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의 화이관(華夷觀) 연구

        이해임(LEE Hae-im)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 화이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두 사람은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로 설정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는 『공양전』의 화이관과 일맥상통하는 지점이다. 여기서 문화는 유교의 전장과 예법이다.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중화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유교 문화를 따르지 않는다면 중화에서 이적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반대로 지역이나 종족의 측면에서 이적의 국가라고 하더라도 그 국가가 유교 문화를 따른다면 이적에서 중화로 변화할 수 있다. 허형과 정몽주는 모두 중화와 이적의 준거를 문화, 즉 정주성리학으로 삼았다. 다만 허형은 군주의 통치 목적인 실용주의 노선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형이하와 실천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몽주는 사대부 중심의 왕권 견제에 맞추어 정주성리학을 이해했다. 이는 힘의 원리를 넘어선 초월적 영역에 도덕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성리학 이론 자체를 순수하게 이해하는 정통주의 노선으로 나아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eo Hyeong and Chung Mong-ju’s Sino-Barbarian Theory.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setting the standard of Sino-Barbarian Theory as Culture. This is in line with Sino-Barbarian Theory of Gongyangzhuan. Here, Culture represents the political system and ritual of Confucianism. Even a civilized natio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does not follow a Confucian culture, it can be transformed from a civilized country into a barbarian one. Conversely, a nation is a barbarian in terms of region or race, if it follows a Confucian culture, it can change from a barbarian state to a civilized state. Heo Hyeong and Chung Mong-ju adopted the differences of Sino and Barbarian as cultural that is Cheng-Zhu Neo-Confucianism. However, Heo Hyeong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accordance with the pragmatism, which was the purpose of the Emperor s reign. This was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physical realm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Chung Mong-ju understood Neo-Confucianism in line with the checking on the royal authority centered on the scholars. This is an orthodox line that purely understands Neo-Confucian theory itself by laying the basis for morality in the transcendental realm beyond the principle of power.

      • KCI등재

        안아주기: 정신분석적 사랑의 기술

        이해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Donald Winnicott's concept, 'impingement by the environment,'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deeper pathology than neurosis. According to him, maternal failure to insulate the infant's budding self from impingement results in trauma and deficit of self. He suggested a metaphor of 'holding', which means providing an analytic environment that does not interrupt but facilitates clients' vulnerable 'being' and 'being alone' to resume their maturation. This special therapeutic adaptation assists clients to find their spontaneity so that they can be really alive and love as well as compensate and recover their disrupted self.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veral dimensions of 'holding'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along with one's senses of being, being alone, and becoming one's true self. Holding is explored as a 'primary maternal preoccupation' with its significance for both mother and infant; and as a 'background being' and the possible changes its internalization brings. For clinical implications, holding confusion and meaninglessness are discussed; holding distorted and fragmented self; holding struggles for being; holding 'not-being.' Some critical issues in the clinical practice of holding are discussed as well as challenges for therapists. Some clinical vignettes from the author's cas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disrupted being and being alone, and how to hold in a therapy session. 본 연구는 생애 초기의 외상과 박탈로 인한 어려움들을 가진 내담자들을 단지 진단분류와 증상으로서가 아니라, 그들의 내면의 존재 경험으로부터 이해하고, 그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접근을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위니캇의 ‘환경에 의한 침범’이라는 개념은 욕구 갈등으로 개념화되는 신경증 보다 한층 깊은 병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싹트는 자아의 발달을 침범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모성기능의 반복적인 실패는 유아에게 외상과 함께 치명적인 자기의 결손을 초래한다. 이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을 방해 받지 않는 치료적 공간, 곧 안아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특별한 형태의 치료적 적응은 손상된 자기의 보상과 회복을 가능케 해줄 뿐 아니라, 자기 안의 사랑과 공격성을 발견하도록, 즉 진정으로 살아있고 사랑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아주기의 임상적 중요성을 개인의 살아있음의 감각과 참 자기의 확립 그리고 변형의 가능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존재의 최초의 경험으로서 살아있음을 붙들어주는 일차적 모성 몰입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이 어머니와 유아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배경적 현존으로서의 안아주기와, 그것의 내면화가 가져오는 변화를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박탈당한 결과로서 혼돈과 의미 없음을 안아주는 분석적 환경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또한 왜곡되고 파편화된 삶의 내면을 어떻게 접촉하고, 살아있음을 위한 이들의 분투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거짓자기로 살아가는 이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이들의 존재하지 않음을 어떻게 안아줄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안아주기의 임상실제에서 직면하게 되는 이슈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목회상담자로서 우리에게 주는 도전들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필자의 간략한 사례 예시들은 살아있음과 홀로 있음이 방해받은 삶의 양태들을 이해하고, 안아주기가 임상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고자 제시되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의 자기의식 분석

