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화 처리기간에 따른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및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 효과 변화

        이철희,신소림,김나래,윤성은,김수인,백설희,황주광,Lee, Cheol-Hee,Shin, So-Lim,Kim, Na-Rae,Yoon, Sung-Eun,Kim, Su-In,Baek, Seol-Hee,Hwang, Ju-Kwa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4

        새로운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재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질경이 새싹채소의 재배 중 녹화기간에 따른 항산화효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에 따라 광합성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황기 새싹채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녹화 0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화 0일, ABTS radical 소거능은 녹화 1일,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석결명 새싹채소는 2일 녹화했을 때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1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술패랭이 새싹채소는 녹화 3일 째에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Fe^{2+}$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녹화시키지 않았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은 녹화 2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 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물 종에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광합성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식물 종과 원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재배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potential use of 4 plant species, Astragalus membranaceus var. membranaceus, Senna occidentalis, Dianthus longicalyx and Plantago asiatica, as new sprout vegetables with high antioxidant function was examined in the present experiments. Seeds of above plants were allowed to germinate under light condition, and seedlings were maintained under dark condition for shoot growth in length for contain period of time. Then the seedlings were put under light for photosynthesis (greening treatment) for the period of 0${\sim}$3 days.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y, and it was observed that antioxidant substances were affected by greening treatments, depending on plant species. In A. membranaceu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was highest with no greening, total flavonoids with 3 days green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with no greening, ABTS scavenging with 1 day greening, $Fe^{2+}$ chelating effects with no greening,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with 3 day greening. In S. occidentalis, highest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were obtained by 2 day greening, $Fe^{2+}$ chelating effects by no greening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1 day greening. In D. longicalyx, highest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e^{2+}$ chelating effects were obtained by 2 day greening, $Fe^{2+}$ chelating effects by no greening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1 day greening. In D. longicalyx, highest levels antioxidant activity and $Fe^{2+}$ chelating effects were observed with 3 day greening, and highest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with no greening treatment. In P. asiatica,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cals scavenging effects were highest with 2 day greening, whereas highest chelating effects was obtained with no greening and highse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with 3 day greening. As the length of greening treatments influenced the antioxidant levels and function in plant species tested in this experiments, different culture methods are recommended for different plant species to get maximum health benefits out of sprout vegetables.

      • 프린터 색역에 균등한 분포를 갖는 색표본 생성 및 색재현

        이철희,김희수,안석출,하영호,Lee, Cheol-Hee,Kim, Hee-Soo,Ahn, Suk-Chul,Ha, Ye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7 No.5

        본 논문에서는 출력 장치의 색역에 대하여 균일한 분포를 갖는 색표본(color sample) 생성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색재현 방법을 소개한다. 즉 기존의 방법인 RGB(red, green, and blue) 혹은 CMY(cyan, magenta, yellow) 등 장치 의존형 색공간에서 균일한 색표본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장치 독립형 균등 색공간인 CIELAB공간에서 균등 색표본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색표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회귀 모델과 신경망을 이용한 색공간 변환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크기의 색표본의 경우, 제안된 색표본을 이용한 색공간 변환 방법이 신경망, 회귀 모델 모두에서 색차를 줄일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 color sample selection method that produces a uniform distribution in the display gamut plus a color reproduction method for using a uniform color sampl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roposed uniform color samples are selected m CIELAB, a device-independent color space, instead of RGB (red, green, and yellow) or CMY (cyan, magenta, and yellow) space, device-dependent color spac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lor samples, they were applied to color space conversion using both a regression model and neural network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color sample of the same size, the color space conversion method using the proposed samples showed a lower color difference for color conversions using either neural or regression.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저장방법,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 처리가 가침박달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이희두(Hee Doo Lee),김시동(Si Dong Kim),김학현(Hag Hyun Kim),이종원(Jong Won Lee),김주형(Ju Hyoung Kim),이철희(Cheol Hee Lee),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가침박달나무의 대량번식법 개발에 의한 천연보호림 복원 및 화훼 작목화를 목적으로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저장방법 및 기간 생장조절제, 무기염류 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침박달나무의 발아적온은 20℃였으며, 저장방법은 습윤저장보다는 저온건조에서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저장기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GA₃ 처리는 100㎎ㆍℓ⁻¹에서 95.3%, IAA는 200㎎ㆍℓ⁻¹에서 99.0%, KNO3 10mM 처리시 96.7%로 발아율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methods, the effects of germination temperature, storage method and period, growth regulator and inorganic salts on seed germination were evaluated in Exochorda serratifolia S. Moore. Germination temperature was suitable at 20℃, and low temperature storage with dry, compared to wet storage, increased germination rate, while that according to storage period was no significance. Germination was 95.3% with 100 mㆍℓ⁻¹ GA3, 99.0% with 200 mㆍℓ⁻¹ IAA and 96.7% with 10 mM KNO3 treatment.

