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태구(Tae-Gu, Lee),정하일(Ha-Il Jung),김명숙(Myung-Sook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조생종 벼는 목적에 따라 조기 이앙, 적기(보통기) 이앙, 만기 이앙 등 다양한 시기에 이앙하여 재배가 가능한 종이다. 이러한 조생종 벼에 대해 이앙시기에 따른 벼 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수 있으나, 양분의 이동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생종 벼 재배 시 이앙시기에 따른 양분 유출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벼 종자는 “조평(운봉42호)”를 사용하였고, 연구수행은 국립농업과학원 수분이동실험동에 설치된 중량식 라이시미터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비료는 표준시비량을 기준으로 시비하였고, 담수는 연속관개를 통해 담수심 5 cm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고, 이앙 시기는 적기재배(5월 하순∼9월 상순)와 만기재배(7월 상순∼10월 중순)로 처리하였다. 재배기간 중 적기재배구의 유거수량은 806.8 mm 였고, 만기 재배구는 731.9 mm 였다. NH₄<SUP>+</SUP>-N의 유거유출량은 0.23 kg 10a<SUP>-1</SUP>(적기), 1.89 kg 10a<SUP>-1</SUP>(만기), NO₃<SUP>-</SUP>-N는 0.07 kg 10a<SUP>-1</SUP>(적기), 0.15 kg 10a<SUP>-1</SUP>(만기) 였다. 무기태 질소의 유거유출은 적기재배구보다 만기 재배구에서 많았으며 이는 작물의 활착이 잘 되지 않은 생육초기에 만기 재배구에서 유거유출량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PO₄<SUP>3-</SUP>는 0.074 kg 10a<SUP>-1</SUP>(적기), 0.075 kg 10a<SUP>-1</SUP>(만기)로 처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산이온은 토양 내에서 흡착이 잘 되는 이온으로 이온의 형태로 유출되기보다는 대부분 토립자에 흡착된 상태로 유출이 일어나기 때문에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유출수량은 329.7 mm(적기), 27.5 mm(만기)로 처리구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NO₃<SUP>-</SUP>-N은 0.11 kg 10a<SUP>-1</SUP>(적기), 0.02 kg 10a<SUP>-1</SUP>(만기)로 적기 재배구에서 유출이 더 많이 일어났는데, 이는 지하유출수량에 따른 차이로 판단된다. 무기태 질소는 이앙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출량에 차이가 있었지만, 인산이온(PO₄<SUP>3-</SUP>)은 이앙시기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수 활용 지열시스템 적용을 통한 스마트팜 에너지 절감 사례
이태구(Tae Gu Lee),강한기(Han Ki Kang),문정환(Jung Hwan Moon),박정현(Jung Hyu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In this study, a geothermal system using groundwater was introduced in greenhouses for crop production and operating cost savings were compared. The annual energy cost for heating the existing tomato greenhouse is about 130 million won, putting a significant burden on the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heating system of the tomato greenhouse, a geothermal system and a water-storage type heat pump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improv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the tomato greenhouse, operating cost in December was reduced by 39 % compared with the previous system, and CO₂ emission was reduced by 36 % as well.
지하수 활용 지열시스템 적용을 통한 스마트팜 에너지 절감 사례
이태구(Tae Gu Lee),강한기(Han Ki Kang),문정환(Jung Hwan Moon),박정현(Jung Hyu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In this study, a geothermal system using groundwater was introduced in greenhouses for crop production and operating cost savings were compared. The annual energy cost for heating the existing tomato greenhouse is about 130 million won, putting a significant burden on the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heating system of the tomato greenhouse, a geothermal system and a water-storage type heat pump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improv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the tomato greenhouse, operating cost in December was reduced by 39 % compared with the previous system, and CO₂ emission was reduced by 36 % as well.
전기전도도가 높은 시설재배지의 토양검정 및 현장진단 데이터 특성
이태구(Tae-Gu, Lee),정하일(Ha-Il Ju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작물생육에 있어서 토양의 전기전도도(EC)는 삼투압 장해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과다한 비료 시용은 토양 내 EC를 높여 작물에 해를 입힐 수 있지만, EC가 높더라도 유기물함량이 높은 토양의 경우에는 작물에 미치는 해가 적을 수 있다(Kim et al., 2017). 작물의 경우에도 염류저항성이 높은 작물과 낮은 작물이 있기 때문에 농가 현장에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을 통한 유기물함량 수치뿐만 아니라 작물별로 염류저항성도 고려해야한다. 하지만 현재 유기물함량과 작물을 고려한 현장진단 EC 기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토양검정 자료와 현장진단 DB를 활용하여 실제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용하는 비료 성분 중 EC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성분들을 찾아 향후 EC 현장진단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토양검정을 포함한 현장진단 결과 데이터 중 EC가 2 dS m<SUP>-1</SUP> 이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토양검정 항목은 pH, EC, OM, 유효인산, 교환성 양이온(K, Ca, Mg)였고, 현장진단 결과 항목은 pH, EC, NO₃<SUP>-</SUP>, PO₄<SUP>3-</SUP>, SO₄<SUP>2-</SUP>, Cl<SUP>-</SUP> 이였다. 상관분석 결과 토양검정 결과의 EC는 Ca<SUP>2+</SUP>와 양의 상관관계(r=0.57)가 있었고, 현장진단 결과 EC의 경우에는 NO₃<SUP>-</SUP>, SO₄<SUP>2-</SUP>, Cl<SUP>-</SUP>, K<SUP>+</SUP>와의 r값이 각각 0.68, 0.49, 0.60, 0.53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계수가 높은 순서로는 NO₃<SUP>-</SUP>(0.68) > Cl<SUP>-</SUP>(0.60) > Ca<SUP>2+</SUP>(0.57) > K<SUP>+</SUP>(0.53) >SO₄<SUP>2-</SUP>(0.49) 순이었다. 향후 현장진단 EC 기준설정 연구 수행 시 EC를 높이기 위한 물질로써 질산이온, 칼륨이온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