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 상 멀티미디어를 위한 개방형 평가 프레임워크

        이춘호(Chunho Lee),김명철(Myungchul Kim),윤요한(Yohaan Yoon),이일범(Ben Lee),현순주(Soon Joo Hyun),이경희(Kyunghee Lee),이수용(Sooy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A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등장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의 원활한 전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 들을 검증하고 실험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의 통합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은 높아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의 네트워크 전송에 관한 연구를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를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에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코덱을 시뮬레이터와 연동하여 사용하게 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피드백으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에 주어 수용하게 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기존 연구에 비해 다양한 코덱 지원, 네트워크 피드백기반 멀티미디어 코딩, 실시간 비디오 전송 관찰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의개별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연왕국(燕王國)에서 대연제국(大燕帝國)으로 - 모용선비(慕容鮮卑)의 하북진출(河北進出)과 국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춘호(Lee Chunho)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4

        4세기 연왕국의 근거지 요방으로 인구가 다수 유입되어 심각한 토지부족의 문제를 야기하였고, 관료층의 비대화와 수만에 이르는 유식자로 인해 국가의 재정은 큰 위기에 직면하였다. 또한 춥고 건조한 기후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모용선비의 생존을 크게 위협했는데, 이런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들은 결국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하북으로 남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게다가 다른 유목민족에 비해 한문화를 보다 우호적으로 받아들였던 모용선비는 특히 모용외 때에 이르러 정치·경제 등에서 한화정책을 추진한다. 그래서 그는 수차례 후손들에게 하루 빨리 남하하여 중원을 차지하고 그곳의 주인이 되어 중화의 정통을 계승할 것을 분부하였다. 이렇게 모용준은 국내외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영화 6년 2월 후조에 대한 군사정벌을 통해 대대적인 하북진출을 시도한다. 20여 만의 대군을 셋으로 나눠 남정에 나선 그는 같은 해 3월 요방에서 하북으로 통하는 요충지 계성을 함락하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막 함락된 계성으로 수도를 옮기는 것이 가능했을까? 매우 힘들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만 많은 학자가 그랬을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전적으로 사서의 기록 ‘입도어계’, 특히 ‘인이도지’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게다가 당시 계성이 수도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했음은 모용준이 거의 매년 용성으로 귀환하여 그곳을 특별히 중시한 사실로도 확인된다. 비록 봉혁이 ‘금이도계, 남림조위’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나, 이는 전적으로 계성의 함락 사실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나아가 이후 모든 하북을 차지하기 위해 계성에 전초기지를 둔 사실을 수도를 둔 것처럼 얘기하면서 초래되었던 것이다. 한편, 영화 8년 중순에 이르러 하북의 정세는 연왕국에 매우 유리하게 전개되었는데, 방약·가견 등 한인호강, 그리고 적서·단근 등 호인추수의 귀항이 있었고, 중산·상산·업성 등 하북의 요충지가 차례로 점령되었다. 이렇게 하북은 요방을 대체하는 국가통치의 중심지역으로 점차 변해가고 있었던 것이다. 바로 그때 모용준이 대연황제에 등극하고 계성으로의 천도를 완수하면서 연왕국은 비로소 대연제국으로 국가형태가 바뀌었다. 당시 강남에 우거하고 있던 동진은 그 국력이 북중국에까지 미치지 못해 도탄에 빠진 한인들을 구출할 수 없었는데, 이때 모용준은 호·한인들 간의 민족모순을 격화시킨 염민을 사로잡아 참하고, 이어서 대연황제로서 한인들을 구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덕과 인으로 새로운 왕도의 길을 열어 호·한인들이 서로 화합하고 상호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겠노라 다짐한다. 따라서 대연황제를 칭한 모용준이 호·한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고 나아가 중화의 주인으로서 화하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수도를 요방의 용성에서 하북의 계성으로 천도하는 것은 지극히 합리적인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모용준의 대연황제 등극과 계성으로의 천도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Murong Jun, based on the combined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decided to leave the region of the Liao in February 350. He led two hundred thousand troops to invade the later Zhao kingdom, and soon captured Ji City, then prepared to implement the plan of moving the capital. By the middle of 352,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Yellow River had taken a turn for the better for Murong Xianbei. Murong Jun believed that he could transform the northern region of the Yellow River into the hinterland of the Yan kingdom, so he finally called himself Yan emperor in November 352 and moved the capital from Long City to Ji City in February 353. Therefore, the dynastic form was transformed the Yan kingdom into the great Yan empire. The powerful landlord of Han, had surrendered to the Yan kingdom, recognized that Murong Jun would unify China with justice, and he would save the people in trouble. This makes that Murong Jun has a new understanding of the northern region of the Yellow River, and he has enough firm confidence to govern it effectively. Murong Jun said that he was supported by the people and became emperor, and he finally appeared as a great Yan emperor. So it was reasonable to move his capital to Ji City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Yellow River.