        이해,정임순 한국특수아동학회 200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4 No.1

        정안 청소년의 자기의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성별과 과정별에 따라 의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이것은 시각장애학생도 성별과 과정별에 의해 인식이 차이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에 해당되는 시각장애학생은 이러한 의식에 대하여 성별, 과정별, 시력정도별에 의해 의식에 차이를 가지는 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어진다. 시각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외모, 가정환경, 자신감, 이성, 우정, 이해심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을 가지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 학생 지도 측면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모, 가정환경, 자신감, 이성, 우정, 이해심에 대하여 시각장애학생이 나타내는 의식을 밝혀 그들의 인성에 대하여 올바른 지도를 하여 자기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material that surveys adolescent visually impaired student's self consciousness about their Appearance, Home Environment, Self-Confidence, Intersexual, Friendship, and Consider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SCT(Story Completion Test) to analyze adolescent visually impaired student's self consciousness. This SCT is a typical inspection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 thought variables were Gender, School Year, and Visual Trouble Degree to analyze SCT about adolescent visually impaired student's Appearance, Home Environment, Self-Confidence, Intersexual, Friendship, and Consider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when the variable was the Gende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self consciousness about their Appearance, Home Environment, and Intersexual were low, and their self consciousness about Self-Confidence were normal regardless of the Gende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self consciousness about Friendship showed an average, but this was not related to the Gender, either. However, Consideration showed 5 percent clear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ly, when the variable was the School Year, Friendship had the high level of the average 4 marks. However, the other points were unrelated to the School Year. Middle-school students and high-school students both showed the normal level of the average 3 marks about Self-Confidence and Consideration, but these were not related to the variables. Home Environment and Intersexual showed the low level of the average 2 marks regardless of the School Year. However, Appearance that was the low level of the average 2 marks showed 5 percent clear difference statistically. Consequently, Appearance obviously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Finally, when the variable was the Visual Trouble Degree,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showed extremely low self consciousness in Appearance and Home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ir Visual Trouble Degree. Howeve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showed 5 percent clear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ir Self-Confidence, Intersexual, Friendship, and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Visual Trouble Degree.

      • 포커스 : 보험이해력 제고 사례 검토: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제공

        변혜원,이해 보험연구원 2015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338 No.-

        보험이해력은 소비자가 자신이 직면한 위험수준을 인식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정보에 기초한 보험 관련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나 소비자실험 결과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의 보험이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위험인식 및 위험평가 측면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보험이해력이 부족할 경우 소비자가 위험에 대해 적절한 대비를 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소외, 사회안전망 비용 증가 등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보험 이해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보험이해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웹페이지를 통한 정보 제공을 활용할 수 있는데, 동 수단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는 전체 화면의 간소화, 효과적인 범주화, 핵심확인사항 등 간결한 내용의 정보 제공, 추가적 정보나 도움을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해외봉사 참여 경험

        이해,김은재,백명화,조미혜,박찬경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해외봉사활동에 참여하여 느끼는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이들이 겪었던 해외봉사활동 경험의 본질을 찾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해외봉사를 통해 간호전문직에 의식변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J대학교 간호학과 학생으로 해외봉사에 참여한 남학생3, 여학생5명, 총 8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이며 개별적인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Giorgi(2004)가 제시한 현상학적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해외봉사활동 참여 경험에 대한 39개의 하위범주와 간호학문을 잘 배우고있음, 우리나라의 좋은 의료 환경을 확인함, 간호학생으로서 긍지를 느낌, 간호지식과 간호술기를 응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 봉사에 대한 지속성을 다짐함, 자존감이 올라감, 학교에 대한 애교심이 생김 등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공통된 핵심 의미구조는 간호학생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함‘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해외봉사 활동 참여 경험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봉사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간호대학생의 봉사경험에 근거한 간호중재를 유도하도록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nature of nursing student s experience of overseas volunteer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fficient management scheme of nursing student s volunteer and the volunteer program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establishing the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 people comprised of 3 male students and 5 female students who are the students of Nursing Department of J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 wor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7, and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Giorgi(2004). Results: The 39 subcategories for the nursing student 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 and 7 categories of learning nursing study well, identifying good medical environment in Korea, feeling pride as a nursing student, having the opportunity to apply nursing knowledge and nursing skills, resolving to the continuity of the volunteering work, self-esteem being promoted, having affection to school were derived, and the core meaning structure in common was establishing identity as a nursing student.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insight on volunteer work in nursing college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nursing student 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 and contribute to induce the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nursing student s experience of volunteer.

      • KCI등재

        ‘일본어 작문 패턴’을 활용한 논설문 작성 교육 방안 및 그 유효성에 관한 분석

        이해미(李海渼)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5

        This paper aims to offer formalized writing patterns and major language expressions of each sentence in the writing pattern so that anyone can write an essay if s/he knows the meaning and utilization of common Japanese grammar. For this, it analyzes the validity of writing patterns as to whether or not they can be used in Japanese writing education. A special lecture was given to 41 intermediate-level Japanese learners on how to write a Japanese essay within 75 minutes. Every student who took the special lecture wrote a 1,500-character essay. Methods of analysis are as follows. Writing cases of Japanese writing patterns and major language expressio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elements: title, lead, fact, comment, and ending. Further, I analyzed a learner’s essay that best utilized the Japanese writing pattern and expressions. It was found that the formalized writing pattern was useful in that it provided Japanese learners who were unaccustomed to writing essay with a guide of how to develop ideas for an essa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Japanese education should also provide a series of sentence structure forms, such as the writing technique that is actively used in English education. This type of teaching method can also be used as one of the effective writing teaching methods.

