interactivity, active control and two-way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behavior, but responsiveness did not affect participation behavio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content audiences. Third, particip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brand attachment and human brand loyalty. This study viewed one-person media by celebrities as a tool to create the value of a human brand, and named it “human branded cont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ee celebrities’ use of one-person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ed contents.

      • KCI등재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자기 삶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s linking income and happiness, focusing on how Korean individuals' self-evaluation of their lives and stress levels influence this relationship among various other variables. Methods To this end, we used the 2022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s ‘Korean Happiness Survey’ to determine how stress regulates the impact of income level and life evaluation on happiness, and 12,998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those without personal incom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responses.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and all direct effects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income level and overall happiness, we confirmed through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est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life evaluation is moderated by stress. As a resul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stress level. Conclusion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목적 본 연구는 돈과 행복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에서 한국인의 자기 삶에 대한 평가와 스트레스 변인을 중심으로 소득과 행복 간의 관계 사이의 메커니즘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회 미래연구원의 ‘한국인의 행복 조사’ 데이터 중 2022년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수준과 삶에 대한 평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스트레스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인소득이 없는 대상을 제외한 12,998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잠재 변인 간 직접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에 대한 평가의 간접효과가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조건부 간접효과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관계 없이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