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 개발

        이철현,구덕회,Lee, Chul-Hyun,Koo, Duk-Hoi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문제 해결 학습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겪게 되는 교수 학습의 어려운 점에 기초하여 인터넷 기반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ICT-EUS[8]를 필요한 단계에 적용하는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반영한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고, 모형의 수업 적용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개요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교수 학습 모형은 (1) 설계 (2) 준비 (3)교수 학습 실행 (4) 관리의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ICT-EUS 기반의 7단계 문제 해결 모형을 교수 학습 실행의 핵심 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7단계 문제 해결 모형, 인터넷 기반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은 각 교과별 ICT 활용 학습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적 성격보다는 모든 교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추구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based on difficulty of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se, firstly we developed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pplying ICT-EUS into proper step. Next, we develope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reflecting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nd searched an outline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 system to apply the model into instru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composed of four steps of (1) design (2) preparation (3)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4) management, and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is the core of teaching and learning execution step. The 7 Steps Problem Solving Model and Internet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are not for functional use but for general use. In other words they can be used commonly in all subje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동의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1

        In this study, the 2,317 data of the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whole country,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ildren's online game addiction tendency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rouping by the grouping criteria, 5.7%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 risk-user group, 11.0% into the potential risk-user group, and 83.3% into the normal user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general variables relevant to online game by three kinds of addiction groups, every variables are significant at p<0.0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four psychological variables, aggressive behavior, impulsive behavior, solitude and self-control by three kinds of addiction groups showed that the aggressive behavior, impulsive behavior, and self-control are sigruficant at p<0.0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online game addiction score by the general variables presented that the addiction score is sigruficant at p<0.01 by all variabl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hat they act a role of the objective and reliable data to understand the children's online game addiction tendency and the property.

      • KCI등재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교수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

        이철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In this study, Borich demand analysis, The F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esponse data of 3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First, the teaching competencie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necessary for teachers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various support and efforts of education-related institutions are needed so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develop these competencies. Second, opportunities for practice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 platform and teaching aids should be expanded, and We need support to acquire content knowledge such as ‘ethical issue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ocial responsibility and fairness’,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social problem solv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cept of data bia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nplugged use’ and ‘EPL utilization’ corresponding to practical knowledges are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on the teaching tools and practice environment to prepare artificial intelligence practice classes, and to support educational contents and acquire related competencies.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learn the content and practical knowledge that constitutes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competenci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training to acquire various skills for class preparation and practice. Fifth, sufficient guidance and support are need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onduct class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ceive training, and go to graduate school to develop teaching competenc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2026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인공지능교육 시행이 예정됨에 따라 다양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 중 초등학교 교사가 인공지능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수역량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교수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초등교사 304명의 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Borich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분석, IPA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교수역량의 모든 세부 역량에 대하여 초등교사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역량이 초등 인공지능교육을 위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역량이며, 초등교사들이 이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관련 기관의 다방면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인공지능 체험플랫폼과 실습용 교구를 활용하는 실습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윤리적 이슈’, ‘사회적 책임과 공정성’,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사회변화’, ‘인공지능의 사회적 문제해결’, ‘데이터 편향성의 개념’, ‘인공지능의 개념과 특성’과 같은 내용 지식과 ‘언플러그드 활용’, ‘EPL 활용’과 같은 실습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인공지능 실습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수업 도구와 실습 환경에 대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수준별 실습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지원 및 관련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실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공지능 교수역량을 구성하는 내용 및 실습 지식을 익히고, 수업 준비 및 실천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학습 및 연수를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공지능교육 관련 수업을 수행하고 연수를 받으며, 대학원에 진학하여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기르도록 충분한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