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雲峴宮의 空間구성에 나타난 방향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병 부천대학 2000 論文集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sts in understanding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orientation, and the elements of orientation are distinctively reflected from plans and plain forms i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concept of orientation may be said to be one of the factors that can construct an environment adequate to man and describe the relations among structures and between architecture and man. Wounhyon-gung, built in 1864, is characterized in its orientation by locating Noan-dang, a space for men, in the front of long form of building site from south to north and Norak-dang, a space for women, in the rear. Furthermore, ingress and egress were made available through the front yard of Noan-dang and Norak-dang. and principle rooms such as an inner room, that is, the master space of the house, the male quarters, etc. are located on the eastern side of the building. This principle of space construction were identified to be determined by the concept of the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and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It is expected for us to understand no merely the principle of space construc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a house and people.

      • 星州 한개마을 空間構成 및 配置特性에 관한 연구

        이현병 부천대학 2003 論文集 Vol.24 No.-

        주거건축에 대한 최근의 경향은 자연 친화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표현되는 건축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집합주거의 배치계획에서 이러한 현상은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거주자에 최적의 생활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개념에서 출발한다. 자연친화적 건축요소는 한국의 전통건축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적용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마을의 공간구성 및 배치계획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여 현대 주거건축의 공간계획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마을로 선정한 한개마을은 한국전통 씨족마을로 마을의 입지 형태가 분명하고 공간구성이 체계적이어서 본 연구에 적합한 마을이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을공간은 자연의 지형, 지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주거지의 터를 정하고 구성하였다. 마을공간은 6개의 지역으로 분류되는데 이 지역에 접근하는 도로의 구성체계는 자연지형에 따른 경사에 의하여 이루어져 대지에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현대의 기능적이고 경제성을 우선으로 계획되어지는 직선형 위주의 도로체계와 구분되며, 건물배치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 및 좌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축배치의 주축은 마을의 향인 남서방향에 일치하며, 주택의 좌향은 대부분 남서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의 주거계획은 남향을 최우선으로 정하여 공간을 배치하는 경향과 대조되는 요소로 한국의 전통건축은 마을입지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건축계획이 이루어졌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한국 전통주거는 자연환경의 보존과 더불어, 인간과 유기적인 관계를 설정하여 공간이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의 주거계획은 건축물 입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거주자의 생활 및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 지리라본다. Recent housing construction trend expresses its architectural space, after incorporating nature-friendly elements. The trend is on the increase in multiple dwelling houses layout, based on concept of providing optimum living space for dwellers. The nature-friendly building elements are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various modes, and numerous research attempts on its application methods have been mad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elements applicable to space planning of modern residence building,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space construction and layout plan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Hangae Village selected as research target is a traditional clan village and its form of location obvious, and space composition systematic, making this village ideal for this research. The major conten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e residential building lot was determined and the space composed in full utilization of topography and terrain of nature. The village space is divided into six zones and composing systems of roads accessing the zones follow slopes of natural topography easily accessible. This system differs from modern straight-line road system planned on function and economy basis, and has advantage of accommodating various shapes and directions in buildings layout. The principle axis of building layout corresponds with southwestern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village, and the direction of the houses mostly southwestern. This is the element conflicting with modern trend wherein space is laid out in houses facing south and this proves traditional Korean houses wer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village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In traditional Korean residence, space was constructed after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organic relations with mankind first considered. In conclusion, modern residence planning will be finaliz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life of residents and the space through accurate analysis of the location.