      • KCI등재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이희두(Hee Doo Lee),김시동(Si Dong Kim),김학현(Hak Hyun Kim),이종원(Jong Won Lee),김주형(Ju Hyoung Kim),윤태(Tae Yun),이철희(Cheol Hee Lee),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과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methods of Weigela subsessilis,, a promising native plant species for horticultural use, several factors influencing rooting from stem cuttings were evaluated. Softwood cuttings showed best rooting rate, 70~77%, in all the cutting media tested, 2.8 times more than hardwood cuttings in which perlite was best medium. The rooting from hardwood cuttings was promoted by higher concentration of all growth regulators used,500 mg.L-1 NAA being the best with 80%. More than 80% of softwood cuttings treated by growth regulators produced roots, especially 100, 500, and 1000mg.L-1 NAA producing 97%. Roofings from semi-wood cuttings was enhanced by all the growth regulators, except 1000 mg.L-1 concentration in which rooting was reduce. Higher rooting rate was obtained by higher concentration and longer soaking duration of NAA in case of hardwood cutting. Softwood cutting showed 100 % rooting by soaking treatment with 500 mg.L-1 NAA for 3 min. Rooting rate of semi-hardwood cuttings was promoted by higher concentration and longer soaking with growth regulators,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lower than soft and hardwood cutting.

      • KCI등재후보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천연염색된 감지의 발색 재현

        이철희 ( Cheol Hee Lee ),최옥자 ( Ok Ja Choi ) 한국화상학회 2010 한국화상학회지 Vol.16 No.1

        본 논문에서는 쪽을 이용한 천연염색에서 염색의 횟수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반복 염색에 따른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염료로는 쪽을 사용하였고 염색의 매질로는 닥원료를 사용하였다. 닥원료를 1회에서 70회까지 반복하여 염색한 닥죽을 만들고 이를 제지하여 천연염색된 감지(紺紙)를 제작하였다. 원지로부터 반복 염색된 감지의 발색을 재현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위해 모집단으로는 멘셀색시료를 사용하였으며 RGB카메라를 고려하여 3개의 기저함수로부터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닥원료로 만든 원지(原紙)와 염색된 감지의 분광반사율을 기저함수의 선형조합으로 표현하고 이로부터 염색횟수에 따른 감지의 분광 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감쇄함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염색 횟수별로 실제 염색한 감지와 원지로부터 예측한 영상을 비교하고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반복 염색시 재현성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색차 1미만의 범위에서 천연염색에 따른 감지의 발색을 재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develope color modeling simulator for indigo dyeing by producing a method of color reproduction according to iteration number of natural indigo dyeing. Polygonum tinctorium was used as a natural dye and dak(the paper mulberry) was used for dyeing material. Dak gruel obtained from dak was dyed iteratively from 1 time to 70 times using natural indigo from polygonum tinctorium then, sheets of indigo-dyed gamjis were produced by a traditional papermaking from the dyed dak gruel. In order to reproduce color of the gamj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as utilized. As a population for PCA, color patches of Munsell books of color were used and 3 basis functions were calculated to model the surface reflectance of the gamjis to consider a RGB camera in real application. Then, surface reflectance of non-dyed paper, which obtained from the pure dak gruel without dyeing, and those of iteratively dyed gamjis were represented in terms of weighted sum for the 3 basis functions, respectively. From these surface reflectances for both non-dyed paper and real dyed gamjis, the attenuation functions were calculated to estimate the change of surface reflectances of the gamjis by iterative dyeing with indigo and used to estimate surface reflectance of iteratively dyed gamjis from the non-dyed paper.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color difference between images of real dyed gamjis and their estimated images by the proposed method were compared. As a result, our method could reproduce color of a gamji within 1 △E(*)(ab) (color difference, CIELAB1976) under the assumption that if repetition number of indigo dyeing is same then reproduced colors of gamjis have same surface reflectances in every dye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