      • KCI등재

        徐熙(942~998)의 외교담판에 담긴 의미와 그 영향

        이춘호(Lee, ChunHo)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39

        10세기 중?후반 고려는 자주와 실리에 근거한 외교노선을 통해 중국의 諸王朝와 교류하였으며, 契丹과 宋은 어떻게든 고려를 자기편으로 확보하여 자신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원하고 있었다. 특히 거란에 비해 군사적으로 열세했던 송은 주로 정치군사적인 목적으로 고려와의 관계를 추진했는데, 이에 대해 거란은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후 고려는 거란에 의해 멸망한 발해의 유민들을 받아들이고, 동시에 그들의 우호의 손짓을 뿌리치고 단교를 선언하는 등 양국 간의 군사적 충돌은 마치 시한폭탄이 폭발만을 남겨 놓은 것처럼 되어버렸다. 이러한 국제환경 속에서 서희는 972년 송에 出使하는데, 그때 송의 對契丹觀이 어떠했었는지를 확인하게된다. 한편 993년 거란은 고려를 침략하여 자신들의 正朔을 받들고, 그리고 영역을 침식하지 말 것을 강요한다. 당시 고려대신들은 歸降 혹은 割地를 통해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였는데, 이와 달리 거란의 침략원인을 간파하고 있었던 서희는 민족의 운명을 짊어지고 적장 소손령을 만나게 된다. 거란과의 외교담판에서 서희는 고려가 거란의 정삭을 받들 수 있고, 또한 후방에서 위협이 되지 않겠다고 강조하고 있는데, 이렇듯 고려가 거란의 요구를 받을 수 있다고 했으니 거란 역시 고려의 요구를 수용해야함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 하겠다. 주지하듯 그 요구는 ① 고려가 고구려의 정통을 계승했으며, ② 압록강 유역에 거주하고 있던 女眞人들을 내쫒고 그 지역을 고려가 차지할 수 있도록 인정하라는 것이었다. 담판 이후 고려가 역사상 처음으로 국경선을 압록강으로까지 뻗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고구려=고려라는 사실을 거란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한편 ‘동북공정’을 통해 중국의 일부 학자들은 고구려가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고구려=고려란 사실을 부정하고 있다. 서희는 외교담판에서 “우리나라(고려)는 바로 고구려의 舊地이다. 그러므로 국호를 고려라 하고 평양에 도읍을 정한 것이다. 만약 地界를 가지고 말하면, 上國(거란)의 東京도 우리의 경역 안에 있으니 어찌 侵蝕했다고 말할 수 있는가?”라고 주장하였는데, 이 史實를 통해 동북 공정의 ‘논리’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으로 야기된 ‘역사논쟁’에서 1천여 년 전 서희는 이미 우리에게 이에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교훈적인 예시를 했다는 점에서 고구려=고려란 사실은 더욱 분명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동북공정의 허구성이 보다 더 확실하게 드러났다고 하겠다. In the late 10th century, Goryeo(高麗) attaching much importance to the values of liberty and benefit, exchanged communication with the Chinese kingdoms, also Khitan(契丹) and Song(宋) tried to get Goryeo on board, moreover they wanted to alter the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Song was weaker militarily than Khitan so for military purposes, contacts were kept up with Goryeo. Balhae(渤海) was destroyed by Khitan in 926 AD, the people were then accepted by Goryeo. Khitan was angered by this. In this political climate, SeoHee(徐熙) was dispatched to Song in 972 AD, maybe this added another political perspective. So, due to importance attached to liberty and benefit by Goryeo, XiaoXunNing(蕭遜寧) was persuaded to finally participate in diplomatic negotiations. In 993 AD, Khitan invaded Goryeo. This was known as the Goryeo-Khitan War. Then, Goryeos imperial court were afraid, thus advocating surrender and giving up land. However, SeoHee knew why Khitan had invaded, influenced by the time and place of negotiations, and went to see XiaoXunNing. The rationale behind Khitans invasion of Goryeo was to establish a new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based on self interest and caused by Goryeos threat. During negotiations, SeoHee admitted Goryeo was a ‘vassal state’ of Khitan and therefore was no threat to Khitan. As Goryeo accepted Khitans request, Khitan should do likewise. Goryeos requests were 1) Goryeo should inherit Goguryeo(高句麗)s Orthodox, 2) YeoJin(女眞) people should be expelled from the Abnok(鴨綠) River region and land should be returned to Goryeo. Goguryeo=Goryeo, this should be accepted by Khitan and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negotiations. In addition, Goryeo should not occupy the entire Abnok region (i.e. land south of River Abnok) but for the first time, the border should reach River Abnok. This was an historic contribution from SeoHee. On the contrary, due to the Northeast Project(東北工程), some Chinese scholars claimed Goguryeo as part of China and did not accept it as part of Goryeo. In this respect, I have proved what was said between SeoHee and XiaoXunNing in negotiations, that is, “my country was established on the land of Goguryeo. Thus the name Goryeo was given to the land as well as the capital being recognized at PyongYang(平壤). As for borders, Khitans DongJing(東京) belonged to Goryeo. Therefore, why did XiaoXunNing say that Goryeo had encroached on Khitans borders?” It is acknowledged that SeoHee had obvious ambitions to say so. SeoHee indeed knew that: 1) TaeJo(太祖) WangGeon(王建) was a descendant of Goguryeo and in 918 AD was crowned king of the renamed Goryeo, 2) PyongYang was important as the capital GaeGyong(開京) since establishment of Goryeo, 3) Goryeo people then recognized the whole Abnok River area as part of Goryeo. So, we should acknowledge that Goryeo had inherited the Goguryeo Orthodox.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Chinese Kingdoms clearly acknowledged that Goryeo was the successor of Goguryeo and that the history of Goryeo started with Goguryeo as stated in the National History(國史).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유목적 사유 분석을 통한 이동성 연구