      • 도심지 단독주택의 평면유형 및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 1995~2000년에 건축된 서울 평창동, 일산도시설계지구내의 단독주택 비교분석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a detached House Units in Pyongchang-dong, Seoul and Ilsan, an Urban Planning District Built in 1995~2000

        이현병 부천대학 2001 論文集 Vol.22 No.-

        본 연구는 최근 도심지 단독주택의 건축경향을 통하여 한국인의 삶에 적합한 주거공간의 건축요소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거지유형이 서로 다른 자연형 구릉지로 형성된 서울 평창동과 평탄한 지형인 일산도시설계지구에 1995~2000년 건축된 단독주택의 평면유형 및 공간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는 1차 문헌조사에 의한 평면 및 공간분석이 이루어지고, 2차 현장답사에서 입지 및 건물의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지규모의 범위 및 형태에 있어서 서울 평창동은 281m²~655m²의 不定形 대지이며, 일산도시설계지구는 211m²~292m²의 定形대지로 이루어졌다 (2)건물의 외형은 ㄱ자형, H자형 그리고 口형이며, 건물의 向은 남항75%, 동향25%이다. (3)주택의 평면유형은 복도형 83%, 홀형이 17%이며, 1층에서 2층으로 이동하는 상하 수직동선인 계단실의 형태는 독립형 25%, 거실 또는 복도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open형 75%이다. (4)실내공간의 층별 구성에서 1층은 거실 및 식당 등의 공용공간, 2층은 가족들의 개인공간으로 사용되며 공용공간의 중심인 거실의 형태는 다른 실과 구획하여 독립된 공간으로 83%, 식당 또는 복도 등과 연결된 일체형이 17%이다. (5)건물의 외장 재료는 외부단열공법에 의한 마감이 83%, 벽돌 또는 노출콘크리트, 목재 등을 사용한 경우가 17%이다. 또한 배치계획에서 건물의 채 나눔을 통하여 마당공간 및 정원을 확보한 후 1층의 공용공간과 더불어 생활공간으로 적극활용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he element of appropriate residential space for the life of Korean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rendy downtown a detached house unit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and study was undertaken on the plan and space of in a detached house Pyongchang-dong, Seoul, constructed on a naturally hilly area and the Ilsan urban planning district built in a flat area between 1995-2000. The study is conducted in plan and space analysis by the primary document survey, analyzing the site and forms of buildings at the site inspection,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1) In the scope of site scale, Pyongchang-dong has an irregular form with sizes ranging from 281m²~655m², while Ilsan Urban Planning District has an regular site with sizes of 211m²~292m². (2) The external shapes of the buildings are ㄱ-shape, H-shape and □-shape, an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at 75% for the south and 25% for the east. (3) The plan form of housing is 83% for corridor types and 17 % for hall types and the form of stairway from the 1st floor to the 2nd floor is 25% of independent type and 75% of open type where it is easy to access from the living room or the floor. (4) In each of interior space, the 1st floor is used as the public space like living room and restaurant, and the 2nd floor is used as an individual space for families and the living room is the central public space separated from other rooms with independent space for 83%, single type that connects kitchen or floor for 17%. (5)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building has 83% of finishing by external insulation method, while the block, nozzle concrete, lumber and others for 17% .In the arrangement plan, the courtyard space and the garden is secured through the division of the building and actively used as a l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public space of the 1st floor.

      • KCI등재

        Distributed Moving Objects Management System for a Smart Black Box

        이현병,송석일 한국콘텐츠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4 No.1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distributed, moving objects management system for processing locations and sensor data from smart black boxes.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Apache Kafka, Apache Spark & Spark Streaming, Hbase, HDFS. Apache Kafka i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smart black boxes and queries from users. Received location data from smart black boxes and queries from users becomes input of Apache Spark Streaming. Apache Spark Streaming preprocesses the input data for indexing. Recent location data and indexes are stored in-memory managed by Apache Spark. Old data and indexes are flushed into HBase later. We perform experiments to show the throughput of the index manager. Finally,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detail in Scala function level.