      • KCI등재후보

        뇌손상 저시력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촉진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구안 및 적용 효과

        이해균 ( Hae-gyun Lee ),이근매 ( Keun-mae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뇌손상 저시력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촉진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 .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뇌손상으로 인해 발달지체로 판명이된 5세 저시력 아동인 K군을 대상으로 행동관찰과 발달검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발달을 위해 기초학습 지도, 언어 이해 및 표현력 지도, 인지능력 지도, 시지각 훈련, 보행훈련 등 다섯 가지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5세 0개월부터 6세 1개월까지 대상 아동에게 매회 50분씩 주 2-3회로 총 152회를 실시하여, 언어능력검사, 사회성숙도검사, 교육진단검사 등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뚜렷한 향상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기초학습 지도, 언어 이해 및 표현력 지도, 인지능력 지도, 시지각 훈련, 보행훈련 등에서도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gram, which aims to develop overall promotion, adapt it and the effect on it. Intended for developmentally retarded student K owing to damage, the behavioral observation and the developmental test were carried out which comprised five training programs such as the instruction basic learning, the instruction of basic learning, language understanding, the instruction of expression and cognition, training of visual perception, orientation and mobility. The test totally 152 times carried out was intended for from 5 - year and 0 month - old to 0 month - old children, each time being 50 minutes and 2 or 3 times a wee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re and post test, it appeared that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such as, not only language ability test, social maturity test, education diagnosis test, but also the instruction of expression ability, the instruction of cognitive ability, the train of visual perception, orientation mobility were conspicuously advanced.

      • 이황(李滉) 철학에서 예(禮) · 악(樂)의 관계와 악론(樂論)의 특징

        이해임(李海任)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16 東亞文化 Vol.54 No.-

        이황은 문인 정사성 · 이덕홍과 토론하고,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저술함으로써 예 · 악의 관계와 악론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이 토론은 주돈이의 『통서해(通書解)』, 「악상(樂上)」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황은 문인들과 입장을 달리할 뿐 아니라 주희의 견해와도 차이를 보인다. 이는 이황 철학에서 예 · 악의 관계와 악론에 대한 그의 독특한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리는 곧 예인가? 둘째, 예는 악의 본원인가? 셋째, 악은 예로부터 독립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가? 첫 번째 쟁점에서 문인 정사성, 이덕홍은 리가 곧 예라고 주장한다. 주희와 이황은 이들과 입장을 달리한다. 리가 예라고 하면, 예는 절대적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악은 예의 속성내지는 존재 가치가 없어진다. 예만 제대로 갖추어진다면 악은 자연스럽게 적절함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악은 예와 관계 속에서 존재 의미를 상실할 수 있다. 두 번째 쟁점에서 문인 정사성, 이덕홍과 주희는 예는 악의 본원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주희는 리, 예, 악의 관계를 확실하게 표명한다. 그는 리가 예의 본원이고, 예는 악의 근원이라고 주장한다. 주희는 악이 사람의 마음을 흥기시키지만, 악은 타락하기 쉬운 것으로 예의 단속을 통해서만 리를 제대로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황의 문인들처럼, 주희는 악을 예의 속성으로까지 치부하지 않는다. 하지만 악은 결국 예의 통제 아래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쟁점에서 이황은 주희와 다른 관점을 보여준다. 특히 퇴계가「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저술한 문제의식이나 목적을 보면, 그는 분명 예로부터 독립된 악의 영역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황은 시공간이 다르면 악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가령 순임금의 악은 조선시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순임금의 악또한 조선시대에는 변형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는 예를 불변의 행위 양식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오히려 내 마음의 중화가 악으로 드러나면, 그 악이 자신이 속한 시공간에서 가장 적합한 것이 된다. 이는, 이황이 주돈이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마음속에 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제대로 구현되려고 하면 마음속에 사욕이 제거된 고요한 상태를 회복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서 악이 제대로 구현되는 것이다. 이는 주희가 리를 그대로 드러내기만 하면 마음의 화락함이 실현된다는 구조와 반대인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구도는 예를 시대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는 논리도 함축하고 있다. 고정된 격식은 없다. 이황은 한문이 아닌 한글로 시를 짓고, 이를 어린아이로 하여금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게 함으로써 자연히 마음이 감발되고 감화되는 것을 지향한다. 그의 관점에서 보면, 시를 꼭 한문으로 지어야 할 이유가 없다. 더욱이 한문은 조선의 글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의 감발감화에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황의 악론은 특정 시공간, 나이, 신분과 같은 외부조건에 얽매이지 않는 인간의 능동성과 자발성을 일깨우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