        슈쿠로바메흐리니소 ( Shukurova Mekhriniso ),이춘호 ( Chunho Le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이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유학 결정 요인과 이동 패턴, 귀환 후의 생활과 계획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개발 전략 중 하나인 유학생의 귀환과 유치에 있어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로, 2017년 10월 25일부터 11월 25일까지 한국에 체류 중이거나, 졸업 후 귀환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유학생은 새로운 기회와 자기 개발이라는 환경변화를 위해 유학을 선택했지만, 여러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모국으로의 귀환보다는 재이주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처럼 이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순응하기보다는, 계속되는 이동을 통해 기회를 창출하고자 계획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학생의 모국 귀환을 위해서는 이들을 제도권으로 수용하려는 노력보다는 이들의 능력이 발휘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포용성과 유연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mobility of the students from Uzbekistan by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their studying abroad as well as migration patterns, life, and plans after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It tried to present one of the directions for the Uzbekistan’s development strategies to encourage return.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ith 15 students from Uzbekistan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5 to November 25, who was staying in Korea or returned to the home country after graduation. As a result, the students from Uzbekistan chose to study abroad for new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ir self-development, but they were planning to re-migrate rather than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due to various practical difficulties. They were planning to create new opportunities through the continuous movement rather than conform to the own situation. In order to return the students to the home country,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their abilities and to increase social inclusion and flexibility rather than to accept them as a system.

      • KCI등재

        생애사 연구를 통한 농촌지역 결혼이주남성의 사회적 네트워크

        장윤재(YunJae Jang),이춘호(ChunHo Lee)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이 연구는 결혼이주남성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이주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며 재구축되는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를 탐색해봄으로써 이들이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거시ㆍ중시ㆍ미시적 차원에서 연구했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기반으로 결혼이주남성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농촌지역 거주 결혼이주남성으로 생애사적 관점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이주 전에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가정 내 중심적 위치를 차지했던 연구참여자가 이주 후에는 거시적 사회구조와 환경이 긍정적으로 변했음에도 미시적, 중시적 차원의 제약이 네트워크를 위축시켰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와 효과에 의해 연구참여자의 가정 내 위치는 중심에서 주변으로 이동되었으며, 정착지에서의 소통 단절과 고립으로 인한 위축된 삶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how marriage migrant man live in Korean society from a macro-meso-micro perspective by analyzing how their social networks change and reconstruct during their migration experience and what the main determinants affecting those changes are. The study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examine marriage migrant men’s social network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a life history approach, and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 marriage migrant man living in rural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who had built extensive networks and had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their households before migration, had shrunk his social networks due to meso and micro constraints faced after migration even though the macro social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 improved. Moreov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networks and their effect, the participant’s position within the household had moved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hus showing a limited life because of isol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within their settlement 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