      • KCI등재

        스파크에서 벡터 근사를 활용한 효율적인 고차원 데이터 색인 기법

        이현병,송상호,최도진,김상혁,전종우,성우제,임종태,복경수,유재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real-tim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ecurity, autonomous vehicles, medical fields, and industrial robots. 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features extracted from images are high-dimensional, resulting in a dimensionality curse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high-dimensional data indexing scheme that solves the dimensionality curse problem of high-dimensional data by extending the existing vector approximation technique. Using VA-Key, a proposed VA-File-based split key gener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effective data partition with the similarity of each VA-File as a one-dimensional value. It is shown through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s with existing vector search techniques such as KD-Tree, Local Sensitive Hashing (LSH), and FAISS, the most popular vector search tool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 in terms of query processing time and accuracy. 최근 실시간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로 보안, 자율 주행 자동차, 의료 분야,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에서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특징이 고차원이며, 이에 따라 차원의 저주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벡터 근사화(vector approximation) 파일을 확장하여 고차원 데이터에서 차원의 저주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인 고차원 데이터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질의 처리 부하를 분배하기 위해 분산 처리 엔진인 아파치 스파크에서 구현된다. 제안하는 VA-File 기반의 분할 키 생성 방법인 VA-Key를 활용하여 각 VA-File마다의 유사도를 1차원 값으로 나타내어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벡터 검색 기법인 KD-Tree, LSH(Locality Sensitive Hashing) 그리고 가장 인기 있는 벡터 검색 도구인 FAISS 등과 실험을 수행했으며 실험 결과 질의 처리 시간과 정확도 관점에서 기존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보이며 특히, 고차원 데이터에서의 재현율과 처리 속도는 다른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 한국전통마을 立地選定에 나타난 공간적 特性에 관한 연구

        이현병 부천대학 2002 論文集 Vol.23 No.-

        인간이 적합한 환경을 찾아 주거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은 생존에 따른 중요한 과정으로 오늘날 지속적인 관심이 되고 있다. 자연은 사람의 생활에 최적의 장소를 제공하며,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때 보다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이를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은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장소를 찾아 터를 고르는 것을 생애의 大事로 여기며 자연의 조건을 최대한 고려하여 삶의 터전을 이루어 왔다. 또한 마을을 이루고 집터를 고르기 위한 자연에 대한 관찰과 이해체계도 가지고 있었다. 마을을 이루기 위한 조건을 찾으면서 자연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졌으며, 일년 사계절 기후변화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에서 물을 得하고 바람이 조절되어지는 터를 고르기 위한 노력으로 藏風得水의 원리를 중요시하였다. 자연을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로 보고 인간의 삶과 더불어 서로 感應의 관계로 인식하여 마을과 집을 이루었던 것이다. 한국의 전통건축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집의 모양에 치우치는 것보다는 집안에서 생활하는 거주자의 입장에서 생활의 편리함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집안의 각 공간에서 다양한 외부의 자연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집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인간의 삶에 적합한 공간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하여 한국전통마을이 지니는 입지 및 배치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을을 이루기 위한 입지선정 요소 및 공간구성의 의미를 찾고 져한다. 나아가 현대건축의 설계과정에서 건축물의 입지선정 및 주변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는 건축공간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The efforts of humans to form a residential space, seeking a suitable environment to live, have continuously drawn much interest as an important process in their existence. Nature provides an optimal environment for human life, and when human beings and nature co-exist, a pleasant and healthy life can be achieved. Our ancestors established their bases for life by considering natural conditions to the fullest, regarding the selection of an adequate' site for living as one of the great things to be achieved in life. Also, they had their own systems to observe and understand mother nature in order to form a village and choose a site for a domicile. They were greatly interested in nature, while also pursuing appropriate conditions to establish a village. Our ancestors regarded the principle of "Easy Control of Wind and Securing of Water" as important in the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aptly respond to the four seasonal climate changes, as part of their efforts to choose an adequate settling site. Our ancestors looked at nature as an organic life and perceived it in the context of responsive relations between human life and nature in forming a village and dwelling.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were buil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life with top priority from the perspective of occupiers, rather than the shape of a house as seen from the outside. houses were also built focusing on the elements through which the natural landscape could be seen in any direction from the house. In this research,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in the study of spatial elements suitable for human life wa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elements in location sele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spatial structure were analyzed. Further, architectural space, which can be adapted to social change, may presumably be achieved, through precise analyses of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locations and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in the design process of modern architecture.

      • KCI등재

        북향형국(北向形局)의 전통마을에서 주택의 방위적(方位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상사, 임하, 하우산, 월곡 마을을 중심으로 -

        이현병,김성우,Lee, Hyun-Byung,Kim, Sung-Woo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건축역사연구 Vol.18 No.3

        In Korea, the direction of houses are typically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al orientation and shape of the mountain range rather than ignoring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 mountain range. Traditional villages of Korea are known to have very particular ways of adopting the geomantic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This is very true especially have a high mountain in the back and a lower mountain in front.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houses tend to prefer south as a man direction so that they can receive more sun light. However, if the mountain range faces north, it will not be easy to determine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houses. This paper, therefore, tries to identify how the houses of villages facing north, direst the orientation. This, the northern village, solves the problem by facing all direction rather than one major direction. The houses of the villages facing north, tend to revise the direction by changing the back mountain(주산) or front mountain(인산) that helps them change the direction towards he range of eastern or western direction. As a result, the houses tend to the direction towards east and wes compared to north and south.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houses was clearly distributed or concentrated by depending of the shape and directional orientation of the mountain range. This kind of research let us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nor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geomantic surrounding, and the direction of houses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 KCI등재

        星州 한개마을의 立地와 配置計劃에 나타난 方位的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병,김성우 한국건축역사학회 2004 건축역사연구 Vol.13 No.2

        This paper discusses of the problem of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site design of a traditional Korean village. The research focus on how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each houses adapt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surrounding mountains. The direction of mountains worked as a prime rule which most of the houses( 76.6%) observed the same direction as their own orientation. While the central part of the village followed the direction of mountains more strictly, however the houses on the periphery area tend to be more free from the direction of mountains. This houses of the periphery respect either the direction of the mountain flow right behind the house or faces toward the south.

      • KCI등재

        VisualGenome 장면 그래프을 위한 역파일 구조 기반 색인 기법

        이현병,송상호,최도진,김상혁,전종우,성우제,임종태,정성모,송석일,복경수,유재수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장면 그래프는 최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이는 크게 장면 그래프 생성 및 탐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장면 그래프 생성 방법은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이미지와 이 이미지를 설명하는 문장 데이터인 캡션 데이터를 읽어 장면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모두 기계학습 기법중 하나인 딥러닝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생성된 모델을 이용해 탐색을 수행하는 것은 장점도 존재하지만 높은 계산 비용과 해석하기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장면 그래프 탐색을 위한 역파일 기반의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집합인 Visual Genome을 이용해 역파일 기반의 색인을 구축했으며 이를 분산 인메모리 기반 프레임워크인 아파치 스파크를 이용해 구현 및 실험을 수행했다. 또한 동일한 데이터 집합을 이용하는 기계학습 기반의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과 타당성을 입증한다. Scene graph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topics in computer science these days. Thi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cene graph generation and retrieval. A typical scene graph generation method is to generate a scene graph by reading an image from a dataset and caption data, which is the sentence data describing the image. Usually, These studies exploit deep learning,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lthough there are advantages in performing search using the generated model,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with high computational cos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verted file-based indexing technique for efficient scene graph retrieval. We built a inverted file-based index using Visual Genome, the one of most popular dataset, and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with Apache Spark, a distributed in-memory-based framework. We als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by comparing it with other machine learning-based technique using the same dataset.

      • KCI등재

        성주(星州) 한개마을의 입지(立地)와 배치계획(配置計劃)에 나타난 방위적(防衛的)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병,김성우,Lee, Hyun-Byung,Kim, Sung-Woo 한국건축역사학회 2004 건축역사연구 Vol.13 No.2

        This paper discusses of the problem of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site design of a traditional Korean village. The research focus on how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each houses adapt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surrounding mountains. The direction of mountains worked as a prime rule which most of the houses( 76.6%) observed the same direction as their own orientation. While the central part of the village followed the direction of mountains more strictly, however the houses on the periphery area tend to be more free from the direction of mountains. This houses of the periphery respect either the direction of the mountain flow right behind the house or faces toward the s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